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부 학사를 졸업하고,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학사 막바지에 관심을 가져서 대학원을 컴공으로 이제막 들어온
대학원생입니다. 안드로이드 기초적인 애플리케이션 제작과,
하이버스사의 임베디드 리눅스보드에 gpio에 led를 연결하고 a/d에 조도센서를 연결하여 동작시키는 드라이버커널을 하나 만들어
올려본정도밖에 되질않습니다.
안드로이드 메모리 릭 문제가 많아 이부분 해결책을 찾고 제시하는 쪽으로 공부를해나가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공부를 시작해야될지 감이 잡히질않아 조언을 얻고자 고민을 거듭하다 끝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보더라도 안드로이드 플랫폼 자체의 버그를 잡아 적용시키거나 하는 글들을 미약한 능력으로는 도저희
검색조차 하질못하고있어 일단은 기초지식이 많이부족하기에 안드로이드 플랫폼 분석과 포팅하는 방법부터 익히고자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제가하고싶은것이 앞서말한것과같이 안드로이드플랫폼 자체의 메모리릭과같은 문제를 분석하고 그것에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그런쪽을 공부를 하고싶습니다.
어떤식으로 공부를 해나가면될지., 뜬구름잡기마저 되지않고있는 상황입니다. 조금이나마 방황하는 저에게 방향을
제시하여 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선배님들의 조언과 가르침 부탁드리겠습니다.
... 일단 공부를 위해 준비해논 책으로는 '안드로이드의 모든것 분석과 포팅' 한빛미디어
책을 한권 준비해놓았습니다.
따로 추천해주실만한 책자라던가, 사이트, 자료, 문헌, 논문,.. 조금이라도 귀뜸 부탁드리겠습니다.
반갑습니다. 아주 어려운 내용을 다루는 공부를 하시는군요 ^^
일단 안드로이드 플렛폼 전반에 거처 공부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말이 쉽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라 생각이 드는데요
안드로이드 플렛폼을 공부하는 스터디 입니다. 책 집편을 목표로 하고 있고
현재까지 인사이드 , 아나토미니 안드로이드 를 발간한 프로젝트 팀입니다.
스터디 장님이 김태연님 되실껍니다.
http://www.androidpub.com/2268809#1
또한 국내에서 칸드로이드 www.kandroid.com 에서 홍삼님이 언급한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습니다. 그쪽에서 자료를 구하거나 질문을 하시면 종종 답변이 오가곤 할껍니다.
메모리릭 문제는 플렛폼과 언어의 메카니즘 모두 다루어야 하므로 C, C++, Java (JVM)을 두루두루
공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생각만으로도 끔찍하네요 ㅎㅎ
건투를 빌겠습니다.
파워 또는 메모리 릭 관련된 논문도 찾아보시면 있을꺼에요.
대부분 안드로이드 오리저널소스에 '디텍팅 및 분석' 또는 '성능개선'하는 코드를 넣고 실제 타겟에 올려서 실험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요.
따라서 안드로이드 원소스를 받으셔서 타켓에(임베디드보드 또는 구글 레퍼런스 휴대폰) 올리시는걸 먼저 해보세요.
그다음 kernel과 framework을 분석해서 공부해가며 아이디어가 도출되면 적용해보는 방향으로 진행하시면 될거에요.
연구실에 좋은장비가 없다면 가능한한 kernel부분만 건드시는걸 추천해요. 음.. 자세한건 공부하시다 보면 알게되실거에요.
저랑 반대시네요
저는 전산학 전공으로 전자 계열 회사 입사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가 뜨고 나서는 안드로이드 플렛폼 쪽 일을했습니다.
칩에 맞게 드라이버 수정해서 안드로이드 컴파일하고 보드에 올리는거죠.
말씀하신 분야는 순수한 소프트웨어 분야 - 구글의 순수 안드로이드 코드 - 인것 같은데. 해당 일에 대한 수요가 거의 없지 않나 생각합니다.
국내 전자 회사들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식이 정말 취약하고 미약합니다. 시대가 바뀌었는데 말이죠.
소프트웨어적인 이슈나 성능 향상??? 그런거 할시간도 없고, 회사에서는 개념도 없습니다.
하드웨어 버그 소프트웨어로 땜빵 하는게 주된 일입니다.
저는 도저히 안맞아서 때려치고 지금 안드로이드 앱 개발 합니다.
저기 대기업 순수 연구직은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테크트리는 그렇습니다.
해당 일에 실무 하시는 분들과 이야기좀 나눠 보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이야기 하신것을 하려면 c언어의 메모리 릭 찾는것 부터 하셔야 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