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에 궁금한 부분에 대한 글을 올렸었는데요.. 그 사이 분석을 다시 해보았습니다.
활성설치수가 한 5000 정도인데 하루 광고 요청이 9천 정도구요 fill rate는 95% 이상.. 이고 클릭은 대개 40~50 정도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CTR이 0.7~0.9 대구요..
몇가지 사항을 변경하니 줄곧 $0.5 ~ $0.7 나던 수익이 이제는 $1 ~ $3 까지 나고 있네요.
사용자 지역 비율은
한국 59% 일본 15% 미국 10% 중화권 10% 유럽 5% 아프리카 1%
정도고 고수익을 내는 지역은
한국 일본 미국 순입니다.
우선 한국에선 거의 절반이상의 요청으로 클릭율이 상대적으로 많았고요, 미국과 일본은 서로 클릭률은 비슷한데
가격에선 좀 큰 차이가 났습니다.
일본이 단가가 쌘가보더군요. 간혹 글보면 미국이 쌔다 하시는데.. 전 미국쪽 보다 일본쪽 클릭이 1.5배 정도 더 쌔게 측정 된거 같습니다.
아직 홍보나 마케팅은 안 한 상태로 순수 시장조사 차원으로 분석중입니다.
모든앱은 아니겠지만 대개의 앱들은 특성상 계속 활성화가 유지 될수도 없을거 같고 추세는 점차 마이너스 곡선으로 떨어질 거 같지만.
제대로 된 앱을 만든다면 수익이 어느정도 기대가 될거라 생각이 됩니다.
통계좀보다 문득 정보 공유라도 할까해서 글 적어봅니다.
낼 퇴근을 위해!! 모두 안녕히 주무세여~
애드몹 수익이 한국쪽에서 나는건지 미국쪽에서 나는건지 어떻게 알 수 있어요??
report에 그런 정보는 안보이는것 같은데. 저도 제 수익의 출처가 궁금한데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전 활성설치수 32000에, 하루 광고요청 5천, fill rate 98% 이상
클릭 30~40개에 CTR 0.7, 하루 수익이 약 $1.5인데
뭘 변경하셨길래 수익이 늘어났나요?
비결 좀 알려주세요.
사용자는 주로 미국과 유럽입니다.
수익 말씀인데요. 지난주 금요일 기점으로 갑자기 올랐습니다. 크리스마스 시즌이라 광고때리는 업체가 많은것도 있고 이번 구글에서 100억 다운로드때문에 이벤트 광고 하는것도 있기 때문인거 같네요.
애드센스를 제외하면 애드몹광고 노출률은 그다지 높지 않아요. 하지만 금요일부터 노출률이 점차 높아지더군요...
설정 변경부분은 장기간, 정확한 근거에 의해 테스트해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앱기놈님 글 잘 읽었습니다. 제가 변동이 생긴 날은 12월 3일 부터입니다. 시작단계고 점차 활성화 실행 수가 높아지는 단계 일수 있겠네요 그래서 덤으로 수익도 증가한것일수도 있겠고요. 설정을 바꾼건 처음 업로드하고 실행을 시킨 나라를 분석하여 해당 타켓을 설정해서 ㄱ 언어패키지를 적용 시킨거구요.. 그러니 해당 국가에서 차츰 활성화가 높아지더군요.
분석 단계다보니 뭐가 맞는지 틀린지를 말씀은 못드리겠습니다. 그래서 분석을 통해 어느정도 길을 알고 가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무작정 만들었는데 어필할수 없는 아이템이라면 광고 수익같은걸 바랄수 없겠죠..괜한 기대심만 들고..정신건강에도 안 좋고..ㅎㅎ
그리고 볼레로님 말씀이 맞는거 같습니다. 광고 노출이 많을 수록 단가가 높아질수 있는거 같습니다.
이상 허접대기 정보 였습니다.
나에겐 칼퇴는 꿈인가.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