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초보입니다~


고수님들한테 좀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요.



저는 넥원이가 처음에 구입하였을때부터 후배가 추천해줘서 태스크 킬러를 깔아서 쓰고 있었습니다.

(후배 말로는 사람들마다 말이 갈린다고 하긴하던데...)

그러고 좀있다보니 펍에서 간간히 Auto task killer가 안좋다라는 이야기를 읽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날은 오토태스크 킬러를 끄고 좀 사용해봤는데요.

이거 베터리 사용이 지나치게 빨리다는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왜 이런가 싶어 베터리 소모 리스트를 봤는데 

평소 자동으로 킬해줄 때는 디스플레이가 전체 베터리 소모의 45%였는데, 

자동킬을 해제한 후에'Android 시스템'이라는 부분이 디스플레이보다도 높게 잡혀있었습니다.

(Android 시스템 이게 뭐하는건지도 잘은 모르겠네요...CPU 쓴다고 써있긴하네요..)


그래서 다시 오토킬을 설정하고 쓰니 베터리 사용량이 좀 줄어들긴하였는데요.

오토킬을 다시 깔았을때는 게임을 비롯한 온갖 앱들이 다 켜져있었습니다.



여쭤보고싶은건 프로요에서는 라이프 사이클이라는게 있어서 오토킬 하는것 보다 안하는게 좋다고 하시는거 같은데,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서 백그라운드로 무의미하게 떠있는 어플들이 CPU를 소모하지는 않는걸까요?

그리고 다른 프로그램이 메모리가 필요하면 다른걸 킬해주는거 같긴한데, 그럼 메모리가 꽉찰때까지 필요없는 어플들이 계속 돌고 있는건 아닐지.. 어플 프로그램상 강제 종료가 없다면 말이죠...


그리고 베터리 소모랑 오토킬이랑 관련이 있는걸까요?

특정 앱이 아니라 'Android 시스템'이란 부분이 베터리 사용이 올라간 것이 좀 의아하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