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좀 특이 하더라구요... 메일도 따로 지불해야 수신 가능하고... 하긴 뭐 외국 사람이 한국에 와서도 심카드 이용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니... 일본은 가깝지만 우리나라의 LG텔레콤 방식 위주가 대다수 인듯 합니다.
와이파이가 답이기는 하나, 일본은 전체적으로 와이파이에 비번이 걸려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CDMA 방식 고집할 때 처럼 일본도 방식은 약간 틀리지만, 싸게 쓰는 법이 타국가 출장에 비해 무쟈게 까다롭더라구요.
본인 같은 경우는 노트북의 SoftAP 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금 없이 무제한 데이터를 썼습니다. 물론 유선을 통한 AP 방식은 자유로이 통화건 데이터건 쓸 수 있습니다만, 인터넷 유선 회선이 있어야 가능한 이야기 이고... 무선 데이터는 Skype 도 활용을 할 수 없도록 막아 놓더라구요... 부득이 무선 데이터를 꼭 쓰셔야 겠다면, s 로밍이나 일본 Wimax 를 검색해 보세요. 나도 그 두가지는 써 본적 없지만, 일본 출장시 쓰려고 검색 해 보았는데, 좀 머리 아파서... 그냥 SoftAP로 LG070 전화기와 넥원등 무선 기기를 마음껏 쓰고 왔습니다.
다른 이야기 이지만 KT 는 사실 로밍에 대한 답이 없습니다. 1kb에 3.5원이고 10메가 바이트에 30000 원의 요금제가 있습니다만, 이건 정말 요금폭탄입니다. 그래서 KT 는 욕을 먹습니다. SKT 는 일본지역기준 3만5천원에 무제한 로밍이 있습니다. 물론 네트웍을 Softbank 로 해 놓고 써야 가능한 이야기지만, 어려운 것도 아니죠. 여기에서 KT는 엄청난 이익을 보고 있고, 이것을 소비자를 위해 수정할 계획도 없답니다.
2010.12.10 13:20:16
죠니뎁
CDMA rev.A를 사용하는 통신사는 au 하나뿐입니다. 소뱅과 ntt 도코모는 넥원이 지원하는 wcdma규격을 따르고 있죠. 다만 문제가 되는 부분은 선불 유심을 구하기가 힘들다는 점 뿐이죠.
2010.12.10 14:32:02
Transkim
뭔 방식인지는 잘 모릅니다만, 우리나라가 기존 CDMA 고집했던것 처럼 이라고 한 것이고 일본은 약간 다른 방식이라고 했습니다 ㅎㅎㅎ. 전문가 적으로 적은것이 아니라 경험상으로 적은 것이며, 소프트 뱅크는 유심 공항에서 구매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이폰용 이고 국내용이며 넥원용은 아니라는.. 아무튼 지적 감사 합니다.
일본은 좀 특이 하더라구요... 메일도 따로 지불해야 수신 가능하고... 하긴 뭐 외국 사람이 한국에 와서도 심카드 이용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니... 일본은 가깝지만 우리나라의 LG텔레콤 방식 위주가 대다수 인듯 합니다.
와이파이가 답이기는 하나, 일본은 전체적으로 와이파이에 비번이 걸려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CDMA 방식 고집할 때 처럼 일본도 방식은 약간 틀리지만, 싸게 쓰는 법이 타국가 출장에 비해 무쟈게 까다롭더라구요.
본인 같은 경우는 노트북의 SoftAP 를 이용하여 데이터 요금 없이 무제한 데이터를 썼습니다. 물론 유선을 통한 AP 방식은 자유로이 통화건 데이터건 쓸 수 있습니다만, 인터넷 유선 회선이 있어야 가능한 이야기 이고... 무선 데이터는 Skype 도 활용을 할 수 없도록 막아 놓더라구요... 부득이 무선 데이터를 꼭 쓰셔야 겠다면, s 로밍이나 일본 Wimax 를 검색해 보세요. 나도 그 두가지는 써 본적 없지만, 일본 출장시 쓰려고 검색 해 보았는데, 좀 머리 아파서... 그냥 SoftAP로 LG070 전화기와 넥원등 무선 기기를 마음껏 쓰고 왔습니다.
다른 이야기 이지만 KT 는 사실 로밍에 대한 답이 없습니다. 1kb에 3.5원이고 10메가 바이트에 30000 원의 요금제가 있습니다만, 이건 정말 요금폭탄입니다. 그래서 KT 는 욕을 먹습니다. SKT 는 일본지역기준 3만5천원에 무제한 로밍이 있습니다. 물론 네트웍을 Softbank 로 해 놓고 써야 가능한 이야기지만, 어려운 것도 아니죠. 여기에서 KT는 엄청난 이익을 보고 있고, 이것을 소비자를 위해 수정할 계획도 없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