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안드로이드 해상도 중 적용되는 종류가 주로 wvga , wqvga, qvga 이렇게 세가지 입니다. qvga 가 제일 작은 해상도라 보시면되고, layout-320x240 layout-300x240 layout-800x480 이런식으로 폴더를 나뉘어서 레이아웃 xml 을 작성해 놓으면, 해상도에 맞는것을 os가 자동으로 선택해서 화면에 표시합니다. 상용 앱들은 보통 이렇게 xml 로 분류해서 해상도별로 테스트하면서 세부적인 margin 값들을 조정해서 표시합니다.
2010.07.20 17:37:48
피드
그렇다면 인치와 상관없이 3가지 해상도만 마춰서 제작해 놓으면 나머지는 핸드폰에서 자동으로 인식해서 사용한다는거네요?
그렇다면 인치와 상관없어지니 3가지 해상도만 지원하는 핸드폰이라면 새로운 핸드폰이 나오더라도 핸드폰 마다 따로 테스트 할 필요는 없는거 겠군요.. (제대로 이해한건가..;;)
우선 안드로이드 해상도 중 적용되는 종류가 주로 wvga , wqvga, qvga 이렇게 세가지 입니다.
qvga 가 제일 작은 해상도라 보시면되고,
layout-320x240 layout-300x240 layout-800x480 이런식으로 폴더를 나뉘어서
레이아웃 xml 을 작성해 놓으면, 해상도에 맞는것을 os가 자동으로 선택해서 화면에 표시합니다.
상용 앱들은 보통 이렇게 xml 로 분류해서 해상도별로 테스트하면서 세부적인 margin 값들을 조정해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