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201204240100202590012269&cDateYear=2012&cDateMonth=04&cDateDay=24
--
눼 우리나라 평균 소득과 물가가 미국, 영국, 호주 수준이었군요
하여간 이정부 들어서 계속 통계 숫자장난만 치는군요;;
통신요금이 가장 비싼축에 드는 일본의 실제 제 요금을 보면...가족요금으로 두대 사용하는데 월 1만엔 정도 나옵니다. 즉 1대당 5천엔정도, 그런데 패킷무제한에 디자이어 할부대금 포함 입니다.
일본의 물가차이와 패킷무제한이란 점을 감안하면, 환율 그대로 비교해도 한국과 별차이 없어보이거나 오히려 한국이 비싸다는 생각입니다.(전기/수도/교통등 공공요금 모두 한국에 비해 1.5~5배정도)
도대체 어떤식으로 저런 숫자장난 하는지 참 얼굴한번 들여다 보고 싶네요.
PPP 환율을 적용한 비교의 진실을 받아들이기는 정말 쉽지 않죠.
어차피 진실이 뭐가 중요할까요.
각자 원하는 대로 믿고 사시는 게 마음 편한데요.
돈이든 요금이든 어차피 숫자에 불과한 거니까요.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회장: 이석채)는 '통신요금 코리아인덱스 개발 협의회'를 
구성,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통신요금비교 방법론을 개발을 위해 ’09.10.20일(화) 한국 정보화진흥원에서 
Kick off 회의를 개최하였다.  -- 2009년 10월 
참 별짓을 다하네요. 차라리 KT나 SKT에서 직접 저 얘길 하지 꼭 에둘러 이상한 조직을 만들어서 발표를 해요.
 
                                        - 요금만 고려하고 기본료나 할부금등은 고려 안했고
- 1인당 통신비가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 많이 쓰는 사용 구간 요금을 선정해 비교하고
- 그걸 물가대비로 나눴는데 우리나라 물가가 좀 비싸나..
ppp환산으로 60~70%라던데...
영국 휴대폰 가입자 비율이, 한국과 비교해서 어떤가요?
한국처럼 거의 전국민이 가입하는 상태라면, 고정비 뽑기가 쉬워져서 요금자체가 싸져도 되는거고...
그렇지 않다면 좀 비싼거고.. 그럴텐데. ..
게다가 IT쪽 많이 밀어줘서(세금으로 밀어줬잖아!), 원천기술도 많아서 서비스하는데 필요한 비용도 다른나라와 같을리가 없는데..
너무 단순무식한 비교네요...
잠시만요..저가격이면 무제한 요금제인데 말이죠...허허...뭐..무제한 요금제로 음성280분 SMS 100여건 데이터 920MB 쓰면...낭.비. 일듯..
미국은 같은 통신사간 통화료가 무료입니다. 거기다 패밀리로 묶이면, 기본료가 10불입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30+10불 이구요. 금요일 저녁부터 월요일 아침까지 모든 통화료가 무료입니다. 통신사와 관계 없이... 즉, 무료통화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우와 우리나라 소득수준이 저렇게 높았나요 대단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