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하는 초짜입니다.(kt/갤럭시넥서스 4.0.2)
몇 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1. 3g데이터 또는 wifi 사용
현재 44요금제 사용중이구요. 제공되는 무료 3g데이터량은 100메가입니다.
제 스마트폰의 설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정 -> wifi(ON)
설정 -> 더보기 -> 모바일 네트워크 -> 데이터 사용(체크)
설정 -> 계정 및 동기화(사용안함)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상태 -> 모바일 네트워크 유형(UMTS:3)
이 상태에서 '설정->휴대전화 정보->상태->모바일 네트워크 상태(끊김)'
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현재 안테나에는 3g나 h글자가 안떠있고, 안테나색은 파란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회사나 집에서는 wifi가 되니까 별문제가 없는데요. 만약 wifi가 안터지는 지역에서 3g데이터를 사용하려면,
설정부분에서 뭔가 다른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아니면, 자동으로 3g데이터를 사용하도록 되는건가요?
위 제 설정부분에서 wifi만 끄니까 안테나에 3g글자가 뜨고, 모바일 네트워크 상태가 '연결됨'으로 되긴합니다만...
2. 3g데이터 또는 wifi 사용 설정
1번질문과 대동소이한데요.
갤넥에는 wifi 또는 3g만 강제로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나요?
아니면 신호가 강한 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해서 통신하게 하나요?
3. wifi off 그리고 3g데이터 on 일 때, 기본 데이터 통신???
1번 질문에서 말씀드린대로, 잠시(10초미만) wifi를 끄고, 3g데이터 통신모드로 바꿨는데도,
스마트폰의 데이터 사용량을 보니까 약 100kb정도 사용한걸로 나오던데요.
3g데이터 통신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실제 수동으로 데이터통신을 하지 않아도 적은 양이지만, 스마트폰 자체에서
데이터 통신을 하나요?
처음 사용하는 스마트폰이라 많이 생소합니다.
꼭 리눅스를 처음 배울 때 같은 느낌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하! 요금제가 2 종류 있었군요! i-talk는 무료통화가 좀 더 많은 요금제인가봐요..ㅎ 요금제 종류는 kt가 더 많은가보군요.
예전에 skt에서 34 요금제 썼었는데, 100메가는 신경이 좀 쓰입니다. 대충 하루에 3~4메가정도 쓰는걸로 생각하고 플랜을 짜야되서...
그래도 갤넥에선 설정의 데이터 사용량에서 전체 사용량과 앱별 사용량을 잘 정리해서 보여주고, 예상 사용량도 그래프로 그려주기 때문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제한설정 걸어두면 알아서 차단도 되구요. 단, 실제로 통신사에서 측정하는 데이터 사용량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통신사의 무료통화조회 서비스하고 함께 체크하면 요금폭탄은 잘 피해가실 수 있을겁니다 ^^
1, 2번 합쳐서 답변 드리면, wifi와 3g 데이터는 둘 중 하나만 연결됩니다. 기본적으로 wifi가 연결되어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3g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구요, wifi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3g 데이터 통신은 끊고 wifi를 통한 연결만 활성화됩니다. 위에서 설정하신걸 따로 바꾸지 않으면 wifi가 없는 지역에선 알아서 3g 데이터 통신에 연결됩니다.
wifi만 사용하고 싶으시면.. 그냥 wifi에 연결하시면 되구요(기본으로 wifi 사용을 우선합니다), 만약 3g 데이터만 강제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wifi를 끄시면 됩니다;;; wifi를 끄지 않고 3g 데이터 통신에 연결하려면 wifi 설정에서 수동으로 wifi 연결을 끊어주셔야 하구요. wifi 연결도 살려두고 3g 데이터 통신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는 방법, 또는 wifi와 3g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없습니다.
wifi 와 3g 데이터 연결의 우선순위는 갤넥만 해당하는 내용은 아니구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책입니다.
3번은... 일단,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앱에서는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push를 받는 앱이더라도 최소한 keep alive 패킷은 던져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필연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계정 동기화 외에 앱 자체에서 따로 동기화를 하는 앱들이 있습니다. 페이스북이나, 에버노트에서도 동기화 설정이 있으면 주기적으로 동기화를 하게 됩니다. 이 경우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또 안드로이드 프레임웤 역시 계정 동기화 외에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한 위치 서비스, (데이터 백업 설정이 되어 있을 경우)데이터 백업을 위한 동기화, OTA 체크 등에서 무선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설치하신 앱에 따라 패턴은 다르지만, 인터넷을 하지 않으시더라도 어느정도 데이터 사용량은 발생한다고 보시면 되리라 생각됩니다.
사족으로... skt나 kt 모두 44요금제는 데이터 500MB로 알고 있는데... 글 쓰실때 잘못 쓰신거라고 생각하구요 ^^;
무제한이 아니시면, 설정에 데이터 사용량에서, 본인의 무료 데이터 사용량에 맞춰 모바일 데이터 제한 설정을 해두시는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