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데 저만 모르고 있던 걸 수도 있지만.. -_-;  오늘 갑자기 카울리에 관한 글이 많이 올라오길래 제가 알고 있던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카울리는 아담과 달리 광고가 달린 앱을 실행시키면 대부분 광고가 호출됩니다.(Boluntas님이 말하신 무상광고가 많죠)

  

또 많은 분들이 테스트로 여러 폰으로 광고를 클릭해봤는데 테스트 클릭수보다도 적게 나왔다고 글을 올리기도 하셨습니다.

 

거기다 카울리의 노출횟수는 총노출횟수라기보다는 아담 등의 플랫폼에서 집계되는 유효노출수에 가깝습니다.  

카울리를 단 앱의 광고플랫폼을 타플랫폼으로 이전해보셨다면 아시겠지만, 카울리의 등록효과 탭의 노출횟수는 타 플랫폼에서 집계되는 총 노출횟수의 10%~20% 수준입니다. (이건 앱마다 다를 수 있겠네요)

 

이런 정황상 카울리의 광고는 당연히 전부 유효한 광고는 아니라고 볼 수밖에 없지 않나요? 모두 유효하다면 집계되는 노출횟수는 지금보다 4배는 많아야 정상일텐데요.

제 생각엔 카울리에서 부정클릭으로 처리하는 게 많다기보다는, 노출되는 광고 중 유효한 광고가 적어서 클릭이 무효화되는 것이라 보는게 적절할 것 같습니다.

 

 

카울리 측에서는 따로 제대로 된 공지가 없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료는 아닙니다만, 저도 제 첫 앱에 카울리를 달고 여러 현상을 겪으면서 나름대로 분석해본 결과 이것 말고는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네요..

 

카울리에서 제공하는 무상광고가 클릭시 카울리가 비용을 지불하는지는 모르지만, 확실한 건 모든 광고가 노출횟수에 집계되는 광고는 아니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실 지금 앱을 실행시켰을 때 나오는 카울리의 모든 광고가 유효한 광고라면 지금 수익은 타 플랫폼과 비교해 봤을 때 말도 안 될 정도로 낮은 수익이겠죠?

 

물론 여러 착오를 거쳐 생긴 제 생각이라 틀릴 수도 있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떠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