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안에서, 특정(허용된) 기기들만 인터넷 접속이 되도록 하고
대다수의 기기들(스마트폰, 태블릿, 넷북 등등)은 무선랜(인트라넷이죠) 접속만 허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습니다.
(어떤 목적으로 어떤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은건지.. 그 뒷얘기가 궁금하신 분은 http://www.androidpub.com/index.php?mid=androidqna&page=2&document_srl=2456962 를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링크의 첫 댓글에서 소개해주신 syncme 라는 앱을 사용 중입니다.)
공유기의 기본 ssid 는 MAC 인증방식으로 설정해서 특정 기기들만 등록하고
또하나의 ssid 를 멀티 무선네트워크 방식으로 제공하되, 인터넷은 막고 무선LAN 만, 그러니까 내부 기기들끼리의 무선연결만 허용하려고 합니다. MAC 인증은 하지 않고, 비번방식으로 하거나.. 혹은 아예 비번없이 개방형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해놓고 테스트를 해보는데.. 노트북에서는 무선랜이 잘 붙어서 내부망이 잘 보입니다.(인터넷은 막히구요)
그런데, 제 안드로이드폰(디자이어HD, 진저브레드)에서는 WiFi 를 붙이려고 해보면 'IP 를 받아오는중..' 뭐 이런 메시지가 뜨다가
WiFi 접속에 실패해버립니다.
(태블릿은 아직 테스트해보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질문 드립니다.
스마트폰에서는 WiFi 접속이라는 개념이.. 그냥 무선망에(공유기에) 붙는 것뿐만이 아니라 인터넷망까지 연결되는 것을 내포하나요?
그래서.. 제가 원하는 상황(스마트폰이 내부 무선망에만 연결되고 외부 인터넷과 단절되는) 을 얻을 수 없는 것인가요?
혹은.. 뭔가 설정을 잘 해주면 가능한 것인가요?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iptime 에 보시면 위와 같은 메뉴가 있습니다
멀티 SSID를 설정 후 '내부 네트워크 통신만 허용'만 체크 해주면 되겠지요
IP를 받아오지 못 한다면 다른 MAC관련 설정에 오류가 있지 않은가 싶습니다
초기화 후 처음부터 설정 해보심 어떨런지요
초기화 후 기본 SSID에 보안을 걸고 멀티무선네트워크에서 내부만허용 체크 해 주시면 추가 설정은 없어도 될듯 합니다
스마트폰이던 노트북이던 무선랜에 연결되는 방법은 모두 똑같은 절차를 밟습니다
WiFi = WLAN = 무선근거리통신망 = 인터넷 연결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