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208141105
삼성전자가 이르면 오는 4~5월 국내에 와이브로 스마트폰을 출시한다. 이동통신사는 KT가 유력하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기존 갤럭시S2 사양을 업그레이드 한 모델에 와이브로 기능을 탑재, 2분기 중 출시할 계획이다. 이동통신사들과의 출시 관련 논의도 순조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
오늘 아무도 이 뉴스를 올려놓지 않으시길래 살포시 올려봅니다... ㅎ
와이브로 단말기라면 SKT는 많이 힘들까요?
KT와 비교했을 때 AP와 커버리지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궁금해지는군요.
일단 SKT나 KT나 와이브로망은 시단위, 주요 고속도로 등이 커버리지이며 나머지 군단위 지역부터는 시설이 되어있지 않아요. 하지만 아무래도 KT가 좀 더 와이브로 망 확장에 신경을 쓴 편이라. 좀 더 촘촘하게 깔려있는 편이죠. 커버리지 자체에는 많은 차이는 없겠으나 속도나 품질 면에서는 KT가 좀 더 나을 겁니다.
속도가 LTE 보다는 느려도 3G보다 빠르고 용량 생각하면 와이브로죠. 안내놓을거라 생각했는데 삼성도 와이브로폰을 내놓는군요. 궁금한건 LTE나 와이브로 둘중에 배터리가 누가 더 먹을지네요. 배터리도 와이브로가 덜먹는다면 와이브로 모델 선택하겠지만 그때되면 갤럭시S3 LTE도 곧 나올테니 얼마나 팔릴지는 몰르겠네요.
SKT는 와이브로 사업을 할 의지가 별로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IT쪽에서도 SKT 와이브로 서비스가 있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_-;;)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제가 들은 헛소리들 중에 가장 설들력 있었던 것은,
"언젠가 다른 용도로 사용 될 수도 있을" 주파수를 확보해 놓는 것이 목적이라는 것이네요.
처음부터 의무투자 비용도 차이가 많이 나고, 주파수도 SKT쪽이 더 높은 관계로, 커버리지도 KT와 비교가 안 됩니다.
일단 전파 할당에는 여러 조건이 있는데, 와이브로용 주파수의 경우 주파수유지 조건이 일정 갯수이상의 기지국을 증설해야됩니다.
와이브로용 2.3Ghz대 주파수를 원래 이통3사에 공정히 분배를 했으나 LGT는 Wibro기지국을 만들지 않아서 결국 회수되었고 지금은 공석이 되었지요.
그러나 SKT의 경우는 조금씩이지만 꾸준히...안짤릴 정도로 늘리고 있습니다. 단기간에 투자하는것은 아닌듯하고, 먼 미래를 내다보면서 Wibro Evolution을 기다리는듯합니다... 참고로 와이브로용 주파수 역시 계약금과 갱신비가 상당합니다...
SKT와 KT둘다 현재로써는 LTE에 집중하고 있어서 요즘은 더이상 증설하는것 같지는 않네요. 참고로...Wibro도 Femto cell이 있었고, 이전에 KT,SKT에서 입찰공고가 떴었고 제가 있었던곳은 떨어졌지만...암튼 그 많은 소기지국들이 어딘가에는 깔렸던지 했을겁니다.
호오 드디오....... 미국 SPRINT 통신사에만 만들어 지던 삼성 WIMAX(WIBRO) 안드로이드폰이......
에보 초기 처럼 3G + 와이브로 데이터 펑 펑 퍼주면 ..... 좋을 듯.
갤스2 스펙이라 했는데 이제 갤스2 스펙이... 엑시노스4210 은 아닐꺼임.
갤스2+ 벤치 보니까 차이 좀 나던데..... 특히 GPU 에서.
일반인 들이나 IT 기자 들 조차 나중에 엑시노스 5250 나와도 똑같이 듀얼 1.5GHz 라 할 기세......
스냅4 나와도 기존 스냅3 랑 뭐가 틀린지도 모르고 똑같은 듀얼 1.5GHz......... 그런 소리 하겠지 ㅋ
대략적인 커버리지와 설치된 AP의 숫자입니다.
[참조 : 방통위 - 와이브로 사업자의 허가조건 이행완료 승인에 관한 건]
|
구 분 |
계 획 |
실 적 |
비 율 | |
|
투 자 비 |
10,431억원 |
10,908억원 |
104.6% | |
|
서비스
커버리지 |
면 적 |
24.3% |
26.0% |
107.1% |
|
인 구 |
83.0% |
88.0% |
103.5% | |
|
설비설치 |
47,003식 |
54,834식 |
116.4% | |
|
구 분 |
계 획 |
실 적 |
비 율 | |
|
투 자 비 |
8,250억원 |
8,297억원 |
100.6% | |
|
서비스
커버리지 |
면 적 |
9.1% |
10.9% |
119.2% |
|
인 구 |
67.8% |
72.4% |
106.6% | |
|
설비설치 |
20,811식 |
24,348식 |
117.0% | |
아닙니다. wibro evolution의 경우 기존의 RAS장비는 그대로 이용하지 못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wibro에 투자 하기 보다는 Wibro evolution용으로 나오는 RAS에 투자를 하겠다는것이 바람직하겠지요.
물론 ACR이라던지 HA장비들은 기존 Wibro것을 그대로 이용 가능하겠지만요...AAA도 전제망에서 공용으로 쓰이듯...
결국 그냥 Wibro evo를 위한 포석일뿐인듯합니다.
참고로 Wimax Evolution칩은 이미 나왔습니다.
최대 download속도는 365Mbps까지 나오고..말이죠..single channel로요. 멀티채널 aggregation으로 5개 묶으면 100Mhz밴드로 1.5Gbps도 나옵니다. 이론적으로는요...
암튼. 4월에 SKT건 KT건 정부랑 주파수 사용권 계약을 잘해서 LTE랑 경쟁해서 싸고 좋은 품질의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수만 있다면 좋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