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마트한 광고의 시작! adLivo 대표 김영준입니다.
저희 회사는 기존의 URL link 형식의 광고 플랫폼에 한계를 인지하고,
좀 더 User에게 친숙하고, 광고주의 매출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광고 플랫폼의 개발에 매진했습니다.
그래서 이미지와 동영상 위주의 광고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전화, URL, GoogleMap 으로의 링크 페이지
1인당 광고 횟수 조절 기능
강력한 광고 범위 설정 기능
등의 기능들을 개발하였습니다.
스마트폰 무료앱이라는 생태계가 건강하게 자라려면 결국 광고주라는 뿌리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광고주가 스마트폰에 광고를 하는 것이 자신들의 매출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하여, 서로서로 광고를 하려고 할 때, 비로소 광고 플랫폼 회사와 무료앱 제공자들이 적절한 수익을 얻어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하 광고주에 대한 광고 제안서입니다.
현재 adLivo 는 자사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인 StudyMaster에서 베타테스트 중에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다운로드 해보시면 adLivo가 어떤 플랫폼인지 테스트 해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www.adlivo.com 홈페이지는 마무리 작업중에 있습니다. 11월 11일 베타테스트가 완료 되는 시점에 정식 오픈할 예정입니다.
정식 서비스를 함께할 앱들을 현재 모집중에 있습니다. 저희가 제공해드리는 benefit은 다음과 같습니다.
- Cauly 또는 Adam과 유사한 수준의 광고 수익률 (초기에는 광고 수주 문제로 수익이 적을 수도 있습니다.)
- 매월 15일 20만원 이상의 수익이 쌓여있을 때, 만원 단위로 자동 계좌이체
- 자세하고 투명한 광고 노출 리포트
-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help@adlivo.com 으로 다음 내용을 기재하여 연락을 주시면 됩니다,.
- 앱 이름.
- 마켓 링크
- 다운로드수
- 일 평균 기존 광고 수익
문의사항은 070-7872-3144로 연락주시면 자세히 응답드리겠습니다.
이상의 시스템들은 대한민국 중소기업청 예비기술 창업 육성 자금의 지원에 의해 개발되었음을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영준 드림
개발자에 대한 제안서는 없나요?
개발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cpc 단가나 리포트 갱신주기에 대한 내용이 없네요..
6:4라고 가정하면....60,72,90원정도가 될꺼 같은데
안녕하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cpc 단가는 제안서에서 보신 것 처럼 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 단가가 달라서 일괄적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cpc 단가에서 광고 대행사에 의한 광고일 경우 일정 수수료가 먼저 제해진 뒤 수익이 분배가 이루어집니다.
수익의 분배는 (개발자 4 : 앱 사용자 1 : 플랫폼 5) 입니다.
단순 URL 링크의 기존 광고 플랫폼에 비해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개발 유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기존 플랫폼과는 다른 비율이 결정되었습니다.
다만 앱 사용자의 광고 클릭에 대한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사용자 대비 수익이 기존의 광고 플랫폼사에 비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리포트는 하루 주기로 보여집니다.
개발사에 대한 정보는 http://www.jnm-inc.com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국립 부경대학교 산학협력관 BI 센터에 입주해 있고,
SKT, Duo 등과 거래 중이며,
중소기업청 예비기술 창업 지원금을 받고,
StudyMaster 어플을 70만 copy 이상 배포한 견실하고 정직한 기업입니다.
나쁜 기업은 절대로 아니라고 자부합니다,.
사실 저희 스터디마스터 어플의 광고 수익이 너무 낮아서 짜증이 나서, 이럴 바에는 우리가 만들자 라고 해서 시작된 광고 플랫폼입니다.
광고주, 개발자, 사용자 의 세 개체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7개월의 개발기간을 거쳐서 만들어졌습니다. (특허도 한 건 (청구항 30개)출원되어 있구요.)
어차피 저희 플랫폼의 광고수익률은 사용하시는 분들에 의해 차차 드러나리라 예상합니다.
우선 GPS권한이 필요한것 같아 특히 마켓에 배포하는 경우 우려되고요.
무엇보다 결국 광고영업이 관건이겠네요..
그런데 단가가 너무 낮은거 아닌가요.. 100원 x 0.4 = 40원인데..
보통 광고플랫폼들이 초기 시장진입 시 publisher단가를 높게 책정하곤 하던데 알고 계시는지 모르겠군요.
안녕하세요. GPS 권한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네트웍을 통한 위치만 받아옵니다.)
광고 영업은 대행사를 통해 계약 작업 중에 있습니다.
앱의 경우 5개 정도만 우선 선발 한 뒤 광고 수익률이 극대화 된 뒤 타 앱들을 모집할 예정에 있습니다.
광고 수익 금액의 경우 단순 클릭당 금액만 판단하시는 것 보다는 금액 * 클릭수를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adLivo 플랫폼의 경우 클릭수가 타 플랫폼에 비해 높기 때문에 수익 상의 문제는 없다라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타 광고 플랫폼의 수익률은 저희도 많은 플랫폼을 장착해 봤기에 잘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저희 회사도 L****P**** 사에 대해 미수 금액이 있습니다.
당장 개발자에게 많은 금액을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광고주의 만족을 얻어내는 것이 무료앱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특허에 관해서 언급하는거는 별로 개발자들에게 어필이 될거같지는 않구요.
그리고 benefit에 적으신
-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라는것도 솔직히 개발자 입장에서 다음이나 카울리에 비해 그리 믿음이 가지도 않구..
실제로 개발자에게 얼마나 떨어지는지, 노출율은 얼마나되는지, 지급방식은 어떻게되는지(세금계산서 발행이 가능한지) 같은걸 더 명확히 (수치로) 알려주시면
위 광고를 올릴지 말지 고려해볼만하겠네요.
(지금도 아담이 5만원이 넘으면 지급을 하는데 20만원 지급이라 ㅎㄷㄷㄷ 이부분에 관해서도 좀 개발자 입장을 고려해주는 지급방식을 바꾸는게 좋을거같습니다. 위엣분 말씀데로 지금 아담/카울리와 비슷하다면 거의 1년이 지나야 지급이 가능한데 말이죠)
개인사업자/법인 일 경우 당연히 세금 계산서를 발행합니다. (용역 처리보다는 이렇게 하는 것이 회계상 더 깔끔합니다.)
아직 베타테스트를 진행 중이라 정확한 매체사 수익금액은 판단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스터디 마스터에서는 기존 카울리 수익에 비해 2배 가량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 중입니다.
(문제는 이 수치가 다른 앱에서도 적용되느냐 입니다. 저희로서는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금액 기준에 대해서는 조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잦은 이체로 인한 행정력 낭비 때문에 20만원으로 의견이 모아진 바 있습니다.)
그리고 수익 금액에 대한 통계자로는 10월 24일 전후로 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보시고 판단하셔도 되겠네요.
http://www.adlivo.com 에서 현재 베타테스트가 진행중인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역시 광역시 위주로 스마트폰이 활성화되어 있네요.
일단 최초 신청앱 5개에 대해서는 선착순으로 등록예정입니다.
일단 한번 실행시켜봤는데 확실히 다른 광고들과는 차이가 있네요
단순히 사이트를 연결시켜주는게 아니라 동영상재생이라던가, 그 광고에 맞는 기능이 들어가있으니 괜찮은거같네요
광고주와 업체와 개발자와 사용자의 윈X4전략이군요^^
현재 저도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애드몹을 장착하고 있지만 향후 adLivo를 장착해봐야 겠네요^^
광고계의 갑이 되시길 바랍니다^^
일단, 표면상으로는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아직, 뭘 옮길만한 사용자풀을 확보한 상태가 아니라서.. 한 번 고려해봐야겠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현재 4개 앱이 접수 되셨습니다.
마지막 한 앱이 접수 된 뒤로는 당분간 접수를 받지 않겠습니다.
5개 앱이 기존 수익보다 높은 수익을 얻는 것이 확인 된 후 앱 등록을 받을 예정입니다.
제가 카울리 버전 업데이트 하고 나서 하루 600원 정도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데요..
20만원을 채울려면... 200,000/600 = 333.3333333333... 이 나오네요..
Cauly 또는 Adam과 유사한 수준의 광고 수익률 이라고 하셨으니
제가 20만원을 벌려면 대략 1년정도가 걸리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