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즈라엘 입니다.
오늘 집에 있는 데탑을 windows7으로 설치 하는 과정에서 파티션 문제와 파일시스템문제가
발생되어 윈도우가 설치가 안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되었습니다.
피눈물을 머금으며 기존 데이터를 다 포멧해 버리고 다시 파티션을 잡아서 윈도우를 깔았습니다.
헉 근데 아무생각없이 깔았는데 .. 64bit로 되어 있더군요..
제가 가지고 있는 유틸리티들이 32bit 운영체제에서 잘 돌아 가는것들이라.. 64bit로 사용할까?
고민하였으나 이미 램도 4기가에서 더이상 추가 시킬 계획이 없어 그냥 다시 32bit 로 재 설치중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운영체제에서 어떤 툴로 개발을 하고 계신가요?
전 회사에서는 맥북에어로 하고 있는데.. 이게 제일 좋은 환경 같더군요 ..
Mac 에서 윈도우 멀티부팅까지 하면 안되는게 거의 없다고 보면 되는데..
문제는 가격이 좀 비싸네요..ssd 확장까지 하려면... 돈이 더 깨지겠죠..
NDK 환경도 훨씬 좋답니다. cygwin 으로 shell을 쓰면 그만큼 손해가 크니깐요..
근데 windows7 64bit 에서 개발툴은 다 잘되나요? 호환성 문제도 없고..
그리고 ndk 환경에서도 아무 문제 없었는지 궁금합니다.
나중에 개발환경 세팅할때 어떤게 최적화 인지 .. 따져 보면 좋을거 같네요
윈7 에 4G ram, 이클립스 요렇게 하고 있습니다.
폰은 디자이어로 하고 있어요
웹 작업을 위해 이클립스 플러그인으로
앱타나 스튜디오 사용하고 있습니다.
윈7 프로페셔널이 십만원대로 싼 편이고, 부팅시간도 너무 마음에 들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xp가 더 편리하다고 보여집니다.
(접근성 및 친숙성 / OS안정성 / 호환성 / 난이도 / 인터페이스)
서버컴은 윈7이고, 개발컴이 xp인 상태인데,
굳이, 윈7로 갈아타야 할 근본적인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갈아타지 말아야할 주 된 이유는
1. 인터페이스가 불편하고, (평소 작업표시줄을 가장 많이 쓰는데, 매우 불편하더군요.)
2. 보안이슈로 인한 제한적인 기능들.
3. 운영체제 밑단 튜닝의 어려움. (새로 검색하고 공부해야함. 막힌 기능도 있고..)
며칠전에 Mac Book Pro 받았는데요.
Wi-Fi 로 연결해서 그런지 Android 개발환경 다운받는데, 계속에러나서 2일 걸리고 ㅡ.ㅡ
진행하다 말고 그냥 서 있더군요.
아무리 Wi-Fi 라고 해도 Eclipse Mac용이 불안한것이거나 Android SDK manager Mac용이 문제인지, 불안해 보이더군요.
OS가 문제 인지도...
며칠동안 xcode, android 설치하고 그냥 방치중입니다 ^^
주 환경은 XP 네요.

집에서는 일단 32비트사용하고 있네요... 4기가램이고.. 이번에 컴변경하여서 아직테스트 못해네요 윈도우7이고요..
예전 pc에서는 이클립스가 약간 버벅이는현상이 있어서 대대적인 공사를 했내요... 맥북프로 돈벌면 하나 사볼가 생각중이고요
현재 노트북이 있긴하나 워낙 구시대물건인지라.. 흠 빨리 처분하고 돈모아야게네요
Windows 7 x64 + VMWare/Ubuntu x86
NDK는 ubuntu에서 쓰는지라 조금 번잡하기는 하네요.
Cygwin으로 해도 되기는하는데.. 웬지 꺼름칙해서..
주장비 스펙은 3.4GHz (up to 4.8GHz overclocking) 4 core x 2 (hyper threading) + 8GB
주로 맥 쓰고요
xcode, eclipse에 플러그인 거의 안달아서 쓰는 중입니다 =_=;
TextWrangler 고맙게 사용중입니다 ㅋ
집에선 맥북프로 13인치 2011년형,
회사에선 아이맥 21인치 2011년형 사용하고 있습니다.
(i5 2.66이던가 그렇고 4기가네요)
램업 같은건 하나도 안하고 사서 그대로 씁니다.
둘다 제돈 주고 라이언 사서 올렸고
이클립스에는 안드로이드, PDT, C/C++ 어쩌고(CDT는 환경설정이 귀찮더라구요..), RSE(원격서버작업)
등등 사용하고 있네요.
가끔 xcode 사용하지만 회사에서 아이폰은 완전 아웃오브안중이라 봉인중...ㅋㅋ
아이맥과 맥북의 동기화는 다음클라우드와 네이버 SV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github로 갈아타고 싶은데 귀차니즘ㅠㅠ
전 서버에 vmware esxi 설치하고, 그 위에 XP 설치(가상OS)하고 거기서 개발합니다.
서버라 항상 켜두고 다녀서 회사든 집이든 어디서나 인터넷만 연결되면 원격접속하여 개발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 웹 개발 환경 모두 구축해두었습니다.
매일 OS 이미지 자동 백업 구성으로 최근 3일치 OS 이미지는 항상 백업되어 있습니다.
같은 데탑에서 아무것도 깔지 않은 순수한 Windows7 으로 설치 하엿을경우
퍼포먼스가 틀리네요..
64bit로 깔았을때가 더 좋게 나옵니다. 미약하게나마..
왜 그럴까요? ... 왠지 32bit 설치한게 후회가 되긴 하네요
2008 R2 서버 64, RAM 4GB, Eclipse 입니다.
UI 무진장 버벅거려요 ㅋㅋㅋ 아마 윈도우 자체가 UI 보다는 백그라운드에 치중되어 있지 않나 봅니다.
IIS때문에 깔긴 했지만, 에버노트도 안돌구.. 웬만한 백신 아무것도 안돌구,
완전 청정 지역에서 프로그래밍 해요 :D
바탕화면에 휴지통, 크롬, 네이트온, 사이트링크 4개 끝 ㅎㅎ
그리구 집에서는 win 7 64 씁니다. xp 쓸때보다 훨씬 빠르고 괜찮은것 같네요.
저는 작업표시줄 완전 마음에 들구요.. Alt + tab 에서 클릭해서 윈도우 고르는거 너무 좋아요 ㅎㅎㅎ
램은 8기가 ~_~ 싸니까 사세요!! 사실 4기가 넘길일은 없긴합니다.
프로그램은 마찬가지로.. 뭐 없어요.. 안깔아요 -0- 깨끗하게 씁니다 ~ ~ 컴 업글 할때나 포멧 하는 그정도 수준..
현재 윈7 64bi 8Gram 이클립스+톰캣+안드로이드sdk 개발환경 편한하게 잘됩니다.
VS2010+윈폰7 개발환경도 아주 잘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