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용자 200만명정도 되는 앱이하나있는데 서버를 어떻게 해야할질 모르겠네요
웹프로그래밍 해본적도 없는데 서버-클라이언트 기반으로 변경해야하네요;;
(앱시작할 때에 앱의 어떤 상태값을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새로운 설정값만 보내주는 정도입니다.)
프로그래밍이야 공부 시작했지만 서버는 어떻게 해야할지 난감해서 글올려봅니다.ㅠㅠ
아무래도 일반컴퓨터로 돌리기에는 무리일 것 같고
서버 하나 조립하려 하는데 이쪽에대해 뭐 아는게 없으니.. 미치겠네요 ㅎㅎ
얼마짜리를 어느정도사양을 사야할지, 살때 뭘 고려해야 하는지, 한대로는 부족할지, 회선은 어떻게해야하는지..
아니면 호스팅업체같은곳을 사용하는게 낫을까요?
단순히 jsp같은 웹프로그래밍만으론 알기힘들 것 같은데 또 어떤걸 공부해야 하는건가요?
쓰고나니 정말 두서 없네요... ㅎㅎ 고수님들 의견좀 여쭤봅니다 ^^
아마존 서비스가 확정성이나 이런부분에서는 제일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테스트용으로 사용해보니 가격이 조금 비싼감이 있습니다;
국내 스마일서브나 통큰아이 이런쪽에.. 저렴한 서버를 이용해 보시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아마존에서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를 제공 하긴 하지만.. 200만정도 되는 사양을 커버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사양인것 같습니다. ^^;
근데 200만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동접이 얼마나 나오고 트래픽이 얼마나 발생하는지 예상해보는게 먼저인것 같습니다.
그에 따라 구성이 달라요.
그리고 php, jsp, node.js 등등등 뭐라도 웹어플리케이션정도는 만드실 수 있어야 합니다.
아니라면 c 나 java로 서버프로그램을 하시던가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
한달에 한두번 1MByte정도되는 DB업데이트도 해야할것 같아서
ballork님께서 말씀해주신 스마일 서브랑 통화해보고 그쪽으로 하려고 가닥잡았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더있네요 ^^;
지금 jsp공부 시작했는데 이것만 알고 있으면 기능 구현 가능할까요?
아니면.. 어림도 없나요...? ㅠㅠ
클라우드 가상 호스팅과 가상서버 호스팅은 서로 다릅니다.
가상 서버 호스팅은 CPU가 쉐어 모드로 돌아가는데 비해
클라우드는 일정 코어를 지급 받을 수 있죠.
아마존 Micro 에디션은 사양도 안좋을 뿐더러 (자라리 집 컴 쓰시는게 훨씬 낫죠)
동접이 아니더라도 200만명은 견디기 힘듭니다.
또한 트래픽 부분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일정 이상 되면
트래픽 요금이 부과 되기 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클 수 있습니다.
KT에서 나온 biz ucloud 1달 사용해봤는데
꽤 괜찮고 가격도 제일 낫던걸로 기억합니다.
차라리 서버 호스팅을 입주하세요...
우리나라에서는 통큰 아이가 제일 저렴합니다.
그런데 위의 어느 서비스를 이용하시던지
서버 보안, 셋팅 같은건 스스로 하셔야합니다.
아마존 서버가 해답이 아닐까요. 가성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하기에도 좋고요. 1년간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행사를 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