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AD@m(이하 아담이라 적을께요.) 베타테스트 때 부터 사용하여 지금 상용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개발자입니다.

최근 아담플랫폼을 이용하던 중 이것저것 궁금해서 고객센터에 질문을 여럿했습니다.

그 내용들은 많은 개발자들이 궁금할 내용이 아닌가 싶어 이렇게 적게 되었습니다.

먼저 제가 왜 질문들을 하게 됐는지 배경입니다.

제가 원래 사용하던건 Admob 이였고 그러다가 Adsense가 제 계정엔 언제 통합될지 몰라서 Adsense로 갈아탔습니다.
우선 Admob, Adsense, AD@m의 CTR을 살펴보겠습니다.

제 통계가 그리 검증 안된 통계는 아닐꺼예요. active installs 20만 넘으니까요.
Admob : 1.4~1.8%
Adsense : 0.7~0.8%
AD@m : 0.22~0.23% (이틀전부터는 0.17~0.18%)

수치를 보면 아담이 Admob와 Adsense에 비해 상당히 낮았습니다. 왜 낮을까요? 그건 아담의 보고서 하단을 보면 이런 안내가 있습니다.
"유효클릭수: 적립금 대상이 되는 유효한 광고 클릭 횟수 (전체클릭수 – 무효클릭수 )"

무효클릭 처리를 많이 한다는거죠.

그래서 질문하게되었구요.
아래는 결론인 오고간 메일내용입니다.

1차 메일
질문 : 무효클릭 기준이 뭔가요?
답변 : 무효클릭이란 고의적이고 무의미한 목적을 지닌 반복 클릭, 로봇을 이용한 대량 클릭 등의 부정클릭과 시스템 오류로 인한 반복클릭 등을 말합니다.
예: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휴대폰으로 반복적으로 클릭 되는 건

2차 메일
질문 : 반복적이란게 무조건 휴대폰기준인건지 아니면 Client ID에 따른 구분을 한 기준인건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 무효클릭 수 기준은 휴대폰 기준이며 따라서 다른앱에서 먼저 클릭한 광고의 경우 다른 앱에서 연이어 클릭 시 무효 클릭 판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죄송하지만, 실제 반복적 클릭의 구체적인 기준 및 값은 악용될 여지가 있고 수시로 변동되기 때문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외에도 무효클릭의 경우 다양한 기술을 이용해 판정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안내해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 안드로이드 폰에서 폰의 고유한 키값을 알아내는 함수가 안드로이드 OS 2.2부터 다른 동작을 하는 것으로 해당 OS에서 무효클릭이 많이 잡히고 있는 현상이 파악되어 현재 검토 중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해당 이슈가 해결되면 클릭률이 현재보다 높아질 수 있는 점 참고로 안내해 드립니다.

저의 현재 CTR을 살펴보면 이틀전부터 더 낮아지고 있는데요. 그 원인은 저 답변에 나와있습니다. 다른앱에서 클릭한 광고은 무효클릭되기 때문이죠.
현재 제가 살펴볼때 현재 광고는 대략 7~8개 정도 랜덤하게 나오는것같은데 그 날 뜨는건 정해져있는듯합니다. 다른앱을 살펴봐도 같은 광고들이 나타납니다.

결론은 뭘까요? 개발자들이 AD@m을 많이 붙일 수록 무효클릭 처리되는게 늘어난다는 얘기죠.(현재 CTR 낮아지고 있습니다.)
그럼 당연히 자주사용하지 않는 앱은 물론이고 개발자의 수익은 점점 낮아진다는 얘기네요.

AD@m의 운영정책이 바뀌지 않는다면 이 광고 플랫폼은 개발자들이 포기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상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