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레퍼런스 폰이고,나온지 꽤나 된 폰인데도 스펙상에서 요즘나오는 하이엔드 모델과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도 있고,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해서 저는 넥서스원이 출시되자마자 "아 이건 정말 나를 위해 나온 폰이구나.." 하는 생각을 해서 구매를 한지
어연 이주일정도가 되어가네요..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단 말이 사실인가봅니다. 이주일간의 넥서스원을 사용해보면서 느껴본 점을
적어내려봅니다..
인터넷의 블로거나 얼리어답터들의 비교글을 보면 갤럭시S와 넥서스원 중에서 거의 모두라고 말할 정도로 넥서스원을 손꼽아 말하지만, 실제로 넥서스원을 고르는 사람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2.2프로요라는 강력한 특징이 있음에도 넥서스원이 실질적인 구매량이 적은 이유는 삼성의 언론플레잉이나 화려한 마케팅, 넥서스원의 멀티터치 패널등의 문제 등등의 덕분인것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어플의 다양성 부재가 아닐까 합니다
프로요 버전에서는 오히려 구동되지 않는 어플들이 대다수고(넥서스원 모델에서만 그런지는 모르겠네요)
안
드로이드 마켓과 쇼앱스토어에서 어플을 구할 수 있지만 넥서스원을 선택할 정도의 스마트폰 오너라면 안드로이드 마켓의 어플과
쇼앱스토어에서의 어플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 쇼앱스토어는 WIFY키고 쇼앱스토어 실행하면 인증관련 메세지가
폭탄으로 쏟아져 들어오고, 쇼 앱스토에서 설치한 앱을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업데이트 하려고 하면 아예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생기더군요 거기다가 어플은 뭐 추가를 하는건지 안하는건지..)
안드로이드 펍이나 안드로이드 사용자 모임, 네이버
카페등을 통해서 어플들을 구할 수 있지 않느냐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T스토어의 어플들을 보면 정말 참신한 어플들이 많습니다.
최근의 스마트폰은 하드웨어적인 요소에서는 크게 차이나지 않기때문에 이 어플이라는게 한 스마트폰을 고르느냐 마르느냐 하는데까지
이르는데 나름 동급대라고 여겨지는 갤럭시 시리즈와 비교해서 어플시장이 너무 좁지 않습니까?
물론 갤럭시시리즈의
삼성앱이나 T스토어같은경우 OS변경에 따른 최적화문제때문에 여러 문제가 거론되고 있고, 또 T스토어 어플같은경우도 T-store
arm을 이용하면 어느정도는 해결될 수 있는 문제지만. 이건 단기적인 해결책이지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니리라고 봅니다..
그렇다고 구글이 뭐 구글 앱스토어같은걸 운영하는 것도 아니고..
넥서스원이라는 폰을 선택한 것에 대해서 저는 후회되지 않지만 주변인들이 넥서스원을 고른다면 저는 말리고 싶네요.
그래야 제 폰의 희소성이 짙어질테니까.
P.S 제 폰보고 갤S라고하는 친구놈들 간밤에 다 묻어주고싶습니다.. 어휴..
안드로이드 마켓이 구글이 운영하는 구글 앱스토어인데요?
티 스토어에 앱이 몰리는 것은 안드로이드 마켓에 유료앱 등록에 문제가 있어서 몰리는 것과 SKT에서 외주 형식으로 돈을 주고 개발의 의뢰해서 올리는 것이 있지만, 넥서스원을 선택할 정도의 스마트 유저라면 그런 것은 콧방귀도 안뀌고 안드로이드 마켓만을 보겠죠.
애초에 티스토어는 라이센스 정책도 1년 단기 임대 형식에 폰 번호나 폰이 바뀌면 사용권이 종료되는, 사용자로서는 최악의 정책을 펼치고 있고, (개발자에게는 유리한 정책일지도 모르지만, 저는 양심상 티스토어에는 절대 앱 못올리겠습니다.)
그리고 갤럭시S와 넥서스원의 비교에서 갤럭시S가 앱 선택권이 넓다는 말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넥서스원은 말 그대로 안드로이드의 레퍼런스폰으로서 모든 폰중 가장 높은 호환성을 지니고 있는 폰이고, 갤럭시S는 가장 유명한 비호환 폰입니다.
niuerose님이 지금 티스토어의 한면만 보고 살짝 혹해있으신 것 같지만, 곧 알게 되실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은 애플의 앱스토어만은 못해도 다른 그 어느 곳보다 많은 앱을 갖고 있고, 넥서스원은 그 안드로이드 마켓을 이용하는 폰들 중에서도 가장 앞선 기능과 최고의 호환성을 갖는 폰입니다.
그것은 오히려 안드로이드 마켓의 규모가 너무 커져서 발생한 문제입니다. 애플의 앱스토어도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인데 아무리 앱이 많아져도 쓸만한 앱은 1%도 채 안되고 지푸라기 속에서 바늘 찾기가 되는 것이죠.
그에 비해서 티스토어는 초기에 앱의 개수를 늘리기 위해 외주를 주고, 전문개발업체에서 개발을 하면서 상대적으로 괜찮은 앱이 많아보이는 것이지만 꾸준히 성장이 된다면 역시 같은 문제에 봉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SW기술에 있어서는 외국이 우리나라보다 많이 앞서 있어서, 저는 오히려 외국의 앱들이 훨씬 수준 높게 느껴지고, 티스토어에 있다는 앱들의 소개를 보면 좀 유치하게 느껴지기 까지하던데... 뭐 개개인의 성향과 필요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그렇지만 적어도 티스토어의 라이센스 정책은 사용자로서 납득할 수 없습니다만..
사실 저도 안드로이드 마켓의 앱들이 질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과거 아이폰 사용시절에 비해서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앱들이 모두 질적으로 많이 떨어지는 것을 느낍니다.
구글의 개방 정책이 애플의 폐쇄정책에 비해서 사용자들한테 좋기만 한것은 아니라는 느낌도 들고 있지만, 지금의 상황만해도 제가 안드로이드폰을 처음쓰게된 반년전과 비교하면 많이 좋아진 것이고 앞으로도 계속 좋아질테니 지켜봐 보시길 바랍니다.
반년전의 넥서스원은 정말......
근대 넥원에서 안돌아가는 어플들이 대부분이던가요? 마켓에서 다운받아 깔면서 한번도 실행 안된적은 없었는데; 이상하네요.
2.1 빌드로 제작된 어플들도 대부분 2.2에서 호환가능합니다.
넥서스원과 갤럭시S를 비교하면서 앱가지고 비교하느건 오바같네요
티스토어는 SKT에서 앱쪽에서 우위를 점할려고 자사쪽에만 외부인력 가져다가 만든건데
이걸로 넥서스원 자체가 앱이 훨씬 적다고 하는건 잘못된 생각같아요. 통신사차이일뿐이데
그렇게 따지면 디자이어, X10 도 넥서스원보다 앱이 더 많네요 티스토어가 가능하니
구글 유료결재 풀리면 지금수준의 앱들은 바로 나올 수 있는것들이고
넥서스원이 2.2라서 앱이 안돌아간다는건 이해가 안가네요
2.1버젼의 앱을 호환이 안되는 2.2를 업데이트 시키는 것이면 구글이 미쳤게요..
앱이 문제라면 답은 간단하네요
넥서스원 언락해서 SKT로 가서 티스토어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저는 레퍼런스폰으로써 참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출시일자라든지 가격대 성능으로는 넥서스원이 가장 만족스럽습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어플이 절대적으로 부족한건 이해가 되지만
솔직히 T스토어 어플 탐나는거 많이 있습니다 ㅠㅠ
쇼앱스토어의 개선이 너무나 절실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