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 회색님~~ 위키도 하나 만들면 어떨까요? ㅎㅎ


Day 1 Keynote

Android

키라임파이는 없었으나, 4가지 주요 Feature를 공개함 

    • Google Maps API 2.0

    • Location APIs

    • Google + Sign-in 

      • (http://www.youtube.com/user/GoogleDevelopers?v=XclVwJP5GdM&t=24m17s )
      • 기존의 페북, 트위터의 O-auth와 유사하나,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 하면 구글 플레이에 있는 특정 앱을 설치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 
        (Ex. 11번가 웹에 로그인 하면 구글 플레이에 있는 11번가 앱을 OTA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동선 제공)
      • 2) 또한, 방금 설치한 그 앱 역시 자동 로그인 상태가 됨 (왜냐면 안드로이드 자체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 Google Cloud messaging  


    • Google Play Game


      • 클라우드 저장 (구글 싱크에 게임 데이터 저장이 있습니다.)
      • 업적, 리더보드 (게임센터 요소)
        // 전체 에서는 몇등이고, 주소록 친구 들 중에서는 몇등인지 알려줌..
      • 멀티 플레이(게임상대 매칭)

    • Android Studio


      • 영상링크: http://www.youtube.com/user/GoogleDevelopers?v=XclVwJP5GdM&t=35m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스튜디오처럼 안드로이드 개발할 수 있는 IDE를 추가 배포함 
        인텔리제이를 기반으로 만들었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별 화면을 따로 그려볼 수도 있는 등...
        개발자들의 여러 문제점을 도와주는 듯 합니다. 

        (이미 지난해 이클립스도 비슷하게 배포를 했었죠)

    • 개발자콘솔의 5가지 신규 업그레이드 추가

      • 영상링크: http://www.youtube.com/user/GoogleDevelopers?v=XclVwJP5GdM&t=39m45s
         
      • 최적화 팁 지원

        앱의 상세 페이지에서 앱을 분석해서...
        앱이 어떤 부분에서 깨지는지, 어떤 언어를 지원해야 더 잘 될 수 있는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검증이 없는 대신에, 기계 학습으로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
         
      • 앱 번역 제공

        전문 번역업체에 의뢰를 해서 풀 번역을 해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번역 메뉴가 있습니다. )
        즉, 어떤 언어를 지원해야 하는지를 인사이트를 얻고.. 바로 번역까지 할 수 있습니다. 
         
      • 프로모션 성과 측정과 구글 앱이용 통계 싱크

        구글 에널레틱스(앱이용통계)와 콘솔이 훨씬 강력하게 싱크되었습니다. 
         
      • 정산 정보 제공

        기존에 엑셀로 다운로드만 제공했던 것을 그래프와 나라별 통계 등을 제공합니다. 
         
      • 알파(스테이징) / 베타 테스팅 제공
        영상링크: http://www.youtube.com/user/GoogleDevelopers?v=XclVwJP5GdM&t=45m

        앱의 베타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 구글 그룹이나 구글 플러스 그룹으로 앱을 배포 할 수 있고, 
        • 구글 플레이로 배포를 하되, 유저의 몇 %를 샘플링해서 베타 테스트를 하고, 리뷰를 올리는 것이 아닌 개발자에게만 메시지가 날아가는 방식으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