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유출된적 있는 요금제와 비슷한데 데이터량을 다소 올렸네요.
3G요금제의 데이터량들보다 약간씩 많습니다.
이로써 3G와 비슷한 돈 내면서 오히려 데이터량이 적은 엽기성은 해소되었지만, LTE속도에 비하면 부족한 데이터임은 분명.
게다가 무제한은 역시 없음.
LTE의 속도로 영화를 받아본다느니, PC에서나 하는 다운로드를 벌써 다 받는다느니 하는 광고는
과장광고로 신고들 하셔야 할듯.
ps.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9286836g&sid=01043101&nid=000<ype=1
고객들의 '요금폭탄'을 막기 위해 월 9000원만 추가로 내면 주어진 데이터량을 초과해도 동영상 서비스 등은 제한되나 웹서핑ㆍ이메일 등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라는 내용이 있네요. 무제한 요금제 폐지에 대한 보완책인데,
저 일반적인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테더링'이나 동영상을 제외한 다른 다운로드/스트리밍 서비스등이 포함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LTE 요금제로 가입을 하면 데이터 사용에 있어서 3G, LTE 구분이 없나 보네요.
LTE 접속이 안돼서 3G 로 접속을 하더래도 정해진 데이터양에서 나가니, 재수 없으면 3G 로만 데이터 다 소진하는 경우도 생기겠네요.
KT 와이브로 요금제처럼 기존 3G 요금제에 LTE + 하는 개념을 생각했더니....
LTE 34 가 음성 150 문자 100 데이터 500MB 이렇게 시작 했으면 하는 1인. 문자 사람들 이제 많이 안쓰는거 알면서 일부러 저럼. 문자 수 때가지고 음성이랑 데이터에 붙이지 다
지금도 기본요금 12000원 + 안심데이터 10000원 -> 22000원으로 충분한데...
LTE에서도 걍 그대로 써야겠다능...^^;
LTE에선 않된다고하면...LTE 25 요금제에 9000원 -> 34000원으로 하결 봤으면 좋겠는데...
음... 잘 모르지만 제가 아는대로라면 Wibro와 LTE가 이론속도에서 LTE가 빠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같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Wibro가 LTE의 속도를 낼 순 없는 것이지요.
wibro-evolution이 LTE-Advanced보다 도입이 빠르다면 와이브로가 지금의 lte보다 빠른 속도를 낼 순 있겠지만, 현재의 방식에선 와이브로가 엘티이를 이길순 없다고 보입니다. 또한 현재의 와이브로는 망 대역폭이 이미 이론 속도를 낼 수 있는 대역폭이지만 이론과 실제의 차이로 인한 속도 저하가 되어 현재의 속도인듯 하고, lte는 이론 속도를 내기 위한 망 대역폭이 상/하향이 10/10Mhz는 되어야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와이브로의 망 대역폭을 늘린다고 속도가 올라갈 것 같진 않습니다.
이상으로 어디서 주워 들은 얘기들을 머리속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틀린것도 많을것 같습니다. 틀린부분은 지적해주세요.
제 생각과 좀 다른점이 있어보여서 몇자 적고 가네요.
저...말씀중에 죄송한데요..제가 wibro,wimax, lte를 했던 사람으로써 말씀드리는겁니다..^^;
Wibro도 LTE만큼 20Mhz대역 주면 현재LTE기술만큼은 나옵니다. 물론 Wimax는 802.16e-2005 이후 rev6,7등을 거듭해서 오랜 기간 숙성된 상태고요. LTE는 아직은 상용화중이라 개선의 여지가 많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WiMAX
에서 bandwidth에 따른 이론적인 속도를 한번 보시길 바랍니다.
Wimax도 FDD로 20Mhz주면 download 128Mbps upload 56Mbps 나옵니다.
제말은 LTE로 베타 테스트 하는것보다..(3년전에 wibro 베타테스트 했듯이) wibro에 20Mhz 대역을 할당해서 서비스 하는것이 당장 속도향상에 도움이 될것인데, 왜 잘 숙성 시킨 기술은 버리고 새로운 기술이 더 좋아 보이다고 LTE~~ LTE~~ 하냐 이거죠..
LTE는 전세계 200여개 사업자가 서비스 예정이라고요? ㅎㅎㅎ mobile Wimax는 전세게 200여개 사업자가 이미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부터 아랍쪽, 러시아쪽, 그외 탄탄탄(카자흐스탄, 아르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등등...), 동쪽으로는 미국의 clearwire(물론 여기는 LTE-Advanced를 할거라고도 예고를 했습니다.) 남미에는 telefonica까지...전세계에 널려 있습니다.
그냥 막연히 LTE가 좋아보여서 여론도 LTE가 좋다고 하니 그냥 다들 LTE에 목숨거는거 아닌가...그런 생각이 듭니다..
namkun님의 생각에는 20Mhz로 올려봤자..라고 하신다면 뭐...수치와 자료가 있어도 못믿겠다면 한국에서 wibro를 넷북 끼워 팔기용으로 만든 KT의 잘못이 200%겠지요.. 애시당초부터 wibro가 나올때는 계륵같은 존재였으니...
그러나 그런 이미지 때문에 좋은 기술이 매도당하는건 좀 엔지니어 입장에서 애석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술이 무슨 죕니까? ㅎㅎ
요즘 사람들 다들 자기 주장이 강한건 알겠지만, 한분야에 현역으로 뛰는 사람들이 사실을 전해도 곧이곧대로 안듣는것도 문제입니다.
엔지니어가 천대 받는 시대라서 그런지...ㅎㅎ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기획에 치이고, 영업에 뜯기고 뭐...말그대로 3D업종이니..
넉두리가 되었네요.. 암튼.. 결론은 세상에 최고로 좋은건 없다는거...장단점이 있고 그만한 가치가 있다는거..알아주셨으면.
뭐 저기서 추가로 9000원을 내면 속도 제한걸리는 용량 무제한은 제공된다는 소리가 있더군요.
제한걸리는 속도가 어느정도일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가능하면 걍 42 정도에 9000 원 추가하면 나으려나 싶기도 하구요..
그래봐야 비싸다는건 매한가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