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서스원 사용자 모임
(글 수 12,449)
많은 정보를 얻어가는 안드로이드펍에서 처음으로 글을 쓰네요
아래 글 중에 진저브래드 업글이 국내 제조사에서는 안될거라는 의견을 쓰셨는데
일리있는 얘기라고 생각됩니다.
안드로이드폰을 만드는 곳은 여러 업체가 있고,
아이폰을 만드는 곳은 한 곳 '애플' 이 있는데
가장 큰 차이점은
안드로이드폰을 만드는 업체는 제조사라 수익은 기계 판매로 이뤄지고,
아이폰은 기계 판매 및 어플리케이션 판매로 수익이 이뤄지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를 만드는 업체들은 계속 새로운 기계를 만들고, 출시해야 그에 해당하는 수익을 얻을 수가 있죠.
따라서, 진저브레드 업그레이드는 오히려 손해일 가능성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래서 아래 분 말씀 처럼 국내 제조사의 진저브레드 업그레이드는 굉장히 늦어지거나,
안할 수도 있다는 말씀이 일리가 있다고 느껴집니다.
넥서스원은 구글에서 관리하기때문에, 그냥 업그레이드 해줄거 같은데요.
아마 넥서스원의 메리트는 거기있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만약 진저브레드가 업그레이드가 안되면 굉장히 곤란하긴 하겠지만요 ^^;
2010.10.14 13:58:14
그일은 이미 지난 상반기에 프로요업데이트 지원여부 파동에서 겪은 일이라 예전대비 일정이상은 해줄거라고봅니다. 사후지원이 엉망이란 소리가 나면 휴대폰매출과 직접 관여되니 이제는 기업들도 마냥 신제품내놓기에만 신경쓸순없을겁니다.
그런데 고객 관리 관점에서 본다면
(어차피 2년 약정이 대부분이므로 지금 바로 새 제품 출시는 현재 사용하는 고객에게는 의미가 상당히 작겠죠)
개발인력 투입해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지원하는게 이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개발인력 투입에 드는 비용은 매출에 비하면 거의 미미한 수준이구요...
갤럭시S를 개발한 팀이 향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지원하면
차기 제품은 다른 팀에서 개발 및 업데이트 유지보수 하는게 당연한 것 같은데
제조업체에서는 그리하지 않는게 문제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