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과 태블릿 새로운 소식 - 안드로이드, 아이폰, 윈도폰, 바다폰, 태블릿 새로운 소식
(글 수 12,606)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t=924654
새소식란에는 처음 글을 올립니다.
여기다가 쓰는것이 맞나 싶기도 한데. 아니면 다른데로 옮겨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미국향 티모빌 갤탭을 해킹해서 주 전화기로 사용중인데
어제를 기점으로 버그없는(현제까지는...) 갤탭용 오버클럭된 커널이
xda 포럼을 중심으로 배포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부터 1.2정도 오버클럭은 갤스중심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계신걸로
알고 있는데, 1.4까지 안정적으로 오버클럭된건 처음같습니다.
지금 이틀째 사용중인데, 가장 최근 버전 v14 부터는 센서문제도, 재부팅 문제도, .오버히팅 문제도 전혀 없네요.
매우 안정적이고 또 매우 빠릅니다.
브라우저에서 있던 갤탭 특유의 끊김 현상도 거의 없어졌고(넥원에는 없는데 갤탭에는 있어... 늘어난 화소수를 비슷한 성능의 cpu로 처리하기가 조금 힘들지 않나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해결이 되더군요..) 전반적인 부분에서 사용속도가 매우 향상되었습니다.
린팩은 19전후반, 쿼드런트는 2300후반정도 안정적으로 나옵니다.
다른분이 개발중인 커널은 쿼드런트에서 3000까지도 나온다고 하는데
제가 사용해본 바로는 sd카드 인식문제,카메라 문제등... 아직은 자잘한 버그가 있더군요.
최근 쏟아져 나오는 듀얼에 대한 소식들로 심란했는데 이정도 매끄러움이면 앞으로 1-2년정도 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새소식란에는 처음 글을 올립니다.
여기다가 쓰는것이 맞나 싶기도 한데. 아니면 다른데로 옮겨 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미국향 티모빌 갤탭을 해킹해서 주 전화기로 사용중인데
어제를 기점으로 버그없는(현제까지는...) 갤탭용 오버클럭된 커널이
xda 포럼을 중심으로 배포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부터 1.2정도 오버클럭은 갤스중심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계신걸로
알고 있는데, 1.4까지 안정적으로 오버클럭된건 처음같습니다.
지금 이틀째 사용중인데, 가장 최근 버전 v14 부터는 센서문제도, 재부팅 문제도, .오버히팅 문제도 전혀 없네요.
매우 안정적이고 또 매우 빠릅니다.
브라우저에서 있던 갤탭 특유의 끊김 현상도 거의 없어졌고(넥원에는 없는데 갤탭에는 있어... 늘어난 화소수를 비슷한 성능의 cpu로 처리하기가 조금 힘들지 않나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해결이 되더군요..) 전반적인 부분에서 사용속도가 매우 향상되었습니다.
린팩은 19전후반, 쿼드런트는 2300후반정도 안정적으로 나옵니다.
다른분이 개발중인 커널은 쿼드런트에서 3000까지도 나온다고 하는데
제가 사용해본 바로는 sd카드 인식문제,카메라 문제등... 아직은 자잘한 버그가 있더군요.
최근 쏟아져 나오는 듀얼에 대한 소식들로 심란했는데 이정도 매끄러움이면 앞으로 1-2년정도 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2011.02.17 00:12:30
원래 허밍버드가 린팩이 잘 안 나옵니다. 그래서 린팩이 스냅드래곤에 유리하게 테스트를 하는 프로토콜로 되어있다는 루머도 있었고 허밍버드가 린팩이 요구하는 과제중 하나를 잘 실행하지 못한다는 이야기도 있었고... 저도 진실은 잘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제 넥원이 루팅+오버클럭후 린팩 49에 쿼드 2400정도 나왔었는데 실 사용감은 지금 오버클럭된 제 갤택과 갤스가 훨씬 빠른걸로 보아... 어느정도 저 루머들에 공감하구요.
이런 이유들로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을 다른 기기간에 성능비교용으로는 전혀 신뢰하지 않지만, 같은 기기라면 어느정도의 성는향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신뢰하고 있습니다.
아, 참고로 갤스 대부분의 국제향이랑 국내향이랑 완전 똑같습니다. 국제향 긹들이 높은건 그만큼 프로그래머들이 해킹과 오버클럭을 많이 해서 이기 때문입니다. 제 예전 녝원도 린팩 최고 기록은 58, 쿼드는 2400후반대였는데... 한국에 계신 분들은 그렇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으시더군요.
참고로 제 갤스 미국향 처음에는 린팩 9점대.. 쿼드 1000점대로 나왔었습니다. 프로요 업이후에 13점,1400점정도 나왔구 지금은 1.2오버후 17점, 1700나오네요. 근데 프로요 업힌 갤스가 제 예전 오버클럭한 넥원보다 훨씬 부드럽고 빠릅니다.
이런 이유들로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을 다른 기기간에 성능비교용으로는 전혀 신뢰하지 않지만, 같은 기기라면 어느정도의 성는향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신뢰하고 있습니다.
아, 참고로 갤스 대부분의 국제향이랑 국내향이랑 완전 똑같습니다. 국제향 긹들이 높은건 그만큼 프로그래머들이 해킹과 오버클럭을 많이 해서 이기 때문입니다. 제 예전 녝원도 린팩 최고 기록은 58, 쿼드는 2400후반대였는데... 한국에 계신 분들은 그렇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으시더군요.
참고로 제 갤스 미국향 처음에는 린팩 9점대.. 쿼드 1000점대로 나왔었습니다. 프로요 업이후에 13점,1400점정도 나왔구 지금은 1.2오버후 17점, 1700나오네요. 근데 프로요 업힌 갤스가 제 예전 오버클럭한 넥원보다 훨씬 부드럽고 빠릅니다.
2011.02.17 03:50:11
린팩은 주로 부동소수점 연산성능을 벤치마크 하는거라 CPU의 부동소수점 연산성능이 높은 스냅드래곤 계열이 유리합니다.
퀄컴 계열의 스콜피온 프로세서는 아키텍쳐가 ARM 프로세서 호환이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것으로 압니다.
부분적인 비순차처리가 가능하며, FPU가 같은 VFPv3 이지만 스콜피온 쪽은 파이프라인화 되어있다고 합니다.
이 차이때문에 FPU의 연산 성능에 격차가 생기게 됩니다. 연달아서 와구와구 구겨넣을수 있게 되거든요.
덤으로 A8 대비 NEON SIMD 유닛의 데이터 경로가 2배이고 필요에 따라 반절은 사용하지 않을때 끄는 방식이라더군요.
하지만 모바일기기에서 대체적으로 CPU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을 필요로 하는 부분도 생각보다 적을 뿐더러
ARM 아키텍쳐 자체의 부동소수점 연산성능이 신통찮은편이라 부동소수점 연산능력을 많이 요구하는 미디어들은
대부분의 기기들이 DSP와 GPU에 의존하여 재생하는 있는것으로 압니다.
물론 L2 캐시가 거세된 만큼 실제로 체감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정수연산 성능이 좀 떨어지는 편이고,
내장된 DSP와 GPU가 제일 부실한지라 체감 성능은 다른 계열의 프로세서들에 비해서 퀄컴계열이 다소 떨어집니다.
또한, 스냅드래곤 계열의 쿼드란트 점수가 높은건 버그로 H.264 디코딩 테스트부분을 스킵하기 때문에 생기는 버그로 알고 있습니다.
2011.02.17 14:49:21
xda에 가보면 cdma용, gsm용 커널이 둘다 존재합니다. 국내용이면 아마도 제가 위에다 링크걸어논 gsm을 사용해야하지 않나 싶은데, 제가 확실하게 국내버전 주파수 같은 부분을 모르니 확답을 들리기가 쉽지 않네요.
미국 티모빌,at&t 같은 경우는 모두 잘되는것이 확인 되었구요.
저같은 경우는 우선 modaco라는 분이 만든 ext4 시스템 화일 변경용 커널을 오딘을 통해 깔은후 시스템 파일 변경-> overcome이라는 커스톰 롬(유럽버젼) 설치->오버클럭 커널 설치의 수순을 밟았습니다.
만약 원하시면 다른 게시판이나 pm을 통해 자세하게 제가 했던 방법을 설명해 드릴 수 있지만, 그렇게해서 유럽 펌웨어와 유럽용 커널을 깔았을시 한국에서도 잘 돌아갈지(기기 자체는 문제가 없겠지만, 네트워크 사용같은 부분에서..)는 보장을 못 해드리니....
다른 전문가분께서 저와 같은 셋업을 사용하는것이 문제 없다라고 확인해 주시고 알맞는 게시판 알려주시면 루팅하는 법부터 오버클럭까지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미국 티모빌,at&t 같은 경우는 모두 잘되는것이 확인 되었구요.
저같은 경우는 우선 modaco라는 분이 만든 ext4 시스템 화일 변경용 커널을 오딘을 통해 깔은후 시스템 파일 변경-> overcome이라는 커스톰 롬(유럽버젼) 설치->오버클럭 커널 설치의 수순을 밟았습니다.
만약 원하시면 다른 게시판이나 pm을 통해 자세하게 제가 했던 방법을 설명해 드릴 수 있지만, 그렇게해서 유럽 펌웨어와 유럽용 커널을 깔았을시 한국에서도 잘 돌아갈지(기기 자체는 문제가 없겠지만, 네트워크 사용같은 부분에서..)는 보장을 못 해드리니....
다른 전문가분께서 저와 같은 셋업을 사용하는것이 문제 없다라고 확인해 주시고 알맞는 게시판 알려주시면 루팅하는 법부터 오버클럭까지 정리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