잡담게시판 - 잡담, 유머, 창작
(글 수 3,388)
저만 이렇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여러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 건지... 둘 중 하나를 찍어 보세요.
1. 전 세계적으로 똑같은 하드웨어로 출시하길 원한다.
제발 뜯어 고치지 마라.
iPhone처럼 똑같이 나와도 성공한 예가 많다.
2. 한국 특화 모델을 원한다.
한국 실정에 맞아야지...
DMB 출퇴근 시간에 꼭 휴대 전화로 봐야 한다.
버튼도 갤럭시 S처럼 중간에 큰 홈 버튼 있고 양쪽에 두 개 있는 전형적 방식이 편하다.
단, 통신사의 통신 방식 등에 따른 SIM 사용 여부 등의 차이는 제외입니다.
A programmer, sort of.
2010.12.24 13:32:49
1. 똑같은 하드웨어
레퍼런스폰 처럼 손을 하나도 안되는건 무리가 있겠지만.. 디자인만큼을 일단 그냥 냅시다;;
특히 이번에 옵티머스 2X 디자인 바뀐거 보고 뽐뿌가 사라져 버리는 엄청난 충격을 받았지요;;
하드웨어도 그냥좀.. 갤럭시S도 유럽버전에 있다는 자이로스코프 빼버리고 DMB집어넣는 만행을;;
2010.12.24 14:05:38

전 항상 삐딱하므로, 둘중 하나를 고르는건 싫어서...
- 소프트웨어는 국내 일반 사용자들도 편하도록 국내 실정에 맞게
- 그러나 원하면 불필요한 앱이나 설정은 삭제가 가능하도록 설정
이렇게 하면 좀 하이엔드 사용자들에게도 선택의 폭을 제공하고, 일반 사용자들도 불편이 없고....그렇지 않을까요.
하드웨어상의 호환이 되니 커스텀 롬 같은거 하기도 수월할테고
2010.12.24 14:19:07
저도 draco님 의견과 거의 비슷.. 사실 국내특화된 폰이 이래저래 최적화 안된거때매 이미지가 구린거지 국내 실정에 맞추는거 자체가 나쁜건 아니잖아요. 하드웨어쪽은, 갠적으로 스마트폰도 델컴퓨터처럼 사양 골라서 주문제작할 수 있음 좋을거 같아요 ㅋㅋ 전 티비 안봐서 dmb 그닥 필요없지만 그게 제1 고려사항인 분들도 많더라구요
2010.12.24 15:18:05
전 버튼은 구글표준이 제일 편하더구만요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안드로이드의 발전을 생각한다면 커스터마이징도 좋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전 표준을 선호하죠, 이유는 사후지원이 한번이라도 더 고려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커스터마이징이 많을수록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지원에 난점이 많겠죠. 비록 업글이 삼성보단 늦었지만 skaf도 지워주고 표준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는 팬텍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안드로이드의 발전을 생각한다면 커스터마이징도 좋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전 표준을 선호하죠, 이유는 사후지원이 한번이라도 더 고려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커스터마이징이 많을수록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지원에 난점이 많겠죠. 비록 업글이 삼성보단 늦었지만 skaf도 지워주고 표준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는 팬텍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2010.12.24 15:37:53
전 외국거랑 한국거랑 똑같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외국에서 사온 폰도 한국에서 다 사용할 수 있게끔 하고, 통신사의 어플도 통신사가 노력을 해서 사람들이 원해서 받게끔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2010.12.24 16:03:47
아무래도 이곳에 들어오시는 분들은, 아주 일반적인 유저라기 보다는 조금 더 파워 유저에 가까운 분들이나, 개발자와 같은 입장의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그렇다면 당연히 1번이 더 선호 되어 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저도 1번이고요.
그런데 확실히 DMB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TV라는 매체의 파워는 무시할 수 없는게 사실이니까요.
(하지만, 전 TV와는 무관하게 사는 사람이어서... 집에 아예 TV가 없습니다. ^^;; )
결론적으로, 1번 처럼 사양이나 디자인은 글로벌하게 동일 했으면 합니다. 하지만 DMB와 같이 지역화에 있어서 정말 필요하다면 '기능 추가'를 하고 가격을 약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2010.12.24 16:41:23
현재 한국형 DMB를 시행 중인 국가가 어디어디인지 모르겠네요..
뉴스 검색 해보니 몇해 전에 중국이나 영국에서 DMB 한국규격을 서비스한다고 되어있던데....
DMB 서비스 시행 국가가 많아지면 구글 레퍼런스폰에서도 DMB 모듈이 기본장착되어 나올지도 모르죠 ㅎㅎ
뉴스 검색 해보니 몇해 전에 중국이나 영국에서 DMB 한국규격을 서비스한다고 되어있던데....
DMB 서비스 시행 국가가 많아지면 구글 레퍼런스폰에서도 DMB 모듈이 기본장착되어 나올지도 모르죠 ㅎㅎ
2010.12.24 17:10:17

한국 특화의 예로 지상파DMB를 많이 들지만,
사실 이거 얼마나 오래 갈 서비스일지 모르겠습니다.
무선 인터넷 망이 좀더 발전하고, 방송사들이 조금만 더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훨씬 화질좋고 좋은 광고 플랫폼이 될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생길 수 있을테니까요.
사실 지금도 DMB는 자금난이나 컨텐츠 수급문제로 위태위태...하던데
단지 단말기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는 이유로 버티고 있는 서비스...의 느낌이랄까요.
2010.12.29 03:08:00

넥서스원을 써서 그런지 몰라도 버튼좀 제발 네개 그상태로 내줬으면 합니다 ㅜㅜ
그냥 퓨어구글상태인 단말에 단말 제조사 특화 S/W는 kies ? 같은것을 통해서 집어넣는 식 이었으면 좋겠어요
이러면 굳이 필요없는분들은 루팅이라는 위험까지 감수해가면서 넣을 필요도 없고 ..
필요하신분들 어차피 집에서 전화번호부 같은 데이터 옮길때 함께 설치해버리면 좋을거같고 ..
UI 등의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하면 그냥 UI만 변경해서 내주고 다른건 안건드려줬으면 .. 커펌올리는 재미는 있어야죠 ..
2010.12.29 08:21:55
2. 한국형이 DMB랑 디자인도 있겠지만 SMS관련 기능들이랑 한글 관련 기능이 없으면 아무래도 많이 불편할 듯...
물론 디자인은 제발 그대로... ;ㅁ; 아... 사용자 입장에섭니다 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