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전에 넥서스원을 구입하고 한창 여기저기 검색해 가며 최적화 등을 하다가
우연히 벤치마킹 앱을 발견하곤 넥서스원은 점수가 어떻게 나올까 궁금하기도 해서
봤는데 대략 점수가 처음엔 1360인가 나오더니 앱을 깔면 깔 수 록 성능이 느려지는건 확실한가 봅니다.
지금은 1290 점대 나오네요
그러던 와중에 그 앱에서 시스템 정보를 보여줘서 봤던 CPU 가 스냅드래곤 1 Ghz가 아닌
이와 같은 이름 갖고 있었어요
ARMv7 Processor rev 2(v7l)
Current freq: 998.4 Mhz
Max freq: 998.4 Mhz
Min freq: 245 Mhz
Cores: 1
Architecture 7
BogoMIPS : 162. 54
Hardware : mahimahi
Revision : 2
램도 512 Mb 가 아닌
Total: 395132 Kb
Free: 42860 kb
Inactive: 180960 kb
이렇게 나오는데 램의 경우 시스템이 잡어먹는게 있다곤 하지만 토탈에서 512 로 안나오는건 문제가 있는거 아닌가요?
이거 어떻게 받아드려야 할지.. 원래 그렇다면 뭐 그냥 쓰겠지만..
어떤가요?

저도 그부분에 대해서 좀 이상하게 생각하고는 있었지만..
이런 얘기가 있죠..
"제조사의 사정에 의해 스팩은 예고없이 변경될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눈에 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일부러라도 이슈화 시킨듯 하지만..
내부에 있는 보이지 않는..(하지만 소비자는 결국 알 수 밖에 없는)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제조사나 판매사가 쉬쉬하니 문제..
그리고 저 벤치마크 점수는..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고 하면 100~200포인트는 올라가더군요=ㅁ=;; wifi on/off 유무도 저 점수에 영향이 있습니다.
충전중/wifi off - 1451, 배터리/wifi off - 1325, 배터리/wifi on - 1231
벤치마크는 할 때마다 조금씩 변동이 있습니다. CPU 클럭 주파수가 가변이다보니 아무것도 안건드리면서 몇번 측정해도 1200~1400 왔다갔다 하곤 합니다.
위에 리게임 님이 말씀하셨듯이 넥서스원의 CPU는 ARMv7 Processor rev 2(v7l) 이며 스냅드래곤이라는 별명을 갖는 CPU 시리즈의 하나 입니다.
램은 하드웨어 탑재는 512MB이지만 현재 안드로이드의 기반이 되는 리눅스 커널의 개발이 충분히 되지 않아서 하드웨어에 장착된 램을 전부 인식하지 못합니다. 안드로이드 2.1, 2.1 update1 에서는 256MB까지만 인식이 되었었고, 2.2에서는 himem 이 일부 적용되어 384MB까지 인식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테스트 중인 실험적 커널에서는 416MB까지 인식에 성공한 예가 있습니다. 버전이 업될 수록 점점 가용램이 늘어날 예정입니다.
아 그렇군요. 댓글 하나하나 소중한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의문이 풀렸네요. 앞으로 업데이트를 통해서 좀 더 안정적이고 빠른 넥원이를 만나보기를 고대해야겠군요. 좋은 밤 되시기를~
진저브레드가 넥원이와 함께한다는 소식이 하루빨리 들려오기를 기대해 보며....
뒷북이지만...
ARM이란 기업에서 라이센스를 판매 그것을 퀄컴에서 구매하여 스냅드래곤 이라는 SOC (system on chip)을 제작합니다.
모바일용이고요. CDMA통신과 와이파이 비디오칩셋 오디오칩등 핵심적인 부품이 집약되어있습니다.
SOC네임이 QSD8250 스냅드래곤 이고요. 아키텍쳐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키텍쳐 네임이 ARMv7입니다. (Cortex A8이죠)
아키텍쳐는 같으나 SOC의 제조공정이 스냅드래곤은 65nm 갤럭시S의 S5PC110은 45nm공정으로 발열이나 속도 전력소모에 개선이 있습니다. 같은 캐쉬메모리와 같은 동작속도 임에도 불구하고 갤럭시S의 시피유가 더 빠르죠.
Armv7은 아키텍쳐입니다. 사실 밴치마킹 그런데서 알려주는 cpu에서는 이름... 이라고해야하나.. 별명? 그런걸 가져오지않습니다.
그저 무슨종류인지만 알려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