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질문하면 논쟁으로 가겠지만,
어차피 안드로이드가 아이폰 따라하느것은 사실인데, 따라하려면 아이폰의 그 좋은 환상적인
스크롤감과 큰 아이콘부터 따라해야지,
조잡해 보이는 아이콘 크기/색감과 글꼴의 크기 위치, 그리고 역시 초등생이 한 것 같이 스크롤 되는
그 허접한 싸구려 하면전환은 그대로 두고 자꾸 버전만 업데이트 해봐야 명품 아이폰을 못 따라간다.
사람들은 내부 기술보다는 쉽고 눈에 보기에 좋은것을 먼저 원하는데
구글은 그런면에서 아직까지도 안드로이드 폰을 기술자들만을 위하여 만들고 있다.
지금 당장 집에 가서 우리들 식구들중에 몇명이나 wi-fi가 뭔지, 3G가 뭔지 제대로 아는지등등 생각해보면
얼마 안될것이다. 엄마, 이모, 고모, 할머니, 할아버지등. 사실 주변에 IT좀 하는 사람을 제외하면
우리가 사용해야 할 휴대폰이 구식 선풍기 버튼 처럼 간단해야 한다.
나는 실제 아이폰도 불만이 많다. 아이폰도 사용하기에 복잡하다. iTunes는 내가 사용해본 소프트웨어중에서 VS만큼
복잡하다. 엄마에게 iTunes를 사용하라고 주라고? 지나가는 개가 웃겠다.
내가 볼 때는 우리는 안드로이드만큼의 개방성과, iOS만큼의 미려함이 합쳐져서 더 쉬운 휴대폰이 나와야 할것 같다.
'스마트폰'의 뜻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는 글이군요.
불만이 있고 싸구려 하면전환이 싫다는 소비자의 의견이 있으면 기업은 당연히 반응하여 고쳐야 하는건 맞습니다만
삼성이나 엘지의 큰아이콘 홈런처나 여러 수십가지에 달하는 마켓에 있는 홈런처들 그리고 신경을 더써서 루팅을 이용해 여러 ui또한
다양하게 바꿀수있는 방법 자체가 있는데..
스마트폰을 쓰기힘들고 복잡하다고 말하는것도 좋지만
스마트폰을 잘 사용하기위해 사용자가 조금씩 스마트해지는건 어떨까요
그리고 명품아이폰이니 ~ 안드로이드가 아이폰을 따라하는건 사실이라느니~
글 자체에 상당히 주관적인 안드로이드 평을 내리셨는데
ui또한 사람마다 선호도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전 참고로 위젯도 안되고 네모반듯 똑같은 유치찬란 아이폰 홈화면
완전 싫어하는데요? 꼭 아이폰에 맞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니 맞추지 말아야 합니다.
그럼 안드로이드폰을 사는 이유가 없어지니까요.
삼성의 터치위즈4.0이나 홍텔의 센스등 아이폰 홈런처보단 낫다고 보네요.
뭐 속도나 스크롤같은것도 대부분 따라잡은걸로 느껴집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쉬운 핸드폰이 나와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글쎼요 스마트폰이 쉬워야할 필요가 있을까요?
주변에 고모 할아버지등등 가족분들이 와이파이가 뭔지도 모를꺼다 글을 쓰셨는데
더 궁금한건 뭣하러 그분들이 스마트폰을 샀냐는 거죠. (일단 글쎄요 제주변엔 스마트폰을 구매해도 어느정도 사용 잘하시거나
구매자체를 안하시는 어르신분들이 대다수라)
아직 전세계에 스마트폰 안쓰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쉽게 사용할려고 쓰는거면 폴더폰이나 피쳐폰이 훨씬 낫지 않나요?
더군다나 그분들(나이가 조금 있으신분들)은 스마트폰보다 신경쓸게 적은폴더폰도 어려워 하십니다.
왜 스마트폰을 쓰나요? 카톡하려구요? 트위터하려구요? 무료통화 하려구요?
그럼 조금이라도 그분들에게 가서 알려주고 어플을 이용할수있는 방법들을 알려주는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쉬워지는것과, 사용하기에 깔끔하고 직관적인건 분명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은 애초에 쉬워질수가 없는 구조 라고 생각됩니다.
차라리 어려운 스마트폰을 쉽게 다룰수 있게 사용강좌라던가
기업측에서 유저친화적인 ui로 변화시키는게 맞다고 봅니다.
안드로이드가 런처를 바꿔쓸수 있다는걸 알고 쓰셨다면 좀더 좋은 글이 되었을 텐데요 ^^
안드로이드는 런처에 따라 스크롤 감도, 아이콘 크기, UI까지 다 다릅니다. 어떤 런처는 스크롤 감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설정할수 있는것도 있고요. 이렇게 다양한것중 마음에 드는걸로 골라 쓸수 있는거죠.
그넘이 그넘이던데.. 스크롤은...
...트롤링 하시려면 좀더 내공을 쌓으셔야할 듯 합니다. 먹이 던져주고 싶어도 던져드릴게 없네요.

저는 6개월 가량 맥 머신을 사용하면서 아이튠즈를 사용하고있는데요...
윈도우에서 파일을 끌어서 음악을 담고 이런 방식에 적응되어있다가 아이튠즈를 접하면 당연히
"이거 뭐야 내가 왜 이런 과정까지 거쳐야하지?"
이런 생각이 드시겠지만, 여기서 조건을 조금 달리 아이튠즈를 뮤직플레이어로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어디까지나 맥유저)에선
아이튠즈의 방식이 월등히 간편합니당.............
왜냐하면 자기가 노래를 듣다가 다른 노래를 아이튠즈에 추가시키고 이 노래를 아이폰에도 넣고싶다 이런 생각을 하면
단순하게 usb가 연결된 아이폰을 컴퓨터에 꽂고 동기화가 끝났다고할때 빼면 끝나버리거든요...
제가알기로 애플은 윈도우용 아이튠즈는 그저 맥의 프로그램을 윈도우에서 돌아갈수 있게 대충 포팅(오로지 맥의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를 제작한다)
해서 제작했다는 이야기도 들은바가 있네요...
전 솔직히 안드로이드 개발자라서 갤럭시 프라임이 등장하면 200% 구입하겠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튠즈와 동기화하여
미디어를 관리하는 앱(애플에서 직접 제작한다면 정말 좋구요)이 등장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할정도입니다...
아 물론 다시말씀드리지만 위 내용은 사용자가 뮤직플레이어, 컨텐츠를 아이튠즈로 관리할때를 전제로 쓴글입니다 ㅋㅋ
그리고 아이콘 크기의 관점을 생각한다면 그것은 안드로이드가 애플과는 다르게 독창성을 지니겠다는 강철같은 굳의 의지다...
라고 저는 생각합니당.... 생각을해보세요... 아이콘이 좀더 커지고 마진이 생기게 된다면 안드로이드의 최장점중 하나인 다양한 디자인의 위젯이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수있을까요....
그리고 대체 투명색까지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아이콘에 어째서 불만을 가지시는지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과연 아이폰의 아이콘 디자인이 자유도가 훨씬 높은 안드로이드의 아이콘보다 우월하고 월등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일단 저는 그렇다고 생각하지 않네요...
위에서 애플의 아이튠즈 구동에대한 반론과 안드로이드의 ui에 대한 두가지 제 의견을 던졌는데
결국 제 결론은 '사용자가 한번 대충 써보고 자신에게 맞는걸 구입하면 된다' 라는 것입니다.
앞으로 좀더 기술과 디자인이 발전하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만이 아닌 망고와 망고이후의 어떤 모바일 os도 등장할수 있고 선택의 폭이
차차 넓어질수도 있고, 아니면 ios와 android 망고 이 세가지 os가 점차 발전하면서 다른 ui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겠지요.
(결코 세 os가 소비자의 선택권을 좁힐정도로 비슷해지리라고는 생각하지않습니다.)
결국 소비자는 그러한 몇가지의 선택지에서 가장 나에게 직관적으로 와닿는 기기를 구입하면 된다...라는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제의견이네요 ㅎㅎ
아이콘 크기나 배치는 제조사의 홈 UI마다 조금씩 틀립니다. 그리고 스크롤 속도도 천차만별이고 최근 폰에서는 많이 좋아졌죠. 아이콘 크기나 스크롤 속도 만으로 두OS를 비교하신다면 좀 오래된 이야기인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