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키피디아에 있군요. 삼성과 소니의 합작 회사가 만든 패널인 듯 합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97%90%EC%8A%A4_%EC%97%98%EC%8B%9C%EB%94%94
전 디자이어쓰고 있는데 디스플레이들 각자의 장단점이 있는 듯합니다.
- 디자이어는 사진과 같은 것은 화려하고 이쁩니다.
- 디자이어는 스크롤이 많은 문서들을 볼때에는 나쁩니다.
스크롤을 많이 하다보면 속이 울렁이기도 합니다. 마치 버스에서 신문 볼때 처럼요.
- 디자이어는 AMOLED라서 실외에서도 잘 보인다고 하던데 꼭 그렇지만 않더라구요.
LCD보다는 좀 났겠지만, 역시나 햇빛에서는 잘 않보이기는 대동소이합니다. (그늘을 찾아서 봐야죠)
- 디자이어는 배터리소모가 반나절 정도 합니다. 3G, WiFi켜 놓을 때의 조건입니다. (열심히 꺼야 되죠)
따라서 SLCD가 가독성이 좋고, 전류소모도 적고 하는 이점도 있다고 괜찮다고 봅니다.
SLCD 실사용이 궁금해서 고객센터에 연락해보니
아직 그쪽에서도 테스트기기를 받지않아 어떻게 공개할수가 없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LCD가 좋지만 만약 최근 소니 DSLR에 들어가는 LCD정도 퀄리티면 LCD가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HTC측에서 제공된 새로운 디스플레이 관련 정보라곤
Super TFT LCD 와 SONY라는 딱 두 단어밖에 없어
아마 그 정체에 대해 많은 논란만 남긴 채 그냥 끝날 듯 싶네요.
전반적으로 LCD가 더 우수하다는 의견들이 많은 데에도
넥서스원 설계 당시 AMOLED를 선택한 구글의 생각과,
현재 LCD 채택 넥서스원/디자이어의 공급에 난색을 표명했다는
SKT와 KT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패널 가격차이가 난다고 하는대 가격 내리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두 패널의 차이가 얼만큼인지가 갠인적으로 더 궁금하네요 전
AMOLED를 채용했었던건 기존 SLCD보다 이점이 있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너무 삼송에 세뇌광고에 말린건지는 모르겠지만..
OASIS님 말처럼 SKT와 KT에서 난색을 표명했다는건 단순 패널이 바뀌어서 그런것인지 다른 스펙다운에 대한 이유가 있는지 에공
빨리 좀 구매 했음 좋겠구만 계속 이런 저런 일들이 발생하는 넥원인것 같습니다... 이러다 그냥 아이폰을 구매 할지도...
전 아무리봐도 현재의 AMOLED 보단 S-ips가 낳아 보이더군요..
AMOLED는 날카로움이 좀.....없어뵈더라구요..
선이 오돌토돌한 ...
AMOLED에서 SLCD로 바뀐것은
AMOLED의 공급부족으로 인해 수요를 맞출수 없어서 SLCD로 교체하는 것이라 하더군요.
그런데 AMOLED이든 SLCD이든 간에
무엇보다도 넥원의 터치 센서가 바뀐다면 대박일텐데요..
보다보니 의문점이...
표 항목 중에 "indoor viewing"이 아니라 "outdoor viewing"이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짧은 영어;;
단순 개수로 보면 SLCD vs AMOLED가 3:2로 SLCD의 승리인데
"Email Power Consumption"은 끼워넣은 느낌이 강하네요.
웹페이지야 해당 사이트에서 정하는 바탕색이 하얀색이 많으니까 브라우저별 차이가 거의 없다치고
이메일은 클라이언트 색상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색상 말고 다른 이유가 있는 건가요??
Email~Display 연관성이 잘 떠오르지 않네요.
"Power Consumption" 을 억지로 두개로 늘려둔걸 보니 좀 웃기네요...
SLCD 라는 단어 자체도 다운그레이드 논란을 줄이기 위해 막 만들어낸 단어 아닌가요?
무슨 근거로 Super 라는 접두사가 붙었는지...
전 쨍한 Amoled가 좋다고 생각했는데 이거보고 여럿 물어보니 주변 지식인들은 lcd손을 더 들어주네요 고민중
이러나 저러나 넥원을 빨리 만나고 싶어요ㅋ
궁금한 사항이었는데 드뎌 공지를 했군요.. LCD가 사양적으로 더 끌리는 건 맞는 것 같은데.. AMOLED를 한번더 써 본적이 없어서 저는 이번에 주문한 한정판매 그대로 유지할 까 하네요.. 아마 실 사용기에서는 실감적인 차이는 미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번 한정 판매 받으면 한국에서 몇 안되는 (4천대) AMOLED 넥서스원 사용자가 될 듯... ^^;
색 재현율 90% 이상이면 IPS 혹은 VA일텐데
SONY MOBILE DISPLAY에서 공급한다고 했죠? 그러면 VA겠네요
명암비가 IPS로는 1000:1이 안 나온 걸로 아는데 역시 VA라는 증거이구요,
모토로이/드로이드가 모바일용 중에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색재현성) 디스플레이로 아는데 이 HTC의 새 디스플레이가 모토로이를 넘어설 수 있을까요?
엑스페리아 X10에 들어간 것과 같은 VA 패널에 한표 던집니다.

넥서스원 게시판에 SLCD의 정체가 S-PVA인 것 같다는 정보가 올라왔습니다.
lcd 타입에 관한 정보는 다음 위키에 간단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저로서는 한정판매를 포기해야 할 이유가 늘어가는군요. 런칭파티 안되면 포기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바로 포기해야되는지 고민중입니다.
걍 이런거야 어플로 어찌 해보자~ ㅋㅋ
화면 밝고 안밝고는 어플이 받쳐줄지어다~~~ ㅎㅎ
전 걍 예판으로 가볼랍니다ㅎ
아직 대리점 가격도 출시 안된판에 교체되는 디스플레이에 Super가 붙어있는 LCD니 더 비싸지는건 아닌지 모르겟네요 ㅎ_ㅎ
땡볕에 디자이어는 캐발리네요 -_-;
그러나 이것도 뭐 보호필름 있지 않겠나요? 그걸로 가뿐하게 대처해 주자구요~;;;
안보이는건 맨한가진디요 뭘 ㅎ
여기서 말하는 SLCD가 S-IPS 패널을 말하는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