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사용자 질문/답변
(글 수 3,598)
여동생 친구가 시애틀에 한 명, 오사카에 한 명 있어 넥서스원 구매를 어렵게 부탁할려고 했는데 난관이 생겼네요.
미국 시애틀에 있는 동생 친구는 가까운 친구라 부탁하기는 쉬운데 멀티터치 문제가 걸렸네요.
미국내 멀티터치 기능이 빠졌다는 의미가 정확히 어디까지인가요?
제가 듣기로는 어플에 따라 멀티터치가 되냐 안되냐로 알고 있는데 미국내에서 구입하는 넥서스원엔 어플에 상관없이 사용불가하다는
의미인가요? 멀티터치 기능이 있고 없고가 실사용상 많이 불편한 것인가요?
일본 친구는 그렇게 까지 친한 친구가 아니라 본인이 먼저 일본에서 구입해서 다시 저에게로 부쳐줘야 한다는 번거로움까지 감수하면서
부탁하긴 어려울 것 같다고 해서 가능성이 희박해 보입니다. 미국에서 일본까지 배송비+관세 거기에 다시 우리나라 들어올 때 배송비+관세가
또 붙게 되는 거잖아요? 아 힘듭니다. 정말.. 그냥 우리나라에서도 판매가 가능하기까지 기다려야 할지.. 차선으로 모토로이를 구매해야할지..
2010.01.26 21:22:43
기본 내장 어플에 멀티터치가 빠져있는 것이지 멀티 터치 기능 자체가 빠진 것은 아닙니다. 기본 브라우저, 기본 구글맵에는 멀티터치 안되고 다운로드 받는 앱들은 멀티터치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2010.01.27 00:59:32
저는 droid쓰는 데요...
그렇지않아도 고수 님들께 여쭈어 볼라고 했는데...
Google "multi touch hack android"라고 하시면요.
여러 사람들이 android를 multi touch로 hack하는 방법이 나와요.
(설명인 즉은... droid에 multi touch기능은 다 들어있는데...특허 때문에 enable만 안 되게 해 놓았다는.. 그래서 약간 손을 보면...
multi touch가 된다는..)
주변에 해봤다는 사람이 없어서.. 약간 망설이고 있는 중...
용감하신 분 있으시면..해 보시고 알려주심 땡큐!
그렇지않아도 고수 님들께 여쭈어 볼라고 했는데...
Google "multi touch hack android"라고 하시면요.
여러 사람들이 android를 multi touch로 hack하는 방법이 나와요.
(설명인 즉은... droid에 multi touch기능은 다 들어있는데...특허 때문에 enable만 안 되게 해 놓았다는.. 그래서 약간 손을 보면...
multi touch가 된다는..)
주변에 해봤다는 사람이 없어서.. 약간 망설이고 있는 중...
용감하신 분 있으시면..해 보시고 알려주심 땡큐!
2010.01.27 01:09:00
N1이냐 모토로이냐를 고민 중이시라면...
I would say... 개인차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친구의 N1을 써보긴 했는데...
미국의 droid와 N1은 user interface가 거의 같기때문에... 실제로 쓰는데는 별 다른 것을 못 느낍니다.
미국의 droid와 모토로이도 거의 user interface가 같습니다. 키보드가 빠진 걸 빼면요.
좋은 점은 N1은 아마 UMTS(GSM)과 CDMA가 다 되지 않나요?
외국 출장이 잦으시다면 모를까...
미국 droid는 CDMA만 된답니다. 근데 key board가 있어서.. 저는 오히려 그게 좋아서 사긴했는데...
근데... 굳이 여행을 많이 다니시는 게 아니시라면...
보조금도 못 받으시면서 N1을 굳이 사야할 만큼... 차이를 많이 못 느낀다는 말씀입니다.
I would say... 개인차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친구의 N1을 써보긴 했는데...
미국의 droid와 N1은 user interface가 거의 같기때문에... 실제로 쓰는데는 별 다른 것을 못 느낍니다.
미국의 droid와 모토로이도 거의 user interface가 같습니다. 키보드가 빠진 걸 빼면요.
좋은 점은 N1은 아마 UMTS(GSM)과 CDMA가 다 되지 않나요?
외국 출장이 잦으시다면 모를까...
미국 droid는 CDMA만 된답니다. 근데 key board가 있어서.. 저는 오히려 그게 좋아서 사긴했는데...
근데... 굳이 여행을 많이 다니시는 게 아니시라면...
보조금도 못 받으시면서 N1을 굳이 사야할 만큼... 차이를 많이 못 느낀다는 말씀입니다.
2010.01.27 04:52:21
happy together //
CDMA 와 WCDMA 를 혼동하고 계시는 것 같군요. CDMA 와 WCDMA 는 다르고 아직 N1 CDMA 버젼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CDMA 와 WCDMA 를 혼동하고 계시는 것 같군요. CDMA 와 WCDMA 는 다르고 아직 N1 CDMA 버젼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2010.01.27 06:36:28
N1이 모토로이와 드로이드와 다른 점은...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묶일 필요가 없다는 거죠. (물론 훨씬 비싸게 사긴 하지만..)
그러니까 Unlocked phone...
N1사양을 보니 아직 CDMA는 없네요...
하도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묶일 필요없는 것이 혁신 포인트라고 하길래..(일부 BlackBerry) global phone처럼..CDMA/UMTS가 한꺼번에 있는 줄알았는데..
GSM/UMTS/HSDPA/HSUPA만 들어있네요..
사양은 홈 피를 참고..
http://www.google.com/phone/static/en_US-nexusone_tech_specs.html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묶일 필요가 없다는 거죠. (물론 훨씬 비싸게 사긴 하지만..)
그러니까 Unlocked phone...
N1사양을 보니 아직 CDMA는 없네요...
하도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묶일 필요없는 것이 혁신 포인트라고 하길래..(일부 BlackBerry) global phone처럼..CDMA/UMTS가 한꺼번에 있는 줄알았는데..
GSM/UMTS/HSDPA/HSUPA만 들어있네요..
사양은 홈 피를 참고..
http://www.google.com/phone/static/en_US-nexusone_tech_specs.html
Cellular & Wireless
UMTS Band 1/4/8 (2100/AWS/900)
HSDPA 7.2Mbps
HSUPA 2Mbps
GSM/EDGE (850, 900, 1800, 1900 MHz)
Wi-Fi (802.11b/g)
Bluetooth 2.1 + EDR
A2DP stereo Bluetooth
이렇게 되면...차이는
모토로이가 SKT의 CDMA network에 run하게 되느냐..아님 WCDMA에 run하게 되느냔데...(N1은 WCDMA이니까...)
여긴 iPhone은 HSDPA고 드로이드는 CDMA Rev. A에 run하거든요..
이론상 output은 아무 쓸모 없슴. iPhone은 network을 준비안하고 phone만 열심히 들려서... network에서 심지어 drop도 넘 많이 되고 있답니다.. 결국은 phone차이 보다 network 차이가 크다는 걸...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참, 모토로이는 DMB가 되는데...N1은 미국에서 가져가심..당연히 안되겠지요...
다른 일반 SKT service들도 한 번 고려해 보심이...
http://www.bloter.net/archives/23660
저 같음 지원금 받고..모토로이 사겠어요. 네트워크가 영 나쁘지만 않으면...
2010.01.27 09:48:09
미국 출장다니는 일은 없는지라 DMB 기능유무는 개인적으로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평소에 TV를 많이 보지도 않고요.
솔직히 출퇴근 시간에 DMB 보는 것이 그렇게 유익하게? 생각하지 않는지라(개인적으로 책 읽는게 더 재밌더군요ㅎㅎ)
한국 모토로라의 서비스에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아이폰 도입 등으로 화두가 된 스마트폰 열풍에 모토로이가
첫 안드로이드 폰이다 보니 SKT에서 서비스에 각별히 신경 쓰는것 같습니다.(예약가입자에게 2년의 무상서비스는 파격적이죠)
모토로이 폰 자체도 아이폰보다 CPU 성능이 떨어지고 동작속도를 비교하시는데 사용자가 늘어나면 최적화가 되어 어느 정도
커버가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전 한국의 통신사의 약정 계약과 정액요금제를 약정기간 내내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맘에
걸리는 것 뿐이랍니다.(무상 2년 서비스가 끝나기 전에 폰을 바꾸지 않을까 싶은데요^^)
네트워크야 미국보다 한국이 훨 낫죠~ 앞으로는 더 나아질테고요.
넥서스원 구입에 앞서 제일 걸리는 부분이 다들 그러시겠지만 터무니 없이 비싼 인증비용 때문입니다.
며칠째 고민 중인데 답이 잘 안나오네요. 111만원을 투자해서라도 써야하는지.. 넥서스원 구입할 수 있는 루트는 열렸는데... 흠.
솔직히 출퇴근 시간에 DMB 보는 것이 그렇게 유익하게? 생각하지 않는지라(개인적으로 책 읽는게 더 재밌더군요ㅎㅎ)
한국 모토로라의 서비스에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아이폰 도입 등으로 화두가 된 스마트폰 열풍에 모토로이가
첫 안드로이드 폰이다 보니 SKT에서 서비스에 각별히 신경 쓰는것 같습니다.(예약가입자에게 2년의 무상서비스는 파격적이죠)
모토로이 폰 자체도 아이폰보다 CPU 성능이 떨어지고 동작속도를 비교하시는데 사용자가 늘어나면 최적화가 되어 어느 정도
커버가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전 한국의 통신사의 약정 계약과 정액요금제를 약정기간 내내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맘에
걸리는 것 뿐이랍니다.(무상 2년 서비스가 끝나기 전에 폰을 바꾸지 않을까 싶은데요^^)
네트워크야 미국보다 한국이 훨 낫죠~ 앞으로는 더 나아질테고요.
넥서스원 구입에 앞서 제일 걸리는 부분이 다들 그러시겠지만 터무니 없이 비싼 인증비용 때문입니다.
며칠째 고민 중인데 답이 잘 안나오네요. 111만원을 투자해서라도 써야하는지.. 넥서스원 구입할 수 있는 루트는 열렸는데...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