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사가 자기 입맛대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것도 결국 안드로이드의
개방성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시면 좋지 않을까요
커스터마이징 된 그 폰에 한정해서 보면 안드로이드의 개방성이 저하된 것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더 거대한 생태계 차원에서 보면 애플이 지배하는 아이폰과 iOS와는 달리 소비자에게 통신사와 단말기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는 것 역시 안드로이드의 개방성이니까요.
물론 마켓에 대한 문제와 동일성을 해칠 정도의 과도한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규제는 좀 더 연구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나마 넥서스원이 나옴으로써 안드로이드 폰의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구글이 완전히 손을 놓을 생각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후속 레퍼런스 폰은 내놓지 않을 거라고는 하지만, 그렇다고 레퍼런스 폰이라는 게 없을 수는 없으니까요. 넥서스원에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한 이상, 진저브레드 이후의 업데이트를 위해서라도 이를 테스트할 기준이 되는 레퍼런스 하드웨어가 사라질 수는 없습니다.
답은? 여러 제조사가 제조한 하드웨어 중 하나를 레퍼런스로 지정하는 거지요.
더군다나 이것은 공식적일 필요도 없습니다. 비공식이라고 해도 드러나게 되어 있어요. 다른 어느 기기보다도 빠른 업데이트와 안정성을 보여주는 기기가 무언가 하나 드러날 겁니다.
이것은 아마도 판매량과도 직결되는 문제인만큼, 다른 기기들도 이것을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겠지요.
사용자를 위한 안드로이드인 것이지... 안드로이드를 위한 사용자는 아닐 것입니다.
갤럭시s에서는 우선 하드웨어적으로
DMB 기능, 영상통화 기능이 있고...
소프트웨어에서는 음력기념일을 편하게 설정할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오버하여... T스토어에서 갤럭시에서만 실행되는 앱들로
국내시장에서 다른 안드로이드폰보다 소프트웨어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부분에서는
저도 영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만....
그런 부분을 제외하고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한국 환경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은
오히려 안드로이드의 장점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블랙베리나 아이폰, 심비안의 OS에서는 포기할수밖에 없는 기능들도
안드로이드에서는 한국이라는 국가 사용자들을 위한 기능들을 얼마든지 넣을수 있는 것이니까요.
사용자를 위한 안드로이드가 정답인 듯합니다. 우리나라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갤럭시S에 대한 비판이 많은 이유는 삼성이라는 변수 때문으로 보입니다. 좋은 기업 구글과 나쁜 기업 삼성이 손을 잡았으니 헷갈릴만도 합니다. 삼성빠가 애플을 비난하지만, 동시에 안드로이드를 칭찬하기 때문에 갈등 양상이 복잡해졌죠. 안드로이드 진영은 언제나 애플을 의심스레 바라봅니다. 순수하게 기술적이고 모바일 정책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에 근거합니다. 그런데 애플을 비난하면 삼성빠라는 얘기를 듣게 되면 당혹스럽습니다. 삼성이 만든 이 나라의 현실에서, 심지어 안드로이드가 '삼성 제품'이라고 알고 있는 분들을 만날 때면 좌절합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오히려 구글이 나쁜 기업은 아니지만 자선기업도 아니라는 냉혹한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게끔 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구글이 삼성이라는 거대한 '안드로이드 제조기'를 보면서 오히려 그 상황에 맞게 진저브레드를 기획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도 있습니다.
크롬투폰, 깜찍하고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그런데 마켓에 올라있지 않고 apk로 유통되죠. 전 그 이유가 궁금하더군요. 왜 자기 마켓을 활ㅇ용하지 않는지.
구글의 수익원.... 이 가장 큰 문제로 다가와버렸네요...
악 안돼 내 N1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