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먼저 개발자님들의 공간에 전혀 관련 없는 외부인이 이렇게 불쑥 글을 쓰게된 것을 사과드립니다. 제 소개를 하자면, 저는 모 대학에서 전략경영론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모바일 광고 솔루션에 대해서 그 솔루션의 소비자인 개발자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아시다시피 모바일 광고 솔루션을 서비스하는 기업이 참 많은데요, 저는 그동안 카울리가 가장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기사나 웹진에서 말하는 카울리의 고성과 사례나 매출 목표를 보면 카울리가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지만, 요새(가 아닌가요?) 아담이나 애드몹같은 솔루션들도 요새는 개발자님들이 많이 인식하시고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그간 눈팅을 해보니 카울리의 수익성이나 노출도 같은 지표에 의문을 가지고 계신 분들도 많은 것 같고.. 제가 고민하고 있는 것은 카울리의 향후 수익창출이나 기업목표, 비전 등 여러가지 측면을 어떻게 개선시켜 경쟁기업을 제치고 살아남게 할 것인가-라는 가장 단순하고도 복잡한 고민입니다. 따라서 카울리의 핵심 소비자인 개발자님들의 카울리에 대한 인식, 의견이 필요합니다. 또 개발자님들의 인식이 어떠했는지, 현재는 어떠한지 그 현황도 묻고 싶습니다.
개발자님들의 고견은 카울리가 대 소비자 서비스에 대해 어느 점을 개선해야 하고 보완해야 하는지를 생각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너무 부탁만 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개발자님들의 의견은 강의 내 팀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이며 기업에의 제안 목적, 공모전 등에는 활용하지 않겠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단가가 떨어져서 많이 안 쓰신다는 말씀이네요..
카울리의 회사소개서를 보면 광고단가에 있어 타사보다 우위에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게 개발자님들이 아니라
광고주들에게 어필하는 거였군요;; 다르게 말하면 메이저 어플리케이션에만 집중하는 모양이네요.
앱이 죽는 현상은 카울리때문에 앱이 비정상 종료되는 걸 말씀하시는 건가요?
예전보단 못하지만 아직도 카울리가 수익면에서는 제일 좋습니다. (카울리, 애드몹, 애드포스트 사용중)
여러가지 도전적인 시도(전면광고, 동영상, 3D, 확장형 등)는 장점이로 볼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복잡성 증가에 따른 죽는 문제등의 버그도 같이 증가하는 문제는 단점이네요.
가장 큰 문제는 CPC 단가가 10~20원 거의 바닥입니다. 전면 광고로 수익을 그나마 커버했는데
요즘은 전면광고를 적용한 앱이 많아서 그런지 노출율이 1~3% 수준으로 바닥입니다.
전면광고의 경우는 개발자가 목록에서 노출 선택을 했으면 합니다. 사용자에게
혐오감이나 불쾌감을 주는건 제외하고 싶거든요. (공포영화, 로딩과 동시 재생되는 동영상 광고 등)
얼마전 3.0 버전으로 전면 개편했는데 좀더 기대해 봅니다.
모바일 광고솔루션 회사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것 같은데요.
광고회사는 사실 제일 중요한 것이 광고주입니다.
솔루션이라고 하는 것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솔루션의 역할은 광고주와 매체사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이고요.
솔루션이 뒷받침 되었다고 하더라도 광고주와 매체사를 잡지 못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그러니까 광고회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1. 안정적인 광고솔루션은 기본: 광고주와 매체사가 불만을 제기하지 않는 수준
2. 충분한 광고주를 잡을 수 있는 마케팅 능력: 매체사를 잡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3. 충분한 매체사 확보: 위의 1, 2번이 충족되면 쉽게 해결될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광고 솔루션은 기본인거구요. 2번인 광고주가 제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사항을 카울리에 적용해서 생각해보면...
1번 광고솔루션이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입니다.
2번이 제일 중요한 부분인데 2번의 경우에 네이버나 다음에 밀리고요. 구글에도 밀립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다음도 이 부분은 취약하다고 봅니다. 2번의 경우에 네이버나 구글이 큰 강점인 것은 다 아실거구요.
광고회사는 1,2번이 선행되어야 성공하는데... 카울리가 `1번은 투자를 해서 해결한다고 쳐도
2번은 단순 투자로 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제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카울리의 미래가 그리 밝지 않아보입니다.
저는 솔직히 다음의 아담도 밝아보이지 않습니다. 왜냐면 2번 광고주 확보능력을 봤을때
다음은 네이버나 구글의 5%도 안될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카울리는 말할것도 없겠지요?
카울리에 대해서 어떤 것을 조사하려고 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광고회사는 솔루션 회사가 아닙니다. 솔루션은 그냥 기본에 해당하는 거구요
광고회사는 돈을 내는 광고주를 확보하는 능력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봅니다.
네이버가 모바일광고 시장쪽으로 상당히 늦게 나왔죠?
왜 그랬을까요?
제 생각으로는 아래의 두가지 때문이었을것으로 생각합니다.
1. 아직 모바일광고의 시장이 숙성되지 않았다. 그러니까 빨리 띄어들어봐야 돈이 안된다고 판단한거죠.
2. 천천히 시작해도 결국 승패가 갈리는 광고주 확보능력은 국내의 다른 회사는 네이버를 따라올 수 없다.
상생이 필요한데 혼자 먹고 살려고하니 안 쓰죠~
초창기 단가 높여서 개발자 끌고 투자자 끌더니 볼짱 다봤다는 식으로 운영하더라구요
개발자 단가는 플랫폼 중 최하 수준으로 내려가고 클릭률도 낮고~
타사 제품 써보면 안 쓰게 되는 이유가 더 명확해지죠~
더 중요한건 앱이 죽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모른다네요 ㅋㅋ 바로 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