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 LTE폰은 전화 통화는 3G를, 데이터는 4G를 이용한다. LTE 데이터를 이용 중 전화가 걸려오면 단말기는 핸드오버 기술을 활용, 통신 방식을 전화통화와 데이터 모두 3G로 자동 전환시킨다. 문제는 통신 방식 전환 시 발생되는 지연 속도인데, 이 때문에 자칫 통화 및 데이터 전송 끊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핸드오버라는 것에 대해 처음으로 알았네요.
첨부한 세 줄만 보면 전화할 땐 3G를 쓰니 반쪽 LTE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본문을 보시면 이 기술이 LTE기술의 표준이랍니다.
버라이즌 갤넥 사용자인데, 전화중에도 4g는 뜨거든요. 그러면 그냥 4g만 뜨는 거고 실제로는 3g로 전환된다는 소리인가요?
아니면 4g 유심을 따로 사용하는 cdma 특성상 다른 알고리즘이 있는건지..
사실 저런문제는 wibro때부터 나온 케케묵은 문제...
당시에 LTE가 나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것처럼 다들 이야기 했었으나... 실상은 wibro가 했던 삽질을 처음부터 다시 하고 있네요..
지금 할려고하는 VoLTE도 사실상 VoIP over Wibro랑 같은 길을 걷고 있다는....
4G를 했던 엔지니어로써 보기 참 그렇네요...마케팅과 시장과 기술은 너무나도 동떨어진것 같네요..
유플은 2.5g 로 전환되죠. LTE 랑 WCDMA 는 같은 가족이라 왼만한 LTE 단말기는 위에서 이야기한 방식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한데 유플은 남남과 같은 cdma 로 전환해야 하기땜시 여전히 단말기 호환 문제가 있네요. 어여 voLTE 로 넘어가야 할텐데.
구역은 잠실역 가락시장구간과 올림픽대로 구간 목동구간
신월동구간 끊겨서 답답 스크에 문의해도 제가 노트가 끊겼던 이력이 없다고하는데 고객센터 직원분과 통화중일때도 끊기니 삼성에 문의하라고하네요 ㅠㅠ
뭐 다 똑같죠 ㅋㅋ 저도 갤럭시에스 쓰는데 스크에 전화했다가 삼성한테 말하라고.. 서비스 센터 가면 통신사에 말하라고..
서로 떠넘기기 바쁩니다 -_-;
핵심은...아직 문제가 여러가지 있는데도 LTE만 밀어 붙이는 이통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