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부팅시 바탕화면의 아이콘, 위젯이 늦게 뜨는 경우 가장 먼저 의심해봐야하는건 SD카드에 설치된 어플의 수와 용량입니다.
SD카드 용량이 많으면 부팅 과정에서 SD카드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구요. 그만큼 SD카드에 설치된 어플을 확인하는데 시간이 걸리겠죠.
만약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느려졌다면, 내장 메모리와 여유 RAM 용량을 체크해보세요. 어플을 많이 설치하거나 캐시가 많이 쌓인 경우, 혹은 이메일 어플의 용량이 커져 내부 메모리가 적은 경우 시스템이 느려집니다.. 20MB 정도가 되면 시스템 알림이 뜹니다만, 25MB 정도만 돼도 시스템이 좀 느려지더군요;;
그리고 여유 RAM은 어플을 많이 실행하면 점점 줄어드는데, 이게 줄어들면 시스템이 확실히 느려집니다. 프로요 이후부터는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가 개선돼서 사용자가 따로 메모리 관리를 할 필요가 없긴 합니다만, 만약 충분치 못하다고 느껴지시면, 태스크 매니저를 사용해서 필요없는 어플을을 kill해 여유 RAM 용량을 확보해 보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좀 많습니다만,, 일단,
재부팅시 바탕화면의 아이콘, 위젯이 늦게 뜨는 경우 가장 먼저 의심해봐야하는건 SD카드에 설치된 어플의 수와 용량입니다.
SD카드 용량이 많으면 부팅 과정에서 SD카드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구요. 그만큼 SD카드에 설치된 어플을 확인하는데 시간이 걸리겠죠.
만약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느려졌다면, 내장 메모리와 여유 RAM 용량을 체크해보세요. 어플을 많이 설치하거나 캐시가 많이 쌓인 경우, 혹은 이메일 어플의 용량이 커져 내부 메모리가 적은 경우 시스템이 느려집니다.. 20MB 정도가 되면 시스템 알림이 뜹니다만, 25MB 정도만 돼도 시스템이 좀 느려지더군요;;
그리고 여유 RAM은 어플을 많이 실행하면 점점 줄어드는데, 이게 줄어들면 시스템이 확실히 느려집니다. 프로요 이후부터는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가 개선돼서 사용자가 따로 메모리 관리를 할 필요가 없긴 합니다만, 만약 충분치 못하다고 느껴지시면, 태스크 매니저를 사용해서 필요없는 어플을을 kill해 여유 RAM 용량을 확보해 보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이 외의 방법이라면, 역시 공초가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