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 남기네요.

 

아마 전에 고민글을 많이 남겼던것 같습니다.

 

첫 회사에서 세달만에 모바일부서가 없어지고 퇴사..ㅡㅡ...

 

허탈감에 한달정도 정처없이 방황하며 쉬다가

 

다시 열심히 해보려고 마음을 다잡았네요.

 

얼마전에 시들어진 열정과 의욕에 다시 불을 붙이고자  KT에코노베이션 스마트스쿨에서

 

방통위랑 공동진행하는 어드밴스드 자바 과정을 들으러 서울로 상경했습니다.

 

커리큘럼에는 객체의 의존성부여와 효율적인 클래스 설계방법,

 

객체간의 체이닝 기법

 

뮤텍스 세마포어 / 쓰레드 활용방법과 테크네컬 팁

 

등등...

 

실무위주의 테크니컬 팁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고 해서..

 

너무 기대가 되었습니다.

 

강의가 시작되고 강사님께서

 

하시는 말씀이..

 

안드로이드에서 자바의 중요성은 10%도 안된다고 하시면서

 

자바는 조금만 알면 된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리고 자료형부터 강의하시면서 혹시 객체라는거 아시는분 계시면 오늘은

 

집에 먼저 가셔도 좋다고 하시길래...당황;;;

 

분명 커리큘럼에는 이런 과정이 아니었는데;ㅡㅡ...

 

제가 토론 주제를 던진다는게 제 경험담을 써놨네요;;

 

 

결론은 강사님이 자바의 중요성은 10%도 안된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자바가 튼튼해야 안드로이드에서 빛을 발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마치 체력이 받쳐줘야 축구든 농구든 배구든 배드민턴이든 할 수 잇는것 처럼

 

자바가 튼튼할수록 안드로이드를 접했을때 향상되는 실력의 폭이 틀려진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