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래 게시물보다가 찾아보니까
앱 판매대금이나 광고수익금 수수료 적게 들이고 받는 방법이 있을 듯하더군요.
저의 경우는
Admob -> PayPal -> 국내은행
송금 받는데요.
국내은행은 한국계좌라 PayPal 에서 송금해 줄때, 그날의 환률 팔때보다 더 낮은 값으로 계산에서 넣어주더군요.
가장 최근의 송금이 6월 21일 이 이었는데 .
Paypal 기준은
Exchange rate: | 1 U.S. Dollar = 1,124.55 Korean Won |
이렇게 보내주더군요.
http://www.oanda.com/lang/ko/currency/historical-rates/
여기서 6월 21일 기준환률 찾아보면, 약 1152.47 이었습니다.
(외환은행 사이트는 열리지가 않아서 정확히 얼마 였는지 모르겠네요. )
아무튼 은행의 환전수수료 보다는 더 떼고 송금해 준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송금받으시고 계신지 정보 공유좀 해주세요 ^^
수고하세요!
저는 전신 송금으로 일반 통장(원화 통장)에 받고 있는데요
적은 금액이여서 그런지 따로 수수료는 안나가고 환전 수수료로 한 1.5~2% 정도 은행에서 떼는 것같더라구요
환율은 그날의 환율인 1155로 계산해서 받았습니다
그런데 액수가 커지면 추가로 만원정도의 송금수수료가 붙는다던데 아직 그렇게 받아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그렇게 받을 수 있을까 싶기도 하구요ㅜ
해서 저는 계속 전신송금을 이용할 것 같습니다
전신환 -> 시중은행 -> 달러출금 -> 남대문시장 환전상
그런데 전신환으로 받을 때 몇십달러 떼일텐데요..
은행에서 받을 때 다시 1만원 떼이고요.
금액이 적으면 PayPal이 낳을거에요.
남대문 환전상에서 환전하면 기준환율하고 10원 안쪽으로 차이날꺼에요.
가게마다 다르니 잘 쳐주는데서 하심되고요.
전신송금 일반계좌로 받고 있습니다. 월 20만원 미만의 소액이라 신경쓰지 않았는데.....한번 계산해보니 다음과 같네요.
애드몹 이체 날짜 : 5/3일
통장에 입금된 날짜 : 5/16일
외환은행 매매기준으로 5/16일이 더 높게 나와서 5/16일 기준으로 계산하면
1.627% 정도 떼고 들어왔네요.
혹시 세금관련되어서는 어떻게 되는지 아시는분 계시나요?
카울리를 애드몹으로 돌리면 받는 금액이 커지는데
세무사는 해외수입이라 부가세나 종소세에는 처리 안된다고 합니다.
이거 맞는건가요?

질문하셔서 다시 확인후 글남기네요
ADMod에서 예를들어 $700.20 를 입금했다고 뜹니다. 6월 1일에
그래서 제통장에 6월 중순을 지난지점에 똑같이 $700.20 달러가 입금되었네요
그전 수익에서 뗀건가 ^^;; 그대로 들어와있네요;;

어라 이거 좀 이상하네요
이번달만 실제 입금(AdMod에서 나타나는 금액)했다는 금액과 받은 금액이 동일하며 그이전달은 모두다
약 $8-9 달러 정도씩 적네요... 항상 같은게 아니고 왜그럴까요 ㅎㅎㅎ

복잡하네요 정리를 하자면
제가 Wire 로 변경 및 우리은행 외화통장으로 입금받도록 2월에 설정하여 3월부터 우리은행 외화통장으로 입금받음.
3, 4, 5월은 실제 AdMod에서 입금했다는 금액보다 약 $8-9 달러 적게 외화계좌에 입금
6월은 실제 AdMod에서 입금했다는 금액과 정확하게 일치하게 외화계좌에 입금됨
왜이럴까요? ㅎㅎ 여튼 더 많이(?!) 입금되서 좋긴한데...
그리고 우리은행 외화계좌 -> 우리은행 일반 국내계좌 이체시에는 그날그날 환율에 따라 입금 그대로 되더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인터넷의 글을 찾아보면,
전신환송금을 받는 경우가 수수료가 여러가지로 나오는데요.
외국은행(1) -> 한국은행(2) -> 환전(3)
이런 수순으로 진행하므로, 수수료 2번과 환전 수수료가 들어간다는 이야기가 대부분이더라구요.
외환은행에 원화계좌로 가지고 계신 분의 경험담은
외국은행(1) -> 한국은행(2) -> 환전(3)
모름 -> 100$ 이상 1만원 -> 그날의 외화환전수수료에 자기 우대 할인 받은 만큼
이렇게 내셨다고 하였구요.
루이지노님 처럼 외환 계좌를 가진 경우는 3번 환전수수료는 나중에 차감이 되므로 3번은 제하고
외국은행(1) -> 한국은행(2) -> 환전(3)
모름 -> 조건모름 8-9$ 공제 -> 추후 환전할 때 들어감.
추측해 보면, 국내은행만의 수수료인지, 국내 + 외국은핸 수수료 인지 모르지만,
우리나라돈은 1만원 근처에서 수수료을 떼는거 같습니다.
그러므로
전신환(ACH/Wire)의 경우는 총 수수료
환전수수료 + 은행수수료(1만원)
정도 일듯하구요.
Paypal의 경우는 원화로 입급해주기 때문에
페이팔 환전 수수료
가 들어 가게 됩니다.
Paypal 환전 수수료가 은행 보다는 더 많이 받아 가기 때문에
Paypal 환전 수수료 : 자기 우대 환전수수료 + 은행수수료(1만원)
중에 비교해서 적은 쪽으로 받아야 할듯한데요.
금액이 커질 경우는 전신환이 이득일듯 보이네요.
전신송금으로 우리은행의 원화통장으로 받고 있습니다..
제 이력을 조회해보니 원화통장으로 받을때는 1만원 수수료가 없는듯 하네요.
입금일자의 우리은행 송금 받으실때의 환율로 적용해보니
1000원 미만의 수수료가 발생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흠...환율을 다른걸 적용해야 하는지 모르겠지만 한화계좌로 받을 경우 1만원 정도의 수수료는 없는 것으로 보이네요.
우리은행 입금일의
이체일 이체금액(달러) 입금일 입금액(원화) 송금 받으실때 환율 이체금액*환율
2012-01-03 105.32 2012-01-16 120,328 1140.90 120159.588
2012-03-01 141.08 2012-03-16 157,149 1116.10 157459.388
2012-05-03 116.29 2012-05-16 133,559 1155.80 134407.982
저도 동일하게 받고 있습니다.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