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개발하고 있는 앱 마무리단계가 진행되고 있는데
실제 서비스 하는 서버를 클라우드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현재 생각중인건 biz ucloud, AWS가 있는데 어떤게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이런쪽으로는 많이 몰라서..
앱은 sns에 속하는 성격이고 글로벌 서비스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 짧은 지식으로는 서버가 위치한곳에 따라 속도등의 차이가 생길 수 있는것으로 알고 있어서
미국시장을 생각한다면 AWS를 사용하는게 좋을것 같은데
아무래도 biz ucloud가 세팅 및 운영, 서비스(AS)면에서는 더 편할것 같아서 고민이네요.
biz ucloud를 쓴다고 했을때 성능면에서 괜찮은지, 그리고 혹시라도 나중에 biz ucloud에서 AWS로 바꾸는것은 어려운건지..
혹시 써보신분이나 잘 아시는분 있으시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was가 아니라 혹시 aws 쓰실려고 그런거 아닐까요
편하신거는 ucloub biz가 제일 좋았습니다. 속도도 그렇고요
가격도 ec2에 비하면 평타는 치고 트래픽 한도도 더 좋고요

제가 뭘 잘못본 것인지는 모르겠는데 cafe24 가상호스팅이 더 저렴한것 같은데 다른것을 더 봐야 하나요?
서버쪽은 영 무지한 입장이라;; sns 게임 서버 구성해야 하는데 cafe24에 그냥 호스팅 할 생각인데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스럽네요. 어차피 어느정도 수준 이상이면 이전하긴 할것이지만 귀찮으니
한 곳에서 계속 서비스 하는 것이 좋을테니까요
저도 서버쪽을 잘 몰라서... 살펴보니 cafe24에서도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나보네요.
가상서버
http://hosting.cafe24.com/?controller=product_server_virtual&method=linux
클라우드
http://hosting.cafe24.com/?controller=product_server_cloud
아래는 기사 내용중 일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서버 자원을 쉽고 빠르게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의 최대 강점”이라며 “특정 기간에 접속자가 몰리는 이벤트를 기획하거나 임시로 고성능 서버가 필요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저희같은 경우는 서비스를 처음시작해서 사용자, 트랙픽이 어느정도일지 예측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
유연하고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고려하셔야할 사항이 서비스의 확장성 때문에 약간 고비용이라도, 클라우드라는 사용하시는거 같은데요.
클라우드 이름이 붙어진 서비스를 쓴다고, 서비스 자체가 확장에 유연해 지지는 않습니다.
현재 서비스를 해당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확장을 가정으로 할때, 어떤 방식으로 확장될수 있는지 시나리오를 잘 고려하시고 선택하세요.
지리상으로는 당연히 해외 유저가 타겟이면 AWS 나 heroku, Rackspace, linode, google compute 같은걸 선택하셔야 할꺼고,
국내면 kt 같은걸 선택하세요. (저는 국내는 아직 추천할 만한 곳이 없는데 쓸만한 곳은 아직 kt밖에 없습니다. )
다만, 국내의 경우에는 제가 느끼기에 비용 대비 클라우드 이점이 크지는 않습니다.
이미지 카피를 통한 스케일 out 을 쓰지 않는다면 국내 호스팅 업체에 요청후 몇시간안에 서버 세팅되구요.
평소에 세팅 스크립트를 관리하면 세팅후 늦어도 1시간 내에는 동일 인스턴스를 만들수 있거든요.
이정도 대응성이면 트래픽 추이를 봐서 선대응 할수 있습니다.
----
비용 절감을 생각하신다면, 되도록 작게 저렴하게 시작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오픈하자마자 급격히 커지는 서비스는 가능성이 매우 적구요. 그런 상황이 닥치더라도,
대부분 트래픽이 수용 가능 수준으로 가속해서 증가기 때문에 선대응 할수 있습니다.
(애니팡 같은 경우는 1년에 한건 있을까 말까 하죠.)
그래서 스케일 아웃이 매우 필요하다면 그때 옮겨도 늦지 않습니다.
----
ps.
PaaS 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니 넘어갑니다.
AWS 의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해택 역시 넘어갑니다. (모두 다 초기 스타트업에게는 꽤 큰 비용입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최종적으로는 해외유저를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딱히 특정 나라를 타겟으로 하는것은 아니지만
국가 영향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처음 언어지원은 한글, 영어부터 시작)
최종적이라는 말은 저희 현 멤버중에 외국문화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없어서 아무래도 미비한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어서이고요.
같은 이유로 AWS를 사용하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지금 서버쪽 하시는분이 아무래도 부담을 가지시는것 같아서
국내 서비스를 고려중입니다.
말씀해주신대로 나중에라도 옮겨도 되는것이라면 처음에는 kt나 국내 호스팅 업체에서 시작해도 괜찮겠네요.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AWS 사용중입니다.
로드밸런싱과 스케일아웃등의 확장성을 생각하신다면 AWS 밖에 답이 없습니다.
국내 클라우드는 제가 봤을때는 카페24의 가상서버와 그다지 다를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하기엔 쓸데없이 돈이 들어간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서버를 구매해서 넣던 옛날에 비하면 저렴함에도 불구하구요. ㅎㅎ
그리고 가까운 일본 서버를 쓴다고해도 한국에서는 느립니다. 그거 감안하세요.
오히려 홍콩을 비롯한 동남아 권에서는 무지 빨라요.;;
대한민국의 망사업자들은 경쟁자들이 늘어나야 정신 차릴것인지...해외 사업자가 들어오길 바랄정도네요.
was 가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