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1기 오픈마켓을 통해 통신판매한 자료 해명안내
라는 제목으로 편지가 하나 왔는데요.
11.01월 ~ 11.06월 까지 오픈마켓등에서 판매한 금액애 대해 13일 까지 세무서 민원봉사실이나 국세청 홈피에서 사업자등록을 하고 부가가치세를 기한 후 신고 남부 하라는 내용이고 오픈마켓에도 사업자 판매회원으로 전환하랍니다.
13일 까지 않하면 직권으로 사업자등록하고 과세한다고 하네요.
원래이런건가요? 아니면 잘못 나온건지요?
매출 자료도 같이 왔는데 SK LG 두군데만 나오고 KT는 안나왔어요.
제가 계속적 반복적인 판매로 사업성이 있는 경우라고 하는데..
시키는 데로 해야 하나 해명을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몇푼 벌지도 못했는데 ㅠ
원래 그렇습니다.
일정 기준이 넘게되면 강제로 사업자등록증을 발급합니다.
어차피 사업자등록증이 없어도 종합소득신고나 부가세 신고안하면
개인 앞으로도 세금추징이 되기때문에.. 그냥 등록하세요. ^^
등록후 절세하는 방법을 찾는겁니다.
사업을 하면 당연히 사업자 등록을 하고 세금을 내야죠. 단 1원이라도 당연한겁니다.
그리고 걱정하시는 세금들은 비용처리를 안해도 생각보다 적게 나옵니다.
세무서에 전화해서 물어보시면 IT로 등록하면 대략 1억의 매출이 있어도 몇백정도 나옵니다.
비용처리 따로 안하고 기본 비용처리만 받아도 저정도밖에 안되니 걱정 안하셔도 될겁니다.
ㅡ.ㅡ;; 뭔가 만들어서 인터넷으로 판매하시면
사업자 등록하는게 당연한겁니다.
사업자 등록하시고 수익이 일정 금액 이하면 세금도 감면되니 해보세요.
어차피 등록도 인터넷으로 회원가입 하듯이 하는거니..
회사다니면 회사에서 세금을 내주고요.
직접 벌면 직접 내야해요.
개인사업자란게 특별한게 아니고, 국가에 "나 직접 벌고 있어요" 라고 알리는거에요.
그리고 통신판매업 신고도 별도로 해야합니다.
관할 세무서가서 면담좀 해보세요.
이런거 보면 회사다니는게 속편하죠...ㅎ
제가 너무 아둔한 면이 있는지, 세금관련 쪽은 정말 잘 모르겠네요.
안드로이드 마켓의 경우는 세금을 아예 떼지 않으니, 저런게 날아오는게 당연하지만,
광고나, 국내마켓의 경우,
개인사업자가 아닌, 개인판매자 등록시,
세금 원천징수(3.3%) 하고 나오는데,
꼭 사업자로 등록할 필요가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물론, 원천징수에 대한 %는 소득공제로 환급받을 수 있겠지만,
귀찮아서 그냥 환급안받는사람도 꽤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굳이 제 쪽에서 신고를 안하더라도,
국내마켓 및 광고회사에서 원청징수 신고를 하므로,
국가 정산에 차질이 생길 우려도 없을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돈문제에 직면하면, 그냥 어린아이 같고만 싶어요.. 이런 것에 게으르면 안되는데ㅠ_ㅠ;
제가 알기로는
모든 재화의 판매에는 부가세가 징수되구요 (10%)
소득세들 별도로 부가 됩니다. (3.3%)
실제로는 13.3% 떼는것이 맞을거 같구요.
그런데, 개인간의 중고거래처럼 이미 부가세가 징수된 것은 2중 과세가 되기 때문에 이런경우는 부가세가 없을 거구요.
외국에 판매하는 것은 부가세가 면제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래서 마켓에 파는 것을 사는 사람이 한국사람이더라도 판매자 입장에서는 외국사이트를 통해서 외국에 파는 것이라
부가세가 면제되는 것일텐데 이것도 좀 지나면 어떻게 정리가 될듯합니다.
국내 마켓에 파는 것은 원칙적으로는 부가세 + 소득세를 내야하는데
이것을 판매자가 직접 하던지, 혹은 앱스토어가 일괄대행을 하느냐 차이 일것입니다.
그래서 올레마켓을 부가세 + 소득세를 떼고
오즈스토어는 소득세만 떼고
T스토어는 안 떼는지 소득세만 떼는지 할거예요.
국내 판매분은 ( 이통사 마켓 + 안드로이드 마켓 국내 판매분 )은 부가세 10% 신고하셔야 합니다.
년 매출이 1600인가 넘으면 개인이라도 사업자 등록 필요합니다.
자세한건 세무사 상담 받으세요.
안드로이드 마켓에 국가별 세금 지정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국내 매출분은 10% 세금을 추가로 받고 이부분은 부가세 신고하고 세금 내고 있습니다.

흠 광고수익이나 판매수익이 일정수준 이상이더라도 사업자를 내지않고 세금만 매달 5월에 신고해주면 괜찮은거아닌가요?
일정 금액이 넘어가면 사업자를 등록하면 절세를 할 수 있는 거구요......?
저는 그렇게 알고 있는데...
즉 일반 개발자 프리랜서도 3.3%만 떼고.... 매년 5월 신고하고 개인사업자 등록없이 잘 하시던데....
이거 정확히 어떻게 되는건가요 @@;;
제가 몇군데 세무소 상담했을때는 사업자 등록은 안하고 5월에 신고만 잘하면 되는걸로 들었었는데....? 어렵군요 @@
이제야... 다들 세금에 눈을 뜨는구나........ㅋㅋㅋㅋㅋㅋ
세금이 얼마나 가혹하고 무서운것인지.....
직접 벌어보고 내봐야...... 회사가 소중하고, 직장이 소중한걸 알게 되죠...
그동안 회사욕하고, 세금안낸사람 욕하고......ㅋㅋㅋㅋ , 자신이 개발자가 아니라 노가라는둥...ㅋㅋ
세금을 내고 안내고, 적게내고, 많이내고가 자신의 손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때.....
합법과 불법은 종이한장 차이에 불과하구나......라는 사실을 깨달케 되며,,,
아니..한장도 아니지.....그냥 걸면 걸리는 걸리버....ㅋㅋㅋ
프로그램은 경계라도 있고, 정해진거라도 있지....
돈버는것도 힘들어 죽겠는데, 세금가지고도 싸우다보면....마치 세금낼려고 일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때도...
1인창조기업 만세!!..... 오픈마켓 만세!!................이정부 최고의 업적....
1인창조 2년경력이면,,,취업해서 회사에서 일하는건 누워 떡먹기.....ㅋㅋㅋㅋ
1년은 주기가 한번이라 세금관련 경험하기엔 미흡하네요..
노사의 갈등은......노사가 서로 주체가 되어볼때 가까워 질수 있습니다.
세금이라는걸 알게되는 순간.........진정한 신세계가 펼쳐집니다.... 어른들의 세계가..
아!...한가지 빼먹었네요.......재판까지 해보면.... 좀.. 세상돌아가는 맛좀 알게되죠... 쓴맛
*같은맛....ㅋㅋㅋㅋㅋ
헐.... 강제로 사업자등록을 해야 하는 경우는 뭔가요?
이해가 잘 안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