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APP을 업데이트 했는데요.  

업데이트 거부 메일을 받았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Soul Movie(패키지 ID: *****) 제출이 거부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기존 앱의 업데이트가 거부된 경우업데이트 이전에 게시된 버전은 Google Play에서 여전히 노출 될 것이며,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설명된 문제를 해결한 다음 변경한 업데이트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거부 이유: 콘텐츠 정책의 스팸 조항 위반(자세한 내용은 키워드 스팸 정책 도움말 참조)

  • 설명란에 관련성이 떨어지는 키워드를 포함하여 '유인 키워드 반복'을 수행해서는 안 됩니다.

  • 앱 설명, 제목 또는 메타데이터에 관련성이 없거나 올바르지 않거나 과도한 키워드를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 다른 인기 상품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제목 및 설명을 허가 없이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앱 설명에 사용자의 사용후기를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사용후기는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인기 검색어 및 경쟁 앱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이는 여기 설명된 정책을 위반하는 것입니다. 사용자가 Play의 댓글 리뷰 시스템을 통해 자발적으로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하세요.

위 기준에 맞도록 일관된 문장이나 구조화된 목록으로 기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시기 바랍니다.

제출이 거부된 모든 내역은 기록되어 추적됩니다. 앱이 정책 위반으로 인해 여러 번 거부되면 배포가 정지되며 양호한 상태의 개발자 계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앱은 더 이상 Google Play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 알림은 카탈로그에 있는 다른 앱에도 적용됩니다. 카탈로그의 다른 앱이 위의 정책 또는 기타 정책을 위반하지 않는지 즉시 확인하여 앱이 추가로 제출 거부 또는 정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앱을 게시하기 전에는 개발자 배포 계약 및 콘텐츠 정책을 준수하는지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Google의 결정이 잘못되었다고 생각되면 Google Play 도움말 센터를 방문하여 관련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그런데,  APP 설명이 내용을  최소 1년이상 거의 4년이상을 그래도 써 오던 것이랍니다. 

업데이트하면서는 Update내용만 추가하구요. 



https://play.google.com/about/developer-content-policy.html#spam


스토어에서의 스팸 및 게재순위
개발자는 Google Play에서 최적의 사용자 환경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파트너입니다.

  • 콘텐츠를 반복 게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 앱 설명, 제목 또는 메타데이터에 관련성이 없거나 올바르지 않거나 과도한 키워드를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 개발자는 허위 설치, 대가성 또는 허위 리뷰/평점 등 승인되지 않은 수단을 동원하거나 제품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스토어에서 제품의 순위를 변경하거나 제품의 리뷰 또는 평점을 조작하려 시도하면 안 됩니다.
  • 앱을 만들기 위한 자동화된 도구나 마법사 서비스의 운영자는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도구를 사용하여 만든 앱을 Google Play에 대신 제출해서는 안 됩니다.
  • 주요 기능이 다음과 같은 용도인 경우 앱을 게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 제휴사 트래픽을 특정 웹사이트로 유도하거나
    • 소유하거나 관리하지 않는 웹사이트의 웹 보기를 제공(웹사이트 소유자/관리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경우는 예외)
  • 사용자가 콘텐츠와 대상 수신자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대신 SMS, 이메일, 기타 메시지 등을 보내지 않아야 합니다.

위 링크에 있는 설명을 봐도 도대체 물 하라는 것인지 정학히 알수가 없군요 ㅡ.ㅡ


  • 콘텐츠를 반복 게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 구글 Play에 여러개 올리지 말라는 건지? 아니면 내용중에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쓰지 말라는 건지?  도대체 콘텐츠가 어디까지 이야기를 하는거야?   어째는 두가지다 해당 안되고...

  • 앱 설명, 제목 또는 메타데이터에 관련성이 없거나 올바르지 않거나 과도한 키워드를 포함해서는 안 됩니다. ==> 자막을 지원하는 비디오 플레이어라 지원하는 자막 파일 포맷을 열거한 했는데, 이것이 과도한 키워드가 되나?  어떻게 지원하는 목록을 설명하라는 거지?  젠장 아무튼 자막 파일 포맷 목록을 빼고 구름잡는 설명을 교체해봄!

  • 개발자는 허위 설치, 대가성 또는 허위 리뷰/평점 등 승인되지 않은 수단을 동원하거나 제품 평가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스토어에서 제품의 순위를 변경하거나 제품의 리뷰 또는 평점을 조작하려 시도하면 안 됩니다. ==> 이런거 없음
  • 앱을 만들기 위한 자동화된 도구나 마법사 서비스의 운영자는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도구를 사용하여 만든 앱을 Google Play에 대신 제출해서는 안 됩니다. ==> 해당안됨
  • 주요 기능이 다음과 같은 용도인 경우 앱을 게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 제휴사 트래픽을 특정 웹사이트로 유도하거나  ==> APP 설명중에 사용자가 폰의 버그를 APP버그 오인하는 문제가 있어서 자세한 설명을 Naver에 이미지와 같이 설명해 놓고 한개의 Link을  설명에 넣었는데, 이것이 문제인가?  이런경우 구글사이트 어디에 올리고 링크걸어야 하는건가?    아무튼 설명 삭제...
    • 소유하거나 관리하지 않는 웹사이트의 웹 보기를 제공(웹사이트 소유자/관리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경우는 예외)  ==> 해당없음.
  • 사용자가 콘텐츠와 대상 수신자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대신 SMS, 이메일, 기타 메시지 등을 보내지 않아야 합니다.  ==> 이런기능 없음.

필요한 설명이지만  의심되는 2가지 빼고  다시 업데이트 해 보았습니다. 

도대체 뭘 수정하라는 건지?  
애플은 최소한 잘못된 곳을 알려주면서 수정하고 하는데, 
구글은 선문선답을 하는 것도 아닌고, 이게 몹니까?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