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사용자 질문/답변
(글 수 3,598)
구글에서 안드로이드를 위해 직접 기획한 (맞나요?) 넥서스원
모든 업데이트도 가장먼저 받고 , 개발시에도 그걸로 테스트를 할 텐데요 ..
일명 레퍼런스폰 ?? 안드로이드의 기준이 되는폰 ..?
하드웨어 사양이야 시간이갈수록 뒤쳐지는건 당연할테고 ,
'최신버전 안드로이드폰의 기준' 이라는 의미에서 볼때
지금의 넥서스원이 언제까지 그 상징성을 가질수 있을까요 ??
안드로이드가 계속 업그레이드 되다보면 예전 기기로는 언젠가 한계가 올텐데 ...
-- 다른의미는없고요 그냥 문득 궁금해서요 ㅎ 쓰고보니 좀 뜬구름잡는 소리네요 -_ㅡ;;;

2010.05.08 13:22:43
일단 "예전 기기로는 한계가 온다" 라는 것 보다는, 구글이 넥서스원을 단종시키기 전 까지는 최신 버젼 안드로이드가 그정도 스펙에서 돈다는 식의 기준으로 볼 수 있겠죠.
2010.05.08 13:52:11
음. 초록의미님 말씀처럼 넥투가 나오면 끝이날수도 있겠지만
현재 안드로이드의... 아 아니..
넥원이 지금 하드웨어 성능을 사용하는건 넥원 하드웨어의 50%도 되지 않습니다.
넥투가 나오든 다른기기들이 나오든 당분간은 쭉 길게 사용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2010.05.09 15:00:02

넥원을 가지고있진 않지만 , 호기심이 많이 생기는 물건입니다 전 그렇게 얼리어답터도 , 무엇을 깊게 탐구하는 사람도 아니고 호기심만 왕성하지요 ^^ 거기에 욕심도 좀 있어서 휴대용 기기를 자주 바꾸는 편입니다.( 특히 휴대폰 ) 이 질문을 한 이유는 ,, 전 모토로이를 사용하고 있지만 , 다음 모델을 미리 점찍어두는 습관이 있어서요 ^^;; 지금부터 한 1년반 후에 넥서스원을 만졌을때 현재와 비슷한 상징을 가지고 있을까? 하는 궁금증 때문입니다 . 한정판 , 혹은 의미있는 물건.. 이런걸 좋아하거든요 ㅎ
2010.05.08 15:53:08
G1도 개발시 기준폰이라는 개념으로 쓰이지만, 1년만에 넥원등의 고해상도 폰으로 분위기가 확 넘어간 것으로 보면 넥원이도 언제까지 갈지는 아직 모릅니다. 확실한건 현재보다 더 발달된 수준의 하드웨어를 탑재한 폰이 또 나온다라는 거죠. 머 당분간은 하드웨어나 플랫폼 버전의 발전이 계속 빠르게 진행될겁니다.
2010.05.08 16:41:54
레퍼런스폰은 일반폰에 비교 수명이 깁니다. 다음세대 레-폰이 나와도 적어도 같이 한 세대는 또 유지하게 됩니다. SW 하위호환은 시장에 필요 하니까요.
2010.05.08 19:47:50
넥서스원 판매가 부진하다는 뉴스가 종종 나오는데..그것때문에 넥서스원이 성능이 부실하고 빨리 단종될듯한 이미지가 생긴거 같습니다.
아직은 출시됀지 몇달 안됀 신상입니다. 동일한 스펙의 기종들이 지금도 출시돼고 있습니다.
회색님 말씀대로 1년만에 스펙이 팍~ 튄 느낌이 있지만(액정 해상도2배/cpu 2배)..개인적인 생각에 밧데리 문제 때문에...당분간은 스펙이 획기적으로 변한다라고 보지 않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휴대해야 하는 폰 특성상 액정이 2-3배로 커지기도 힘들구요. 당분간은 기존 칩셋의 성능향상이나 새로운 센서의 추가 디자인 유행의 흐름 등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컴퓨터의 성능에 맞춰서 발전해온 인터넷 환경이 요즘은 다시 스마트폰에 맞춰 다운그레이드 돼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능에 대한 요구치도 지난 1년에 비해 간절하지 않다는것도 한 요소가 될거라고 봅니다.
2010.05.08 23:34:34
아무래도 상징적으로 본다면 넥서스투가 나오기전에는 넥서스원의 이름이 가려지는 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G1은 구글의 마크를 달고나오는건 아니지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팔던 개발자용 기기에서 실제로 상업적 스마트폰이 나왔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G1도 획기적이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상업적이나 실제적으로 일반 터치스크린 폰보다 낫다는건 별로 느끼지 못했습니다.
넥서스원은 G1과는 다른 의미로 마일스톤을 새운거라고 생각합니다. 스펙으로나 여러가지로 정말 한동안 오래 쓸수 있다는 느낌입니다. 스펙상으로도 갑자기 확 나아진 기기가 나온다고 보기도 힘들고... 또 안드로이드를 구글에서 개발한다는것을 감안하면 넥서스원의 수명이라고 말하기에는 한참이른것 같습니다.
솔직히 말해 넥서스원을 가지고 있고 상당기간 사용해봤지만 하드웨어적으로 완벽하고는 거리가 멀다고 봅니다. 터치버튼때문에 잘못눌러지는 경우라든가... 발표때 WIFI -N버전 사용가능에 대해 가능->불가능->가능이라든가....여러가지 마무리가 됐다기도 안됐다기도 애매한 상태로 출시된것 같습니다. 전형적인 구글의 성격이 보입니다. 베타버전 출시 ->사용자 반응보기 -> 피드백후 잦은 업데이트
물론 일반적인 핸드폰 제조사들의 펌웨어가 버그투성이인 상태로 내놓는것에 비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엄청난 완성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사용자 입장 )
하지만 사용에 지장이 있는 엉성한 터치폰들에 비하면 사용이 깔끔하고 빠른 반응속도등 만족스럽습니다. 한마디로 완벽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완제품보다 완성도가 높고 계속 발전해나가는 베타버전이랄까요.... 특이한 제품입니다.
스펙이 어떻게 되었든 넥서스원은 구글의 넥서스 '원' 입니다. 스펙으로 치면 HTC Evo는 어떻습니까 4G 지원에 떨어지지않는 CPU 메모리 기타등등 그런데 이것이 넥서스원과 비교대상이 되어야할까요? 디자이어나 갤럭시s와 비교대상이 되어야할까요?
그외에 상대적으로 아이폰=애플 Vs 넥서스원=구글 (그리고 안드로이드 폰들)의 이미지가 있는데 이것을 깰수 있는 회사와 제품이 어떤게 있습니까? 드로이드? 엑스페리아 X10? 설마 갤럭시s라고 생각한분들은 없겠지요^^?
그리고 한가지 간과하고 있는게 있는데 구글이 맘먹고 프로모션해서 넥서스원을 폭발적으로 팔게할수 잇는 방법은 많이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확산을 위해 일부러 마케팅과 판매량까지 조절하는 마당에 공정한 비교가 되겠습니까?
일단 넥서스원과 갤럭시A든 안드로원이든 시리우스든 모토로이든 같이 써본다음 비교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G1은 구글의 마크를 달고나오는건 아니지요.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팔던 개발자용 기기에서 실제로 상업적 스마트폰이 나왔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G1도 획기적이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상업적이나 실제적으로 일반 터치스크린 폰보다 낫다는건 별로 느끼지 못했습니다.
넥서스원은 G1과는 다른 의미로 마일스톤을 새운거라고 생각합니다. 스펙으로나 여러가지로 정말 한동안 오래 쓸수 있다는 느낌입니다. 스펙상으로도 갑자기 확 나아진 기기가 나온다고 보기도 힘들고... 또 안드로이드를 구글에서 개발한다는것을 감안하면 넥서스원의 수명이라고 말하기에는 한참이른것 같습니다.
솔직히 말해 넥서스원을 가지고 있고 상당기간 사용해봤지만 하드웨어적으로 완벽하고는 거리가 멀다고 봅니다. 터치버튼때문에 잘못눌러지는 경우라든가... 발표때 WIFI -N버전 사용가능에 대해 가능->불가능->가능이라든가....여러가지 마무리가 됐다기도 안됐다기도 애매한 상태로 출시된것 같습니다. 전형적인 구글의 성격이 보입니다. 베타버전 출시 ->사용자 반응보기 -> 피드백후 잦은 업데이트
물론 일반적인 핸드폰 제조사들의 펌웨어가 버그투성이인 상태로 내놓는것에 비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엄청난 완성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사용자 입장 )
하지만 사용에 지장이 있는 엉성한 터치폰들에 비하면 사용이 깔끔하고 빠른 반응속도등 만족스럽습니다. 한마디로 완벽하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완제품보다 완성도가 높고 계속 발전해나가는 베타버전이랄까요.... 특이한 제품입니다.
스펙이 어떻게 되었든 넥서스원은 구글의 넥서스 '원' 입니다. 스펙으로 치면 HTC Evo는 어떻습니까 4G 지원에 떨어지지않는 CPU 메모리 기타등등 그런데 이것이 넥서스원과 비교대상이 되어야할까요? 디자이어나 갤럭시s와 비교대상이 되어야할까요?
그외에 상대적으로 아이폰=애플 Vs 넥서스원=구글 (그리고 안드로이드 폰들)의 이미지가 있는데 이것을 깰수 있는 회사와 제품이 어떤게 있습니까? 드로이드? 엑스페리아 X10? 설마 갤럭시s라고 생각한분들은 없겠지요^^?
그리고 한가지 간과하고 있는게 있는데 구글이 맘먹고 프로모션해서 넥서스원을 폭발적으로 팔게할수 잇는 방법은 많이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확산을 위해 일부러 마케팅과 판매량까지 조절하는 마당에 공정한 비교가 되겠습니까?
일단 넥서스원과 갤럭시A든 안드로원이든 시리우스든 모토로이든 같이 써본다음 비교를 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