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원 배터리가 너무 빨리 닳는거 같아서
자기 전에 완충 시킨 다음 3g까지 꺼놓고 배터리 상태 체크해봤습니다
그 결과 8시간 12분 대기에 56%의 전력을 소비해버리더군요
8시간 12분 사용도 아니고
8시간 12분 대기에 56% 전력 방전이라니...
한 시간 대기에만 7%의 전력을 방전하는 꼴인데 이거 정상입니까?
저같은 경우는 예전엔 크게 소모된다는 느낌이 없었는데 카카오톡 사용 이후 빨려나간다는 느낌을 받았고, DVR로 화면을 꾸민 이후로는 배터리가 더욱 빨리 닳는게 보였습니다. 바탕화면에 위젯이 많으면 많을수록 배터리가 많이 나가네요;;
저는 7시간 취침 기준으로 6%~10% 정도 달던데 어플문제거나 배터리 문제거나 둘중 하나일듯
아 참고 사항으로 쉐이커 어플 깔았는데 위에써논거의 딱 두배 더 배터리 소모되더군요


말씀하신 문제는 넥서스원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안드로이드의 자원 관리의 문제입니다. ^^
즉 지금 사용하시는 어플들을 그대로 다른 안드로이드폰에 설치하셔서 사용하셔도 똑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오히려 넥서스원보다 더 하면 더했지 좋은 기기는 없을겁니다.
배터리의 빠른 방전과 다수의 어플을 실행할 시 나타나는 성능 저하 등등..과 같은 현상들은 프로요에 들어서 많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아직도 초보 안드로이드 유져들이 별다른 문제없이 사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멀티테스킹이 자유로운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보다 단호한 자원관리가 필요한데, 지금의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그런 단계에 근접했다고 보기 힘들지요.
즉, 유져에게 너무 많은 자유를 주고 있다고 할까요?
이러한 자유는 안드로이드OS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는 유져들에게는 큰 장점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초보 입문자들에게는 버벅이고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핸드폰을 만들게 될 뿐이지요.
안드로이드 핸드폰은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진저브레드부터는 좀 단호하게 자원관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만, 글쌔요... 어떻게 변할진 구글만이 알겠지요. ^^;
처음 사자마자 켠 기계도 기능을 어떤걸 활성화 시켜놓는가가 배터리 사용을 크게 좌우합니다.
배터리 잡아먹는 귀신 옵션을 말씀드릴께요.
1위 백그라운드 동기화(밑에 자동동기화는 얘 끄면 꺼짐)
2위 Wifi(얘는 신호가 잡힐랑말랑 할때에 엄청나게 배터리 쳐먹는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3위 GPS관련2종셋트(얘네둘은 안켜도 크게 지장 없는 애들인데 옵션자체에 배터리 많이 먹는다고 써있습니다)
정확한 산술적 근거는 없지만 저거 3개를 켜고 끄고 차이가 배터리 소모에 엄청나게 큰 영향을 끼치더군요.
어플보다 먼저 저 옵션들 확인해보세요~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넥서스원은
설치되어있는 어플이 약 70여개
각종 위젯 5개
기본 런처
화면 밝기 자동
루팅X
테스크킬X
대략 위의 설정으로
하루 4시간 음악감상
WIFI 2시간여 접속
인터넷 검색 약 20-30분
문자 및 메시지 어플(왓츠앱) 수시 사용
하루에 평균 12시간 정도는 사용합니다.
통화가 문자수에 따라 사용시간이 더 줄어들거나 늘수도 있습니다만, 평균적으로 12시간 이상은 갑니다.
글이 길어집니다만, 한가지 예를 들어드리자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어플들인 카카오톡, 엠앤톡, 마이피플, 스카이프가 깔려있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경우
각 4개의 어플들이 각자의 기준에 따라 서버와 꾸준한 정보 송수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이 5초마다 송수신, 엠앤톡이 10초마다 송수신, 마이피플이 6초마다 송수신, 스카이프가 8초마다 송수신이라면
다 각자의 기준에 따라 따로따로 송수신을 계속 시도합니다. 핸드폰을 쉴세가 없이 계속 서버와 송수신하며, CPU와 배터리와 패킷을 소모하게 됩니다.(물론 대기중에 패킷을 소모하는건 다소간의 오바가 있는 표현입니다. ^^;)
이러한 개념없는(?) 어플들의 푸싱 서버 교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프로요부터는 구글 푸싱 서버를 각 어플들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지금 그러한 구글 푸싱 서버를 사용하는 어플은 WhatApp(왓츠앱, 현재 베타상태입니다.)이 유일합니다.
만약 모든 어플들이 구글 푸싱 서버만 활용한다고 가정하면 배터리 소모율이 없어지게 됩니다. 서버 하나와만 송수신하기 때문이지요. ^^
여기서 제가 커뮤니케이션 어플들로만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다른 알람 어플들도 실정은 비슷합니다.
현재 국내에는 넥서스원과 디자이어를 제외한 핸드폰들이 프로요 적용이 되지 않아서 프로요의 기능을 적극 활용하는 어플들이 많이 없는 점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갤럭시S와 같은 삼드로이드폰이 프로요 적용이 된다면 그때부터 프로요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게 되겠지요. 그러면 넥서스원 역시 많은 득을 보게 될 것 같습니다. ^^;
어플을 설치하실때 메시징 어플이나 알리미 어플들과 같이 실시간 알림(푸싱)을 지원하는 어플들은 꼭 필요한 어플들만 까시는게 배터리 효율을 늘리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
개인적인 사용법입니다.
카카오톡, 스카이프. 네이트온.프링.구글톡. 사용중입니다.(스카이프는 좀비처럼 죽여도 메모리에서 살아나는군요)
하지만 평소에 메모리에서 제거함니다.
그런데 구글톡은 메모리에 상주 안했는데도 푸쉬가 들어 오더군요. 구글서버와 관계 있는듯 합니다.
그래서 전 평소에 구글톡으로 사용할 메신저를 전달 받아서 실행시켜서 접속하고 볼일을 다보면 다시 메모리에서 제거함니다.
다른 앱들은 거의 건들지 않고요.
메신저류만 저런식으로 관리 합니다.
저렇게 할경우 8시간 대기 기준 4% 정도 밧데리를 먹습니다. 다른폰과 더불어 평균적인 소비라고 보시면 됨니다.
실제 모든 무선 끄고(3g만 켜고) 백그라운드 데이터 까지 끄면 8시간 대기 2% 정도 밧데리가 소비되더군요.
우리모두 구글톡을 이용합시다. ㅎㅎㅎ
제품 초기 상태라면 분명 문제가 있는것입니다만, 여러 어플들 특히 메시징 어플이나 뉴스와 같은 정보 어플들의 경우 각각의 어플이 소모하는 전력이 꽤나 큽니다. 특히나 최근 많이 사용되는 메시징 어플들의 경우 더욱 그렇고요. (카카오톡 엠앤톡 마이피플과 같은 어플들을 의미합니다. 각 어플들은 메시지 수신을 위해 각자의 서버로 꾸준한 리플레시를 하기 때문입니다. 예외적으로 WhatsApp 은 구글 메시징 서버를 활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현재 글쓴이님의 넥서스원에 어떤 어플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기재해주신다면 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수 있을것 같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