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과 개발을 동시에 하고있는 whitefc 입니다. ㅋㅋ
이제 곧 어플을 출시 예정에 있는데 수익 모델은 광고 플랫폼을 달아서 내는 것 입니다.
헌데 안펍 선배님들의 글을 보자하니 현재 광고 플랫폼 사들이 광고가 비수기라는 정보를 보고
미디에이션 업체를 이용해 보고자 합니다.
애드립 과 애드믹서 둘 중 하나를 골라서 해보고자 하는데 어떤게 리포팅이 확실하고 안정성 있는지
선배님들의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
-----
잡소리 . 기획과 개발을 동시에 하려니 어느 순간 저의 정체성에 대하여 혼란이 오더라구요..
선배님들은 어떤식으로 극복하시는지..ㅡ_ㅜ
보통 request 를 보내면 응답을 해줍니다. 이를 impression 이라고 하죠..
하지만 모든 응답에 모두 대응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fill-rate( impression / request )가 중요해지죠..
이때 생각해 볼 일이 있습니다.
대부분 메디에이션 서비스들은 impression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request를 재요청 합니다
그렇다면 fill-rate는 더욱 떨어지게 됩니다.
광고사가 이래서 메디이이션 서비스를 시러 하는거죠.. 서버부하를 늘리니깐요..
여하튼.. impression 이 발생되면 identity가 생깁니다.
그리고 광고를 클릭하면 identity 를 넘겨주게 되고 1 : 1 매칭이 되면 클릭으로 인정해줍니다.
그런데.. request 가 현란하게 많고.. impression 가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베너 화면에
광고를 그리는 시점에서 request 를 보내면 새로운 identity 가 발생이 되고..
클릭을 해도.. 아무짝에 쓸모없는 fraud click 으로 간주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적당한 request가 중요하게 되는거죠..
여하튼...... 광고의 fill-rate가 잘나오는 애들을 사용해야
request 가 줄어 들게 되어 CTR이 그나마 잘 나올 수 있으니.. 항상 확인해 보세요..
내용이 잘못된것 같네요.
1.
메디에이션 서비스가 부정(or무효)클릭에 미치는 영향은 0에 가까울것 같습니다.
보통 광고를 갱신할때 광고 오브젝트를 삭제/생성 하게 되는데, 글 내용처럼 request 측 identity는 새것을 받고 click의 identity는 예전것을 유지하는것은 일부러 만들기도 어려울것 같습니다.
2.
CTR은 click/impression 으로 계산하므로 request와는 무관합니다.
3.
fill rate이 높은 플랫폼사는 광고 단가가 낮거나 클릭 인정 비율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단가*클릭 인정 비율이 낮다면 fill rate이 잘나오는 애들을 사용해야 한다는 내용도 잘못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더구나 메디에이션 서비스를 사용하면 fill rate이 낮은 경우 보완할수 있기떄문에 fill rate보다는 단가*클릭인정비율이 높은 플랫폼을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위에 언급했듯이 리퀘스트가 늘어나면 필렛이 떨어질 수 있다는걸 이야기 했고
그 영향으로 1번의 이야기가 나왔는데 0 에 가깝다면 CTR과는 무관하겠군요..
과거 메디에이션에선 부정클릭이 많았었는데 1번의 사례가 있었습니다.
3번의 말씀은 적극 공감하지만 이것도 리케스트가 많으면 임프레션도 떨어지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메디에이션 서비스 자체가 안정적인 필렛 유지와 다양한 광고를 보여주기 위함인데..
단가만 생각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듭니다.
단가 높은거 걸어주는게 당연한데.. 단가는 높지만 안정적인 필렛이 나오지 않다면..
안좋은거 아닌가요?
애드립만 사용해봤습니다.
만족합니다. 아무래도 중복클릭은 걸러내지 못해서 실제 데이타랑은 차이가 있지만...
그외 리포트와 기능들이 맘에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