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M과 CPC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광고 처음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기를...
잘 아시는 분들은 패스하세요... ^^;;;
CPM : 노출만되면 수익이 발생하는 광고
CPC : 클릭이 되면 수익이 발생하는 광고
CPM은 대부분의 광고대행사에서 전면 광고로 진행 합니다.
전면광고는 앱의 퀄리티를 심각하게 회손하기 때문에 다들 좀 꺼리지요...
근데 배너로 CPM이 진행되는 곳으로 애드몹이 있습니다.
여기서 착각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럼 당연히 애드몹의 CPM배너로 광고해야지!
이렇게요...
애드몹의 CPM배너 광고는 특정 앱에만 한정해서 할당됩니다.(내부적 기준은 아시는 분이 없더군요...)
개발자는 CPM배너에 대한 선택 권한이 없습니다.
그럼 CPM배너 광고가 노출되는 앱에 선정되면 무조건 CPM배너 광고가 잘 노출이 되느냐?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문제 역시 애드몹 내부에서 특정 기준에 의해서 할당됩니다.
CPC광고와 CPM광고가 별도로 있는 것이며 CPM 광고는 특정 앱에 일정량 공급됩니다.
앱마다 CPC광고와 CPM광고의 수익율은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앱은 CPM광고에서 CPC광고보다 큰 수익이 나는 것 같고, 어떤 앱은 반대인 것 같습니다.
(당연히 애드몹에서 CPM광고를 덜 준 것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1000회 노출되는데 왜 수익이 없을까요? 라는 질문을 올리신 분이 있습니다.
당연합니다...
클릭율이 0.1% ~ 1% 정도 되거던요... 대부분...
1% 넘어가면 클릭율이 높은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0.1%라면 1000회 노출에 1번 클릭 입니다.
1번 클릭이면 광고 종류에 따라서 10원~100원 이겠죠...
(애드몹의 경우 광고 종류에 따라서 단가가 다릅니다. 노출되는 광고의 선정 역시 애드몹에서 결정됩니다.)
1000회 노출 되었다면 재수 없으면 그냥 클릭 0도 나오죠... ^^;;;
그래서 일부 개발자들 중에는 부정 클릭을 유도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그런거 같습니다.
가급적이면 부정 클릭 유도 말고 사용자들에게 배너 노출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부정 클릭 유도로 클릭율 올리면 결국 퇴출될 수 있거던요...
좋은 앱 만들어서 성공들 하세요... ^^;;;
안녕하세요.
제노소프트(주) 오승열 입니다.
- 동영상 관련 : RTSP/RTP, RTMP/FLV, MPEG2-TS Mux/Demux/Analyzing, 스트리밍, Player(Window, Android, iOS), Codec(Cuda encoder/decoder), DirectShow 기술 보유
- 유튜브, 아프리카TV, 유스트림, 페이스북, 등 Live Streaming 사이트 연동
- P2P Streaming 기술 보유
- PC원격 모니터링 / 제어 / 공유
- 안드로이드 원격 모니터링 / 제어
- 화상 회의
- 화상 통화
홈페이지 : http://www.jenaus.com/
웹캠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 http://www.jenauscam.com/
Streaming, Player, DirectShow(Filter제작), P2P, 등의 기술이 필요하신분 연락 주십시요.
(Linux, Window, Android, 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