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클라우드를 많이 사용하고 또 서비스도 많아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앱을 개발해보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를 사용해볼까 하는데
앱 개발자로서 실무로 서버쪽을 다뤄본적이 거의 없어서 선택하는것에도 어려움이 있네요.
제가 아는건 서비스는 구글 앱 엔진, AWS, SoftLayer 정도가 있다는것과
구글 앱 엔진은 Paas, AWS는 Iaas 방식이고 Pass와 Iass의 차이점 정도만 약간 아는수준이고..
일단 각각의 서적들을 구입해둔 상태입니다. 각 이용사례들도 보긴했는데 각 서비스들을 비교해서 뭘 쓰는게 맞겠다 라는것은
잘 모르겠더라고요.
SoftLayer는 자료가 비교적 없어보여서 더 모르는 상태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할 때의 기준이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참고로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는 aws를 쓰는것 같긴 하더라고요)같은 사진기반SNS 일 경우 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들에 대해서 아시는 분이나 사용경험이 있으신분들의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관리 : pass > lass
비용 : pass < lass
위와 같지 않을까요? 서버를 잘 다루는 인력들이 있다면 lass 가 더 좋을 듯 싶고
그렇지 않다면 pass....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저는 서버를 못다루지만 그냥 서버호스팅....비용이 최우선이라...
레진코믹스에서 앱엔진을 사용해서 서버를 구축했었네요..아래 URL 한번 보세요~
http://www.slideshare.net/curioe_/lezhincomics-google-appengine-30453946
어떤 서비스를 하는 가에 따라 결정해야될 것 같습니다.
저는 SNS 앱을 서비스 중인 것도 있고 준비 중인 것도 있는데요..
아래와 같은 이유로 AWS로 선택했습니다.
-사용자 수에 따른 서버 자동 추가/제거 -> Load Balancer
-많은 수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 ->S3
-데이터베이스를 꾸준히 유지보수할 인력이 없음 -> RDS
-네트워크 관련: VPN, 방화벽 -> V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