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귀하의 앱 개발과 사업 번창을 기원합니다.
저희는 모바일 광고 대행사로 귀하의 앱 사업권을 구매하고자 합니다.
저희가 구매하고자 하는 앱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배포는 많이 했는데 광고 수입이 거의 없는 앱 (비 인기 앱, 사용 빈도가 낮은 앱)
2. 특정 카테고리에서만 배포되어야 하는 앱(예. 19금 성인 앱)
3. 배포는 시작했는데 업데이트나 개발 완료가 어려워 포기하려고 하는 앱
저희는 귀하의 앱 소스 코드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단 소스 코드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앱에 광고 기능을 업데이트를 통해 탑재해 주시는 작업은 필요합니다.)
구매는 일괄 구매 또는 월 별 지불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기존 애드몹이나 아담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익 구조를 약속 드립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앱 이름과 배포 수량 그리고 희망 판매 단가를 아래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정식 서비스는 6월20일부터 시작될 예정이지만, 프리 마케팅을 위해 업체명 없이 미리 진행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배포도 많이 했고 광고수입도 짭잘 이상입니다.
2. 성인물은 아니지만 성인위주의 대상층이 명확합니다.
3. 곧 3년차이고 유지보수 저작툴도 자체제작했습니다.
해당사항.....없죠?
로쓰님/바야바님/ 답글 감사합니다.
구매 단가는 배포된 수와 앱의 종류 그리고 현재 광고 수입 구조를 반영하여 산정한 금액으로 구입합니다.
이메일로 문의 주시면 친절히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lquimista님/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업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이메일로 문의하면 이메일로 답변을 받게 되어 다른 개발자분들에게 정보 공유가 어렵습니다.
돛단배는 랜덤 쪽지앱이며, 다운로드는 200만, 실제 이용자수는 한달 기준으로 50만명입니다.
현재 수익 구조는 배너 광고와 아이템 결제가 있습니다.
앱매매대행님께서는 어떤 사업모델을 가지고 계신지 관심을 갖고 있으니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로쓰님/ 답글 감사합니다.
우선 개략적인 매입 단가 산정 방식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오해의 소지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메일 문의를 추천한 것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시다시피 구체적인 매입 조건은 각 앱마다 각기 다른 수익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화된 매입 단가 적용은 불가능합니다. (부동산을 예를 들면 저희는 모든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이 아닌 특정 종목의 부동산만 매입하는 부동산 업체라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강남역 주변 오피스텔 위주로 구매만 하는 부동산)
로쓰님의 앱처럼 이미 확실한 수익 구조가 있는 앱, 예를 들면 말씀하신 유료 결제가 있는 앱은 저희가 매입하고자 하는 앱은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저희는 수익 모델이 없는 앱, 광고에만 의존하는 앱, 배포는 많이 했지만 사용 빈도가 떨어지는 앱 등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개략적인 매입 단가에 대한 산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개략적으로 말씀드리는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수익 모델이 없는 앱은 우선 제외하고 먼저 광고에 의존하는 앱의 경우를 들면,
현재 앱이 얻고 있는 월 광고 수입(애드몹, 아담 등의 정산 증명 자료)에 12~48개월을 곱한 금액을 드립니다.
곱하는 개월 수는 앱의 수명(업데이트 없이 마지막까지 남는 수에 대한 비율 %,) 유효성을 평가하여 개발자 또는 업체와의 딜을 통해 정해집니다.
저희는 앱의 사업을 분석하여 앱의 사업성에 투자하는 기업은 아닙니다.
이상 답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메일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한건 '광고에 의존하는 앱'을 매입하여 어떤 방법으로 12~48배 이상의 수익을 얻을 것인가 였는데 이 부분은 영업 기밀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개발자분들 입장에서 어떠한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히 설명해주시길 정중히 부탁드립니다. 개발자에게 리스크가 없다고 제안 주시는 분들이 많지만, 사실 따져보면 세상에 공짜는 없듯이 수익이 생기는만큼 리스크가 있는 제안이 대부분이었거든요.
로쓰님/
저희는 앞으로 일정 기간 동안 발생되는 예상 매출을 합산하여 미리 이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정산하는 것입니다.
구매를 한다는 것은 매월 그 금액을 지불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희가 구매를 하면 앱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는 것이고 소스 코드는 가져가지 않습니다.
즉, 초기에 시작하는 앱 보다는 일정 기간 앱을 배포하고 점차 사용 빈도나 삭제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앱을 선호합니다.
혹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면 다시 한번 설명 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앱이 배포되어 지금까지 발생한 애드몹의 광고 매출 평균이 월 1천불이라고 가정하고, 저희가 앱의 수명에 대한 평가를 24개월이라고 산정하면,
저희가 앱을 구매하는 단가는 1천불 X 24개월 = 24,000불을 미리 지불해 드리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는지요?
그리고 리스크를 걱정하는 앱(유료 앱, 수익 보장이 된 앱)이라면 저희에게 따로 판매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감사합니다.
좀 다를수도 있지만,
일종의 광고솔루션 이더라구요.
다른점은 앱소유권으로 가져가서 자체적으로 마케팅등을 통해서 개인 개발자가 할수있는 것 보다는 많은 매출을 발생시키겠다는 것이지요!
추가적인 매출은 별도 개발자한테 줄필요가 없으므로 해볼만 하겠지요!
희망 구매 단가를 쓰시는 편이 빠르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