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쇼핑몰을 운영하는 사업자입니다.
앱을 하나 만들었는데,
매우 친한 모바일 광고 대행사 담당 과장님께서 대외비 조건으로 제안하는 거라고 하시면서 CPI 광고를 추천해 주셨는데, CPI 단가가 70원이고, 3일 동안 삭제하지 않는 조건으로 배포 해 주신다고 합니다. 앱 실행이나 매출은 보장 할 수 없고, 리워드 받는 분들이 설치해서 구글 순위 올리는 목적이라고 합니다. 설치하고 3일 동안 삭제 하지 않는다고 하시고요. 하루 1만개 이상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십니다.
그래서 제가 드리는 질문은,
1. 그분 애기가 이게 벌크 물량 나온 것을 나누어 주신다고 하는데, 이런 조건이 존재하는지요?
2. 그리고 CPI 단가 70원이 좋은 조건인지요? 제가 찾아 보니깐 보통 인터넷 상에서 150원 정도 하는 것 같은데, 70원 단가가 경쟁력 있는 단가인지 궁금합니다.
광고 전문가 분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PI 단가가 너무 작은 경우 실사용자가 아니라 프로그램 돌리는 것을 의심해봐야 하구요. 그 경우 구글에 걸리면 앱 삭제 되어 개발자가 피해를 볼수 있습니다. 투자한돈 한꺼번에 날리는거죠, 먼가 끌리기는 하는데 불법적이 느낌이 드는 경우에는 하지 마세요.
글내용이 실제유저로 진행되는 리워드앱인데 가격은 70원이면 말이 안됩니다 ㅎㅎ
그런데 실제유저가 3일동안 지우지 않는다는것도 말이안됩니다.
강압적으로 3일동안 못지우게 할수는 없습니다.
그말은 즉...공폰이거나..프로그램일 가능성이 매우 농후합니다.
대행사시면 아직 프로그램으로 진행시 어떻게 되는지 몰르시는거 같습니다...
앱삭제될수도 있으시고, 70원이 싸다고 썻다가 다운로드수 1도 안올라갈수 있습니다.
실제유저로 70원으로는 진행할수있는 업체는 대한민국에 없습니다^^
소비자에게 주는 리워드금액이 더크기때문입니다.
바로 밑에도 글이 있네요.
" ...실유저로 구글스토어 S-CPI(검색설치형)확실하게 1위만들어드립니다.
이번 구글로직 변경으로 프로그램업체는 모두 없어지고
프로그램업체를 이용하셨던 분들이 앱삭제,앱다운로드수 리턴,검색설치형 순위하락,리뷰삭제,등등
여러가지 피해를 입으신걸로 알고있습니다... "
일단 단가는 좋은게 맞습니다.
다만 구글마켓에서는 총 다운로드 숫자보다 현재 기기에 설치된 숫자가 더 중요하게 계산되는 경향이 있어서, 집행시에는 반짝올라갈 수 있지만 3일 후에는 또 무섭게 하락하는 것을 예상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CPI를 집행하는 방법이 구글에게 거슬리는 방법일 경우, 마케팅 업체가 아니라 앱개발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사례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