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년 DMBTEC 주력 사업분야 소개


[1]  임베디드리눅스 개발환경에서  Aptina/OmniVision  카메라센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 가능하고 카메라센서로 부터 영상을 획득한후
       IP Camera SDK 를 설계할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 Camera Onvif 시스템 구현을 gSOAP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로컬에서 원격지에 있는 카메라 제어를 위해 IP Camera 의 원격함수를
             로컬에서 실행할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2]  스마트카드를 구동하기 위해 EMV 규격의 자바카드 애플릿을 설계할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
      스마트카드의 온라인상 데이타 송수신시 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토큰 방식으로 EMV 규격의 자바카드 애플릿 설계 기술력을 보유함.
      신용카드용 앱이나 금융USIM 칩이 없더라도 스마트폰에 장착된 USIM칩을 활용해
      모바일 결제 구현 기술력 보유.
      (모바일 결제를 원하는 고객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있는 USIM칩에 애플릿을 발급)
      NFC 카드리더기 의 인증에 상당한 비용으로 인증기관에서 약 6 개월이 필요함.
[3]  HTML5 기반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핵심인 시그널링 처리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공유기에 접속되 있는 화상회의 클라이언트가 방화벽에 의해 차단되 있을때
           TCP/UDP 홀펀칭 기술을 적용해 시그널링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기술을
           보유함.
[4]  초창기 웹 DB 기술인
       JDBC 드라이버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SQL 쿼리로 DB 데이타를 접근하고
       JSON 데이타 형식으로 웹 과 안드로이드 앱 간에 데이타의 CRUD 연산을
       처리하는 기술을 보유함.
[5]  TI IPNC IP Camera S/W Camera 부분 포팅 기술 확보 성공.
       TI 3rd Party 인 대만 APPRO 사 DM385 IP Camera 카메라 부분 수정 포인트
       기술확보 성공.
[6]  핀테크 핵심기술인 블럭체인 세부 구현기술 확보
         -  공개키 기반 암호화 기술 구현 노하우 확보 성공.
         -  PKI 체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인값을 생성 및 검증하는 방법 노하우 확보.
         -  해시 알고리즘에는 MD5, SHA1, SHA-256 등이 있지만, 최근에는 안전성의 이유로
             SHA1, SHA-256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SHA-256을 보다 더 권장하고
             있다.
             서명 알고리즘으로는 RSA, ECDSA이 존재하며 안전성의 이유로 보안강도 112 bits가
             되도록 RSA의 경우 2048 bits,  ECDSA의 경우 224-225 bits 이상을 권고하고 있다.
[7]  라즈베리파이 보드를 사용해서 사물인터넷 서버 보드 플랫폼 S/W 설계기술 확보 성공
        - 라즈비언 리눅스 커널 수정 포팅 노하우 확보.
[8]  브로드컴 칩셋을 적용해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보드 S/W 설계기술 확보 성공
           -  WIFI AP (Access Point) 개발기술 확보 성공
           -  Nordic nRF51822 로 1 : N 통신 기술확보 성공
           -  만능리모콘 제어기술 개발 방법 확보.
 


연락처 :   http://dmbtec.blogspot.kr  
개발총괄 겸 대표   
위의 연락처로 개발용역 및 컨설팅 문의를 주시면 성심성의것 답변드리겠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