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부가세 관련해서 질문 하나 드려요~ 사실 저희가 처음 해보는 거라 헤깔리는게 많네요
구글플레이의 경우 부가세 신고를 어떻게 해야 되는지 헤깔려서 문의드리는데요. 아시다시피 수익배분이 7:3 이기 때문에 7을 받게 되는데 그럼 매출을 7로 잡고 부가세 처리를 하면 되는 것인가요?
만약 10으로 잡아야 되는 거라면
국내스토어같은 경우도 7:3인데 3에대한 매입세금계산서가 있으니깐 10을 매출로 잡고 부가세 처리를 하면 될 것 같은데
구글같은 경우 매입세금계산서발행이 없으니깐 그 3에대한 비용증빙을 어떻게 해야되는 지 몰라서요~ (그냥 구글 레포트로 증빙이 되는 건가요?)
그래서 매출을 7로 잡고 처리하면 되는 것인지..
혹시나 아시는 분들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해요
잘은 모르지만 구글과 부가세를 나누는게 아니라 10퍼센트가 부가세가 되는걸로 알고있는데요?
최종 소비자가 내는 세금의 개념으로 알고있어요.
따라서 매출의 10퍼센트를 부가세로 내는건데 물론 국내 판매에 한해서겠죠?
다른 나라는 다른 나라 세법이 있을꺼지만요..
만약 판매대금이 1만원 들어왔으면 1만원에 해당되는 부가세를 내야되는거지 구글과 나누는건 아니라고 알고있어요.
문제는 부가세를 구글이 내느냐 개발자가 내느냐 하는 문제겠죠.
구글이 안내니까 1만원짜리 상품을 1만1천원에 팔고 개발자가 1천원을 내는 거겠죠?
구글 Wallet 에서 한국 세금란에 10% 로 설정해 놓으세요.
그러면 한국에서는 알아서 10% 부가세가 붙어서 팔립니다.
1000원에 올렸다면 한국 마켓에서는 1100원에 팔리는거고
부가세가 먼저 10% 떼이고 그 이후 구글 3, 개발자 7 되게 됩니다.
만약 미리 10% 를 설정해 놓지 않았다면 개발자 7 나온거에서 전체 매출분의 10%를 부가세로 먼저 내셔야 합니다.
이 경우 구글과 같이 부담해야 될 부가세를 개발자가 다 부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가격에서 10%를 올리시는게 아니라 Wallet 설정에서 올리셔야 합니다. 이 설정에 따라 징수 순서가 달라집니다.
잘못알고 계십니다. 판매보고서를 확인해보시면 알 수 있을것입니다.
Wallet에 한국 세금에 10%로 설정한다면 10% 떼이고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부가가치세도 입금이 되므로 개발자가 납부해야 합니다.
그리고 10% 설정을 안했을 경우에도 개발자몫인 70%중에 부가가치세를 납부하는게 아니라 총 가격에서 계산합니다.
예를들어 1000원짜리 항목에 대해서
1) Wallet에 10%설정을 해놓은 경우.
사용자들이 구매하는 금액: 1100원
판매리포트에 다음과 같이 잡힙니다.
Google fee: -300원
Charge:1000원
Tax: 100원
즉 판매대금 입금은 800원이 되므로 100원을 신고납부해야 합니다.(700원 이익)
2) Wallet에 10% Tax 설정을 안해놓은 경우
사용자 구매금액: 1000원
Google fee: -300원
Charge:1000원
1000 * 1/11 = 91원을 부가가치세로 납부해야 합니다.(609원 이익)
Ecapyc 님이 말씀하신것과 같은 뜻으로 쓴건데... 제 설명이 좀 부족했나 봅니다.
제가 쓴, "부가세가 먼저 10% 떼이고 구글 3, 개발자 7 되게 됩니다" 라고 썼다고 개발자에게 10% 가 아예 안 오고
구글이 알아서 부가세 내준다고 이해될 수도 있었을거 같기도 하네요. 그냥 퍼센트 비율이 징수순서가 달라짐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는걸 나타낼려고 먼저 떼인다고 쓴 것입니다.
개발자 7 받은 것의 10%가 아닌 전체 매출분의 10%를 계산한다는 것도 똑같이 썼구요. 제가 좀 문장을 짧게 써서 얼추 그렇게 이해되었을지도 모르겠네요. 개발자 7 의 10%라면 다들 이렇게 해서 절세하지 누가 Wallet 에 입력하겠어요ㅎ
아무튼 Ecapyc 님이 자세히 예시도 들어주셔서 더 이해하기 쉽게 되었네요. 저도 예시를 들걸 그랬습니다.
구글에서 지급받는 돈을 기준으로 국내판매분과 해외판매분을 나눕니다.
국내판매분은 세금항목으로 따로 나오니 대충 그걸로 환산하면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