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어플이나 웹 어플로 있는거 아시는 분 있나요?
기본 브라우저는 사파리라고 들어습니다만...
당연히 엑티브엑스 없으니까 안돼지만
거기에서 팝업창 뜰 때 사파리에서는 지원안된다고 뜨더라구요ㅋ
그래서 크롬이 아닌 줄 알았습니다;;
사파리랑 user-agent가 비슷해서 아이폰을 가려내는 웹사이트를 안드로이드로 들어가시면 아이폰 전용 페이지로 나오기도 합니다.
그래서 병무청에서 사파리는 불가. 라고 나왔겠지요. 근데 그거랑은 별개로 사파리랑 크롬은 같은 웹킷 엔진이에요.
browser wigget 이라고 마켓에 치면 browser wigget (chrome) 이란 위젯뜨는데요
이게 기본보다 좀 더 빠른 것 같긴 하던데..
있을 이유가 없습니다.
크롬이 빠른 이유는 V8자바스크립트 엔진이 가장 큰데, 안드로이드 2.x부터 기본 브라우저에 단계적으로 적용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크롬의 노하우가 안드로이드 기본 브라우저에 녹아있다고 보면 되고,
렌더링 부분을 제외하면 크롬 그 자체라고 봐도 될겁니다. 물론 모바일이기 때문에 데탑을 그대로 옮기진 못했지만요.
날고 긴다는 개인 개발자들이 크롬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chrominium을 굳이 따로 포팅하려는 시도가 없는 것도 그것 때문일 겁니다.
참고로 사파리 이야기가 계속 있는 건 플라타너스님 말씀처럼 User agent에 mobile safari 문구가 들어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호환성을 위해 편법적으로 넣은 것에 가깝죠... 실제로 모바일 사파리의 비표준 태그들을 일부 해석해서 처리하기도 합니다.
크롬은 멀티 프로세스 기반으로 C++로 만들어졌습니다. API 없이 플랫폼에 맞게 제공되구요.
안드로이드에서 동작하게 하려면 (API는 무시하더라도) 너무 많은 것을 해야 할거 같네요.
현재 안드로이드의 웹뷰는 또 다른 웹킷이라고 봐야 할겁니다.
크롬, 사파리, 안드로이드 웹뷰 모두 웹킷을 사용하지만 기본이 되는 플랫폼이 다른거구요. 또 베이스 버전도 다릅니다.
안드로이드 웹뷰는 무척 옛날거를 지네 맘대로 고쳐 쓰는 걸로 기억합니다.
너무 많이 고쳐서 최신 걸로 가기 어려운가 봅니다.
아이스크림에는 들어가면 좋겠는데 모르겠네요.
그리고, 웹킷 기반 애들은 User agent에 webkit 이란게 들어갑니다
병무청 애들이 UA에 webkit 들어가면 다 사파리인줄 아나봅니다 -_-;
기본 브라우저가 크롬인데여;; 사파리는 iOS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