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게시판 - 잡담, 유머, 창작
(글 수 3,936)
외국 사이트들은 메일 주소에 그냥 텍스트 필드 하나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한 몇 년 전부터인가 국내 사이트들은 마치 서로 짠 듯이
[ ] @ [ [V ]] 직접 입력[ ]
이런 복잡한 폼을 도입했습니다.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가 그냥 메일 주소는 자동으로 입력하게 되어 있는데 저렇게 되면 자동 입력도 안 되고, 게다가 저처럼 GMail을 쓰는 사람은 저 드롭다운에 없기 때문에, 매번 마우스로 직접 입력 필드로 포커스를 옮기고 gmail.com을 쳐야 합니다. (요즘에는 안드로이드의 보급으로 목록에 gmail.com도 나오는 곳이 있더군요.)
왜 항상 한국만 이렇게 튑니까... 저는 개인적으로 저렇게 된 사이트를 볼 때마다 짜증이 나는데, 저게 있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메일 도메인이 긴 것도 아니고, 마우스로 드롭다운 할 시간에 그냥 쳐 버리겠는데요. 혹시 여기 웹 개발하시는 분 있으면 왜 저렇게들 하는지 좀 알려 주세요.
A programmer, sort of.
2011.03.05 01:50:21

제가 경험이 있으니 답해드리자면...
90년대에 제가 디자인한 사이트에 통짜로 입력필드를 넣어놨더니
사람들이 @의 앞부분만 입력한다던지 -_-;
@를 빼먹는다던지,
자기가 가진 메일을 여러개 연속으로 쓴다던지,
hanmail.net을 한메일이라고 써놓는다던지...개판이더군요 -_-;;;;
그래서 뒷부분을 의무적으로 정확히 입력하게 하려고, 앞뒤부분을 분리하고, 뒷부분을 선택해서 고르게 해놨습니다.
90년대에는 사람들이 쓰는 메일 서비스가 많지 않아서, 한메일이랑 서너개만 넣어두면 되었는데,
98, 99년도 전후로 웹메일 서비스가 늘어나니 주요 메일 서비스가 많이 늘어나고, 마이너(?) 메일 서비스를 위해 기타 입력을 넣어야 했죠.
그당시는 올바른 이메일인지 간단한 인터페이스로 확인할 방법도 마땅치 않았고,
이메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낮아서 실수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으니
그런식으로 발전하게 된거였습니다.
요즘은 꼭 저런 식으로 안해도 될듯 한데.... (ajax로 이메일의 규칙을 체크한다거나, 기타등등)
사람들에게 익숙하기도 하고, 다들 그렇게 쓰니 예전 소스 그냥 쓰는 듯...
2011.03.05 16:29:50
저는 클릭하는것도 귀찮아서(...) 그냥 왼쪽 부분에 아이디 적고 바로 Tab, PageDown 눌러서 직접입력 선택한 다음에 gmail.com을 입력해버리죠ㅠㅠ
2011.03.07 18:38:59
개발자입장에서 개인적인 생각을 좀 정리해보자면,
첫째, 우리나라 사람들 영타 입력 정말로! 매우매우! 싫어합니다. 한타는 500타 치는 사람도 영타는 100타도 안나오는 사람들이 부지기수기 때문에... 한마디로 편의성을 조금이나마 높여주는 역할을 하죠.
(님처럼 마우스로 찾아서 선택하는 것보다 걍 타자치는게 더 편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일반인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어찌보면 영어권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당연한거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둘째, 먼가 있어보인다입니다. ㅡ.ㅡ 이건 페이지 의뢰인이나 개발자나 같은 입장인데, 좀더 있어보이는 UI를 제공함으로써, 성과를 인정받을 확률이 좀더 높아집니다. - -;
ps. 위에 draco님의 의견도 어느정도는 맞겠지만, 직접입력한건 결국 validation check를 해야되기 때문에 설득력이 쪼~금 떨어집니다. ^^;
2011.03.09 15:38:11
제가 알기로 저게 다음에서 스팸메일을 막겠답시고 '온라인 우표제'를 시행하면서부터 각종 사이트의 메일 필드가 드롭다운 방식으로 바뀐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온라인 우표제 때문에 다음 측에 대량으로 메일을 보내려면 메일 보낸 측에서 '돈을 내야' 하니까요.
하지만 저걸 시행해도 스팸메일은 전혀 줄지 않았고 오히려 각종 사이트에서 'hanmail.net과 daum.net은 쓰지 마세요' 라고 적으면서 드롭다운에서 직접입력을 선택해서 hanmail.net이나 daum.net 으로 입력해도 차단을 하게 되니까 다음의 한메일 이용자가 저때 상당히 줄어들었죠. (사이트 가입을 하려면 한메일 쓰면 안되니까 다른 포털사이트의 이메일을 쓰게 되니)
저게 2002년도에 시행했다 2005년도에 폐지했으니까, 꽤 됐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