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사용자 모임 게시판
(글 수 3,442)
요즘 네이트온 로그인할때마다 사이트가 뜨길래
왜이런가 하고 봤더니 '로그인시 보기 설정'이란거에 '사용 안 함'은 없고
네이트를 보던가 핫클립을 보던가 택일이 됐네요.
MSN메신저 이제 충분히 밀어냈다 싶은가 봅니다.
전 SK의 진정한 병맛은 통메가 아니라 네이트온이 아닌가 싶습니다 ㄱ-)
배너광고에 각종 탭도 모자라서 이제 강제적으로 사이트를 열리게 만들다니...
왜이런가 하고 봤더니 '로그인시 보기 설정'이란거에 '사용 안 함'은 없고
네이트를 보던가 핫클립을 보던가 택일이 됐네요.
MSN메신저 이제 충분히 밀어냈다 싶은가 봅니다.
전 SK의 진정한 병맛은 통메가 아니라 네이트온이 아닌가 싶습니다 ㄱ-)
배너광고에 각종 탭도 모자라서 이제 강제적으로 사이트를 열리게 만들다니...
2010.04.22 13:38:04
전 안드로이드폰을 쓰다보니 여러모로 구글톡이 편해서 조금씩 옮겨타려고 준비중에 있습니다 ㅋ
아직은 저도 반 강제적으로 네이트온을 사용하고 있지만요...
2010.04.22 13:48:02
(추천:
0 / -1)
뭐...무료로 쓰고 있는 입장에서 그 정도는 애교라고 보여지네요.
한번 클릭해서 창 닫는게 무지 어려운 일도 아닌데 그에 반해 범국민적인 메신저로써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으니..^^
뭐, 제 입장입니다.^^
2010.04.22 14:44:40
끊임없이 네이트온 광고 제거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이유중 하나죠...
곧 저런쓸떼없는 사이트 뜨는것도 제거해주는 프로그램을 누군가 만드실듯한...;;
곧 저런쓸떼없는 사이트 뜨는것도 제거해주는 프로그램을 누군가 만드실듯한...;;
2010.04.22 15:37:58
쩝 구글에서 하는건 죄다 킹왕짱이라 생각 하시나요?
회사에서 구글독스와 구글톡을 쓰는데. 파일전송도 제대로 안되는놈이 구글톡입니다.
참고로 파일전송되는 영문버전 일괄 사용중이고요. 동일환경에서 네이트온으로는 파일전송이 되는데.
구글톡만 안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룹? 이딴것도 물론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메신저 편의성 측면에서는 MSN아니면 네이트온이 가장 좋은데. 적어도 국내에서는 네이트온이 좀 더 좋아 보입니다.
회사에서 구글독스와 구글톡을 쓰는데. 파일전송도 제대로 안되는놈이 구글톡입니다.
참고로 파일전송되는 영문버전 일괄 사용중이고요. 동일환경에서 네이트온으로는 파일전송이 되는데.
구글톡만 안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룹? 이딴것도 물론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메신저 편의성 측면에서는 MSN아니면 네이트온이 가장 좋은데. 적어도 국내에서는 네이트온이 좀 더 좋아 보입니다.
2010.04.22 17:24:37
댓글달아주신분들 말씀대로 대중성이 있고 편한것도 있고,
게임톡을 비롯해서 별도의 과금이 없는 건 고맙게 생각하고 있지만
아예 웹브라우저가 켜지는 방식의 팝업은 영 마뜩찮네요. 전 PC 재부팅이 잦은 편이라 로그인할때마다 한번씩 꺼줘야되니...
게다가 요즘 네이트온 하는거 보면 광고보는게 충분히 과금 수준이지 싶습니다.
2010.04.22 17:39:56
그렇다면 구글도 욕을먹어야 맞지 싶은대요.
예를들면 유튜브만해도 최근에 동영상에 오버레이 광고가 시작되었죠.
뭐 구글은 광고로 밥벌어 먹는회사고 SKT는 통신으로 밥벌어먹고 사는 회사이긴 합니다만...
네이트온은 엄밀히 말해서 이통이랑은 관련이 없죠.
즉! 회사내에서 매출이 없을경우 다 짤려도 할말없는 팀이라는 거...
결국 유저 입장에서 귀찮아진것이 사실이지만 갸들도 살려면 방법이 없는거죠.
좀 귀찮지만 설정에서 그나마 좀 작게 뜨는 핫클립 뜨기로 바꾸는게 현실적이라 생각 되내요.
제가 광고 관련 회사에서 개발팀에 있다보니 이런부분이 좀 와닿는 면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유튜브만해도 최근에 동영상에 오버레이 광고가 시작되었죠.
뭐 구글은 광고로 밥벌어 먹는회사고 SKT는 통신으로 밥벌어먹고 사는 회사이긴 합니다만...
네이트온은 엄밀히 말해서 이통이랑은 관련이 없죠.
즉! 회사내에서 매출이 없을경우 다 짤려도 할말없는 팀이라는 거...
결국 유저 입장에서 귀찮아진것이 사실이지만 갸들도 살려면 방법이 없는거죠.
좀 귀찮지만 설정에서 그나마 좀 작게 뜨는 핫클립 뜨기로 바꾸는게 현실적이라 생각 되내요.
제가 광고 관련 회사에서 개발팀에 있다보니 이런부분이 좀 와닿는 면이 있습니다.
2010.04.22 21:50:43
저는 요즘 네이트온을 거의 안들어가지만...
강제적으로 사이트를 팝업 시키는건 불공정 거래 행위일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네이트의 페이지 뷰를 올려 광고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팝업 시키고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에게 트래픽을 발생, 부당 요금 청구를 하게 하고 있습니다.(무선망을 이용하면 트래픽=돈 이죠)
그리고 광고주에게도 의미없는 광고 노출 횟수를 늘리면서 부당 요금 청구 하게되는거죠.
자세한건 공정위에 문의를 해봐야 알게되겠지만 현재로써는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2010.04.22 22:04:49
공정위 주요 상담사례 내용입니다.
네이트온을 주 상품이라고 보고, 주상품 시장에서 상당한 지배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거래 상대방(사용자)에 대해 거래를 강제할 능력(강제 팝업)이 있습니다.
또한 주상품(네이트온) 부상품(네이트 포탈)은 나눠져 있어 사용자의 의지해 의해 각각 나눠 구입 할 수 있습니다.(들어 갈 수 있습니다.)
또한 여기서 1에 해당하는 정상적인 거래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게(사용자의 동의 없이 강제로 포탈에 접속하도록 한 점) 경쟁 사업자(다른 포탈 사업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강제로 자사 포탈 사업으로 끌어들임)를 하였습니다.
------------------------------------------------------------------------------------------------------------------------------------------------------------------------------------
위에 쓴 내용은 공정위의 대답과는 무관하게 제 스스로 판단해본 내용이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일단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신고는 어찌하는건가요? 이런건 해본적이 없고 귀차니즘 발동으로 인해 안하게된다는...
그냥 네이트온 안쓰고 말지 하죠 ^^;;;;;;;
제 목 | 거래강제(끼워팔기) 행위의 요건 | ||
---|---|---|---|
등록일 | 2008-05-08 | 담당부서 | 시장감시정책과 |
1.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이하, \\\\\\\"공정거래법\\\\\\\"이라 함) 제23조 제1항 제3호 및동법 시행령 별표 제5호 가목에서는 \\\\\\\"사업자가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자기의 상 품또는 용역을 공급하면서 정상적인 거래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게 다른 상품 또는 용역을 자기 또는 자기가 지정하는 사업자로부터 구입하도록 강제하는 행위\\\\\\\"를 거 래강제(끼워팔기) 행위로 보고 이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2. 다만, 공정거래법상의 거래강제(끼워팔기)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 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끼워파는 상품(주상품)과 끼워팔리는 상품(부상품)이 독립적 효용을 가지고 있 고 개별적으로 구입이 가능할 것 (2) 끼워팔기를 시도하는 사업자가 주상품 시장에서 상당한 지배력(시장점유율 등) 을 가지고 있고 거래상대방에 대해 거래를 강제할 능력이 있어 주상품과 부상 품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하고 있음 |
네이트온을 주 상품이라고 보고, 주상품 시장에서 상당한 지배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거래 상대방(사용자)에 대해 거래를 강제할 능력(강제 팝업)이 있습니다.
또한 주상품(네이트온) 부상품(네이트 포탈)은 나눠져 있어 사용자의 의지해 의해 각각 나눠 구입 할 수 있습니다.(들어 갈 수 있습니다.)
제 목 | 「부당한 고객유인」 이란 무엇인가? | ||
---|---|---|---|
등록일 | 2008-05-08 | 담당부서 | 시장감시정책과 |
ㅇ\\\\\\\"부당한 고객유인\\\\\\\"이란 부당하게 경쟁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 도록 유인하는 행위로서 다음과 같이 3개의 유형이 있음(시행령 제 36조 제1항 관련 제4호) 1. 부당한 이익에 의한 고객유인 - 정상적인 거래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거나 과대한 이익을 제공 또 는 제공할 제의를 하여 경쟁사업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 2. 위계에 의한 고객유인 - 부당한 표시·광고외의 방법으로 자기가 공급하는 상품 또는 용 역의 내용이나 거래조건 기타 거래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 실제 보다 또는 경쟁사업자의 것보다 현저히 우량 또는 유리한 것으 로 고객을 오인시키거나 경쟁사업자의 것이 실제보다 또는 자기 의 것보다 현저히 불량 또는 불리한 것으로 고객을 오인시켜 경 쟁사업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 3. 기타의 부당한 고객유인 - 경쟁사업자와 그 고객의 거래에 대하여 계약성립의 저지, 계약 불이행의 유인 등의 방법으로 거래를 부당하게 방해함으로써 경 쟁사업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 |
또한 여기서 1에 해당하는 정상적인 거래관행에 비추어 부당하게(사용자의 동의 없이 강제로 포탈에 접속하도록 한 점) 경쟁 사업자(다른 포탈 사업자)의 고객을 자기와 거래하도록 유인하는 행위(강제로 자사 포탈 사업으로 끌어들임)를 하였습니다.
------------------------------------------------------------------------------------------------------------------------------------------------------------------------------------
위에 쓴 내용은 공정위의 대답과는 무관하게 제 스스로 판단해본 내용이므로 사실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일단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신고는 어찌하는건가요? 이런건 해본적이 없고 귀차니즘 발동으로 인해 안하게된다는...
그냥 네이트온 안쓰고 말지 하죠 ^^;;;;;;;
2010.04.22 22:31:14
다른 이유가 아니라 사이트 뜨는것때문에 병맛의 최고봉이라 하신다면 좀 오바 아닌가요..
물론 여기 오시는 분들이야 얼리어답터에 속하는 분들이 많으시니 구글톡이나 다른 메신져 장점을 많이 보고 하시겠지만..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는 메신져 하면 네이트온입니다. 그렇게 많은 불만 가지고 있지도 않은거 같구요
사실 저는 네이트온 정말 잘쓰고 있거든요. 문자대화 같은경우도 급할때는 타자로 쉽게 대답할 수 있구요.
2010.04.23 02:28:13
네이트온 매우 좋습니다. 하단의 광고 정도는 애교로 봐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사용자의 허락없이 마음대로 뜨는 네이트 메인 페이지입니다.
저는 네이트온 업데이트하고선 네이트가 자동으로 뜨길래 바이러스라도 걸린 줄 알았습니다.
2000년에 가장 불만이 많았던 게 팝업 광고 아니었나요. 그거 때문에 브라우저에 팝업 차단 기능까지 생길 정도였는데,
네이트온이 폰(poXn)광고에나 쓰이는 그 광고방식을 10년이 지난 지금 부활시켰군요.
네이트 메인 페이지를 차단할까 진지하게 고민할 정도로 짜증납니다.
P.S) 네이트온이 좋은 메신저임을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네이트 메인 자동팝업이 마음에 안든다는 거죠.
연구실 컴퓨터는 늘 켜져있기 때문에 가끔 리붓할 때 밖에 보지 않지만,
개인컴에는 Windows용 pidgin을 설치해야 하나 고민할 정도입니다.
문제는 사용자의 허락없이 마음대로 뜨는 네이트 메인 페이지입니다.
저는 네이트온 업데이트하고선 네이트가 자동으로 뜨길래 바이러스라도 걸린 줄 알았습니다.
2000년에 가장 불만이 많았던 게 팝업 광고 아니었나요. 그거 때문에 브라우저에 팝업 차단 기능까지 생길 정도였는데,
네이트온이 폰(poXn)광고에나 쓰이는 그 광고방식을 10년이 지난 지금 부활시켰군요.
네이트 메인 페이지를 차단할까 진지하게 고민할 정도로 짜증납니다.
P.S) 네이트온이 좋은 메신저임을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네이트 메인 자동팝업이 마음에 안든다는 거죠.
연구실 컴퓨터는 늘 켜져있기 때문에 가끔 리붓할 때 밖에 보지 않지만,
개인컴에는 Windows용 pidgin을 설치해야 하나 고민할 정도입니다.
2010.04.23 10:06:10

SK에서 싸이월드를 인수하고 다수의 유저를 포용하게 되면서 생겨난 문제인듯합니다. 제 주변만해도 그전까지 msn을 많이 사용하더니 지금은 다른 메신저를 사용하려고 해도 아무도 사용하려하지 않아서 할수도 없습니다.
개발자들이나 온라인 생태를 어느정도 알고 있는 분들이야 합리적인 수단을 강구한다지만 네이버, 네이트, 다음밖에 모르는 일반 유저들은 아무리 불편해도 감내하고 그냥 사용합니다.
광고도 아마 그런부분을 노리는 것이겠지요. 대다수의 보통 사용지들은 당연히 그런가보다하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