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서스원 사용자 모임
(글 수 12,449)
...
현기증나는 제목 이어 나가기 입니다.
왠지 잼있을거 같아서;
사용한지 두달이 넘어서 이제야눈치 챘네요.
넥원이의 터치인식 범위는 정확하게 화면 내부만 인식 하는게 아니었습니다.
멀티터치 비쥬얼레이션 어플로 테스트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화면 베젤과 조도센서부분, 하단 메뉴까지 전부 센서가 연결이 되어 있었네요.
이 부분은 아니다.. 라고 생각하고 쉽게 손이 닿는 부분까지 터치센서가 연결되어 있으니.. 무심코 사용중에 터치오류가 더욱 발생하는 이유가 설명이 되네요..
특히 한손으로 사용중 이거나 버츄얼 패드에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게임의 경우.. 베벨도 작고 매끄럽고 얇은 폰 특성상..이래저래 베젤부에 손이 닿게 되는데.. 그때마다 여지없이 터치가 튀던이유가.. 이런 어이없는 상황 때문이었다니.. 그럼 혹시 베젤까지 덮는 실리콘계열 케이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런식으로 터치가 튀는게 덜하지 않을까도 생각 되네요.. 결국 생폰으로 쓰지말라는 얘기인가 ㅠ
현기증나는 제목 이어 나가기 입니다.
왠지 잼있을거 같아서;
사용한지 두달이 넘어서 이제야눈치 챘네요.
넥원이의 터치인식 범위는 정확하게 화면 내부만 인식 하는게 아니었습니다.
멀티터치 비쥬얼레이션 어플로 테스트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화면 베젤과 조도센서부분, 하단 메뉴까지 전부 센서가 연결이 되어 있었네요.
이 부분은 아니다.. 라고 생각하고 쉽게 손이 닿는 부분까지 터치센서가 연결되어 있으니.. 무심코 사용중에 터치오류가 더욱 발생하는 이유가 설명이 되네요..
특히 한손으로 사용중 이거나 버츄얼 패드에 멀티터치를 지원하는 게임의 경우.. 베벨도 작고 매끄럽고 얇은 폰 특성상..이래저래 베젤부에 손이 닿게 되는데.. 그때마다 여지없이 터치가 튀던이유가.. 이런 어이없는 상황 때문이었다니.. 그럼 혹시 베젤까지 덮는 실리콘계열 케이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런식으로 터치가 튀는게 덜하지 않을까도 생각 되네요.. 결국 생폰으로 쓰지말라는 얘기인가 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