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530105703
SK텔레콤이 LTE 주파수 대역을 두배로 확대한다. 상∙하향 40MHz 대역폭으로 막힘없는 LTE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30일 서울 역삼동 강남마케팅팀 사옥에서 간담회를 열고 800MHz와 1.8GHz 두 개의 주파수를 모두 사용하는 멀티캐리어
시범 서비스를 강남역~교보타워 사거리 구간에서 개시한다고 밝혔다. 본격 상용화 시기는 오는 7월로 예정됐다.
■주파수 용량 2배…“LTE 고속도로 정체 없다”
■7월 상용화…내년 초 전국 23개시 서비스
■1.8GHz 대역 추가, LTE 해외로밍 ‘시동’
권혁상 SK텔레콤 네트워크부문장은 “세계 최초로 멀티캐리어 서비스를 도입한 SK텔레콤은 경쟁사 대비 2배의 주파수 용량을
확보함으로써, 혁신적으로 빠르고 안정적인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SK텔레콤은 향후에도 LTE를
LTE답게 쓸 수 있도록 LTE 서비스의 표준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lte.cetizen.com/cetizen/
현재 skt의 lte기지국이 kt보다 뒤진 상황인데, 이제 막 시범서비스하는 멀티캐리어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것은 아주 현명한 판단입니다.
전국망이라는 것도 사실 초기에나 의미있지, 인구밀집도가 높은 대도시 위주의 기지국이 있다면 나머지에 설치할 돈으로 광고 등 마케팅에 힘을 쏟는 쪽이 좀 더 효과가 좋습니다.
이미 게시판에 어느 통신사든 별 차이없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실정에 굳이 소수를 위해 예산을 들일 필요는 없죠. 명품 이미지를 계속 유지하는 게 오히려 좋습니다.
접속기기 수를 보면 그걸 확실히 알 수 있죠.
이런 상황에 멀티캐리어를 홍보하여 전국망에 놓여졌던 관심을 속도로 다시 이동만 시킬 수 있디면 적은 설비 투자로도 충분한 효과를 낼 수 있죠.
돈도 많은 skt가 전국망 구축에 게으른 이유가 뭘까 고민하다 소설을 써봅니다.
SKT와 LGU+는 LTE를 800Mhz~900Mhz에서 서비스 중입니다. KT의 1,8Ghz와는 좀 차이가 있습니다. 커버리지나 음영지역이 1.8Ghz랑 비교가 않되게 적고 품질이 잘나오더군요....
회사 엘리베이터안에서 특히....SKT 갤노트가 3g는 신호없음이지만...LTE는 그 상황에서 빵빵하더군요...
또다른 사람은 강원도 오지로 갔는데 LGU+ 갤노트로 LTE는 잘되는데...음성통화가 않되더랍니다...
뭐 결론은
800~900대역이 참 좋긴한데...문제는 넉넉지 못한 대역폭이 문제였지요...KT는 1.8Ghz에서 40Mhz대역폭을 확보하려고 기존 2G사용자들 밀어낸것이고요...
KT의 차별화 포인트는 타사대비 속도...SKT,LGU+는 커버리지,호품질....
그러다가 SKT가 멀티케리어를 끌어내는건 이미 예정된 수순이였겠지요...1.8Ghz라고하나 기지국수를 늘리면 되고...음영지역은 femto cell을 넣으면 되니....그렇게 되면 SKT는 속도와 커버리지 둘다 밀리게 될것이니...
암튼 결론은 굿이나보고 떡이나 먹으면 되는거지요. ^^
대단하네요. 지금도 빠른데 더 빨라진다니....
기사보니 출시단말중에서는 베가레이서2만 지원하는군요.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