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스트한 어플 이름 : 안심문자 알리미, 안랩 안전한 문자, 알약, 피싱가드, 후후, 뭐야 이문자

* 모두 무료 버전으로 설치하여 10월 11일 오전에 릴리즈되어 있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 모든 옵션은 최대로 활성화하였고, 어플간에 충돌이 날 수 있으므로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 아래의 웹주소가 담긴 문자를 보내서 테스트 하였습니다.

* 테스트 기기 : 옵티머스G 프로 LG-F240S Android 4.1.2, SKT LTE


 

 v.png

 

 

1. 안심문자 알리미

- 제작자가 접니다. 사심이 담겨있을 수도 있겠지만, 최대한 객관적으로 테스트하였고 결과에 대한 진정성 보장합니다.
- 모든 주소에 대해 악성/안전 유무를 올바르게 판단하였습니다.
- 숨겨진 주소를 끝까지 분석하여 APK 파일이 있는 주소나 악성인 이유를 악성/안전 유무와 함께 보여줍니다.
- 사용자가 신고한 데이터베이스로 웹주소를 판단하는 블랙리스트 방식이 아닌, 직접적이고 확실한 웹주소 내부 분석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 어제 최종 업데이트 되었으며, 9월 15일 출시, 4주동안 30번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사용자 피드백에 대해 모든 답변이 달려있습니다.


2. 안랩 안전한 문자

- 안랩에서 최근에 제작하여 무료로 배포한 어플입니다.
- 대체로 악성/안전 유무를 올바르게 판단합니다만, 간혹 악성인 문자를 안전하다고 판단하거나 주의라는 애매한 결과를 내기도 합니다.
- 악성이나 주의를 요하는 문자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로 보내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 10월 8일에 배포되어서 아직 업데이트는 없으며, 앞으로 자주 업데이트 되길 기대합니다. 리뷰에 답변은 달아주지 않습니다.


3. 알약

- 이스트소프트에서 제작하여 무료/유료로 배포한 어플입니다.
- 악성/안전 유무를 올바르게 판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위의 두 어플보다는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 안전한 웹주소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옵션이 없어서 웹주소가 있지만 알약이 반응없으면 안전하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악성이나 주의를 요하는 문자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로 보내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 9월 30일이 최종 업데이트 일자이며, 버전이 1.4.5 이고 오랜 기간 자주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4. 피싱가드

- NH농협에서 비티웍스라는 회사와 협작하여 무료로 배포한 어플입니다.
- 문자 내용중에 웹주소가 존재하면 무조건 의심 문자로 판단하여 알려주므로, 사용자가 악성/안전 유무를 판단하기 힘듭니다.
- 구글 플레이스토어 설명 글로 미루어 봤을때, 특히 금융기관을 사칭한 피싱 메세지에 특화되어 있는 듯 합니다.
- 9월 25일이 최종 업데이트 일자이며, 구글 출시일은 9월 1일, 6주 동안 어플 자체는 한번도 업데이트 하지 않았습니다.


5. 후후

- KT CS 팀에서 만들어 무료로 배포한 어플입니다.
- 전화, 스팸, 스미싱 등 다양한 연락에 대해 기존 사용자들이 신고한 블랙리스트를 바탕으로 표시해줍니다.
- 피싱가드와 마찬가지로 문자 내용중에 웹주소가 존재하면 무조건 메시지 도착이라고만 알려주므로, 사용자가 악성/안전 유무를 판단하기 힘듭니다.
- 10월 8일이 최종 업데이트 일자이며, 구글 출시일은 8월 27일 근처, 7주 동안 4번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6. 뭐야 이문자

- 잉카인터넷에서 만들어 무료로 배포한 어플입니다.
- 절반 정도의 스미싱 감지율을 보이며, 안전한 문자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 8월 28일을 마지막으로 업데이트 중단하였으며, 리뷰에 대해 30% 정도의 답글이 달려있습니다.



저도 대기업 등에 업고 광고 좀 많이 때려보고 싶습니다... 만 불가능할거 같고

그냥 어플의 정확성으로 승부보기로 했습니다. 입소문 나겠죠 뭐. ㅠㅠ

제가 테스트했던 웹주소들 외에 다른 웹주소도 얼마든지 테스트해보셔도 됩니다. 스미싱 리스트라고 검색하시면 나올겁니다.

관심가져주시고 설치해주신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더욱 열심히 스미싱을 때려 잡도록 하겠습니다!


아참~ 그리고 기존에 설치하신 분들은 꼭!!! 1.3.1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기 바랍니다.

솔직히 말씀드려 이전 버전에는 안전한 문자를 악성으로, 또는 반대로 판단하는 경우가 간혹 있었으나,

1.3.0 업데이트에서 아예 다른 분석 방식을 도입하여 현존하는 악성 문자 대부분이 올바르게 걸러지도록 수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