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개발자 모임 게시판
(글 수 7,991)
안녕하세요. 열심히 일 하다가;; 분위기 전환겸 글 하나 투척!
최근 앵그리 버즈가 무료 광고로 유료 앱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 라는 기사가 광고 앱에게 희망을 주고 있는데요.
앵그리 버즈야 앱도 최고로 잘만들었고 원래 탑이였기에 쉽게 입소문이 나서 대중화가 될 수 있었던 것이고...
소소하게;;; 용돈이나 버는 개발자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써 보려고 합니다.
1년 전이야 앵그리 버즈도 앱스토어에 올릴 때에는 고민 없이 그냥 1불에 올렸을 껍니다.
모바일 광고 시장도 작았고 사용자도 적었구요.
하지만 이제는 광고로 올릴지 유료로 올릴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오늘 밴치마킹 할 대상은 도돌 배경 만들기 라는 앱입니다.
안드로이드 펍에도 소개 ( http://www.androidpub.com/963882 ) 했었는데요.
나름 야심작(?) 이였지만 트렌드가 되지 못하고 있어 슬퍼 하고 있습니다. ㅠㅠ
야금야금 사용량이 늘어나긴 하지만...
도돌 배경 만들기는 안드로이드 마켓에 유료 ( $1 )와 무료 (라이브포인트 광고) 로 모두 올라와 있습니다.
몇 가지 fact를 보고 가자면
지원 언어 -> 한국어, 영어
사용자 비율 -> 유료 :무료 = 1 : 10
무료 사용자 비율 -> 국내 : 해외 = 5 : 1
유료 사용자 비율 -> 국내 : 해외 = 5 : 6
사용자 언어 -> 한국어, 영어, 러시아, 스페니쉬 순
제일 중요한 수익은
Ad : Paid = 3 : 8
입니다.
유료와 무료의 차이점은 광고 밖게 없습니다. (코드 수정도 귀찮고;;; 무료에서 막아봤자 욕만 먹고)
소비자 잉여를 활용한 형태라고 생각 합니다. $1 정도 개발자야 수고했다 먹어라 또 잘 만들어줘~ 이런 느낌;;;? ㄳㄳ
유료 수익은 3 개월 이상 비슷한 금액을 유지해 왔습니다.
도돌에서는 앞으로 무료와 유료 모두 지원하는 형태로 앱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아무래도 앱을 잘 만들었지만 트렌드가 되기 어려운 경우 광고만으로 기획하는 것은 좋지 않아 보입니다.
유료 앱에는 가장 기본적인 LVL이 설정 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크렉이 무섭다면 답 없지요. -ㅠ-
좋은 개발 하시길 :)
최근 앵그리 버즈가 무료 광고로 유료 앱보다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다 라는 기사가 광고 앱에게 희망을 주고 있는데요.
앵그리 버즈야 앱도 최고로 잘만들었고 원래 탑이였기에 쉽게 입소문이 나서 대중화가 될 수 있었던 것이고...
소소하게;;; 용돈이나 버는 개발자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써 보려고 합니다.
1년 전이야 앵그리 버즈도 앱스토어에 올릴 때에는 고민 없이 그냥 1불에 올렸을 껍니다.
모바일 광고 시장도 작았고 사용자도 적었구요.
하지만 이제는 광고로 올릴지 유료로 올릴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오늘 밴치마킹 할 대상은 도돌 배경 만들기 라는 앱입니다.
안드로이드 펍에도 소개 ( http://www.androidpub.com/963882 ) 했었는데요.
나름 야심작(?) 이였지만 트렌드가 되지 못하고 있어 슬퍼 하고 있습니다. ㅠㅠ
야금야금 사용량이 늘어나긴 하지만...
도돌 배경 만들기는 안드로이드 마켓에 유료 ( $1 )와 무료 (라이브포인트 광고) 로 모두 올라와 있습니다.
몇 가지 fact를 보고 가자면
지원 언어 -> 한국어, 영어
사용자 비율 -> 유료 :무료 = 1 : 10
무료 사용자 비율 -> 국내 : 해외 = 5 : 1
유료 사용자 비율 -> 국내 : 해외 = 5 : 6
사용자 언어 -> 한국어, 영어, 러시아, 스페니쉬 순
제일 중요한 수익은
Ad : Paid = 3 : 8
입니다.
유료와 무료의 차이점은 광고 밖게 없습니다. (코드 수정도 귀찮고;;; 무료에서 막아봤자 욕만 먹고)
소비자 잉여를 활용한 형태라고 생각 합니다. $1 정도 개발자야 수고했다 먹어라 또 잘 만들어줘~ 이런 느낌;;;? ㄳㄳ
유료 수익은 3 개월 이상 비슷한 금액을 유지해 왔습니다.
도돌에서는 앞으로 무료와 유료 모두 지원하는 형태로 앱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아무래도 앱을 잘 만들었지만 트렌드가 되기 어려운 경우 광고만으로 기획하는 것은 좋지 않아 보입니다.
유료 앱에는 가장 기본적인 LVL이 설정 되어 있습니다. 그래도 크렉이 무섭다면 답 없지요. -ㅠ-
좋은 개발 하시길 :)
2010.12.05 19:32:02
근데 또 생각해야할게 유료의 경우는 한번 다운로드하면 끝이게되잖아요.
허나 광고의 경우는 자주 클릭하는 사람이라면 유료 수익도 시간이걸릴뿐 한명의 사용자가 벌게해주는 금액이 더 많아지지 않을까요? 아직 광고를 띄워보진 않아서 광고수익이 어떤방식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전 무료로 해서, 사용자가 광고를 껐다켰다 할 수 있게 만드려고 생각중입니다. 솔직히... 사용자 입장에서 가뜩이나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광고뜨면 영 거슬리잖아요. 처음 실행시엔 무조건 보여줘서 이거 광고있는거임. 하고 알려준다음에 사용자에게 끌지 말지를 결정하게 하려구요. 장기적으론 이런방식이 소수의 충성고객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해서 테스트해보려구 생각만.;; 하고있습니다.
앱 액티브인스톨 퍼센티지라도 알 수 있을까요?
허나 광고의 경우는 자주 클릭하는 사람이라면 유료 수익도 시간이걸릴뿐 한명의 사용자가 벌게해주는 금액이 더 많아지지 않을까요? 아직 광고를 띄워보진 않아서 광고수익이 어떤방식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전 무료로 해서, 사용자가 광고를 껐다켰다 할 수 있게 만드려고 생각중입니다. 솔직히... 사용자 입장에서 가뜩이나 작은 모바일 화면에서 광고뜨면 영 거슬리잖아요. 처음 실행시엔 무조건 보여줘서 이거 광고있는거임. 하고 알려준다음에 사용자에게 끌지 말지를 결정하게 하려구요. 장기적으론 이런방식이 소수의 충성고객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해서 테스트해보려구 생각만.;; 하고있습니다.
앱 액티브인스톨 퍼센티지라도 알 수 있을까요?
2010.12.05 19:52:16
유료로 쓸수도 무료 광고로 쓸 수 있는 한 사람이 있을때... 통계적으로 한 사람이 광고로 $1 수익을 채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앱을 쓰시면서 광고를 몇번이나 누르시는지... 실수로도 아예 안누르죠.. ^^;;
무료로 해서 사용자가 광고를 껐다 킬 수 있게 만드는 것은 참 좋은 생각입니다. 몇 앱에선 그런 방식을 쓰기도 하더군요.
충성 고객은 얻으실 수 있지만 개발자가 만족 못한다면 앱에 대한 개발 의지나 투자가 약해 지실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사용자에게도 앱에게도 - 죠. 그런면까지 잘 계산 하셔서 사용자와 개발자, 앱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지점을 찾으셔야겠죠. 개발 이유가 꼭 수익일 필요는 없겠지만요.
앱 액티브는 유료 무료 모두 50% 정도 됩니다.
생각해 보세요. 앱을 쓰시면서 광고를 몇번이나 누르시는지... 실수로도 아예 안누르죠.. ^^;;
무료로 해서 사용자가 광고를 껐다 킬 수 있게 만드는 것은 참 좋은 생각입니다. 몇 앱에선 그런 방식을 쓰기도 하더군요.
충성 고객은 얻으실 수 있지만 개발자가 만족 못한다면 앱에 대한 개발 의지나 투자가 약해 지실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사용자에게도 앱에게도 - 죠. 그런면까지 잘 계산 하셔서 사용자와 개발자, 앱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지점을 찾으셔야겠죠. 개발 이유가 꼭 수익일 필요는 없겠지만요.
앱 액티브는 유료 무료 모두 50% 정도 됩니다.
2010.12.05 20:48:17
도돌님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전에 이런 생각을 해 보았는데요.
광고가 아무리 작아도 3G 팻킷을 사용하는 거잖아요. 우리나라야 무제한 요금제가 대세라서 그리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만약 무제한 사용자가 아니거나 무제한 요금제가 없는 나라에서 라면,
광고 때문에 나가는 3G 요금은 합친금액과
유료앱을 구매한느 비용중
사용자가 들어가는 비용이 어는 쪽이 많을 까 궁금하더군요.
------------ 여기까지는 그냥 제가 가지고 있는 궁금증 이랍니다. -----------------
전에 이런 생각을 해 보았는데요.
광고가 아무리 작아도 3G 팻킷을 사용하는 거잖아요. 우리나라야 무제한 요금제가 대세라서 그리 영향이 없을 수 있지만,
만약 무제한 사용자가 아니거나 무제한 요금제가 없는 나라에서 라면,
광고 때문에 나가는 3G 요금은 합친금액과
유료앱을 구매한느 비용중
사용자가 들어가는 비용이 어는 쪽이 많을 까 궁금하더군요.
------------ 여기까지는 그냥 제가 가지고 있는 궁금증 이랍니다. -----------------
2010.12.05 21:10:03
저같은 경우에는 블로그에 방문자가 5천명정도되면 구글 광고 클릭율이 0.2퍼센트 정도되더군요.
최적화만 잘하면 1퍼센트도 가능하다는데 사실상 힘든이야기 같습니다.
어플상에서의 클릭율도 이보다 더 좋을것 같지는 않은데..... 트렌드가 되지 않는 이상은
광고로 돈버는게 힘든일인것 같네요. 노출당수익이라면 이야기가 틀리지만요. 저도 노출당 수익으로 대부분을 버는듯 하네요
2010.12.05 22:03:45
애드몹의 성공 스토리로 기사화되고 있긴 하지만 나라마다 사정이 틀리고 앱마다 달라진다는 생각입니다. 앱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시도를 해보면 좋을듯 합니다. 광고라는 모델만 존재하면 안되고 다양한 모델을 적용할수 있는 옵션이 있어야 좋은 거고 국내에서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유료앱 활성화에 더 힘을 싫어야 된다는 생각입니다.
2010.12.05 23:31:40
좋은 글 잘봤음. 현재는 다소 경쟁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니까 무료앱에 광고가 유리하지만...
이러다 두 세개의 메이저 광고회사에 집중화되면 결국 이들 회사에 종속되는 상황이 될수도 있겠지요.
서서히 광고단가가 떨어지면서 수익금도 줄어들텐데... 그때는 끌려다니지 않을지요.
이들 회사의 광고를 팔아주기 위해서 앱을 만드는 주객전도의 현상도 예상됩니다.
2010.12.06 00:11:12
갓 핑거라는 게임이 있습니다. 아이폰 게임입니다만..
얼마전에 광고를 클릭하면 게임상에서 사용되는 구하기 힘든 머니를 2개씩 주더군요.(awe 라고 하는..)
2일간 이벤트 성이었던거 같은데..
2일간 10번은 들어가더라구요.
게임에선 간단하지만..
한번 누르면 없어지게 하고, x 시간 뒤 다시 나타나게 해서 10번 정도 누르면
부분 제한 --> 무제한으로 변경
이런식의 방법도 좋을거 같아요.
사용자에겐 당근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개발자는 신이 되어야지요.
적어도 내 세상에서는 말이예요.
2010.12.08 10:25:54
카울리 APP 등록 운영 정책입니다.
내용이 확인 될 경우APP등록이 거부(반려) 처리 됩니다.
- 광고를 클릭하는 것에 대한 대가로 “광고매체 이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경우
- 카울리 광고배너와 APP 기능 내 메뉴실행을 위한 버튼이 겹쳐있거나 0.5cm, 14px 이내 근접해 있을 경우
- 카울리 광고 옆(배너와 0.5Cm, 14px 이내)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이미지 또는 다른 컨텐츠와
구분 되지 않도록했을 경우
- 기타 서비스의 광고효과를 저해하는 행위
2010.12.06 10:50:47

제가 가지고 있는 생각을 말씀드리면...
앵그리버드는 게임이라는 특성때문에 사용자에게 광고가 많이 노출이 되고 사용자가 머물러 있는 시간이 많은 구조이고
일반 어플들은 게임만큼 사용자가 한 화면에 많은 시간 머물러 있지를 못합니다.
게임과 같이 사용자를 오랜시간 머물러 있게 해준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좋은 결과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p.s : 도돌님 폰사용량... 가끔 광고 클릭해주고 있어요..^^
앵그리버드는 게임이라는 특성때문에 사용자에게 광고가 많이 노출이 되고 사용자가 머물러 있는 시간이 많은 구조이고
일반 어플들은 게임만큼 사용자가 한 화면에 많은 시간 머물러 있지를 못합니다.
게임과 같이 사용자를 오랜시간 머물러 있게 해준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좋은 결과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p.s : 도돌님 폰사용량... 가끔 광고 클릭해주고 있어요..^^
2010.12.06 11:51:26
저의 경험상은 유료가 낳더군요. 광고가 수익이 될만한 모델은 아시다시피 킬러어플아니면 자주(?) 사용빈도가 높은어플에 해당하겠지요.
앵그리버즈야 게임이고, 틈틈히 시간나면 할수있는 게임이라는 어플모델이기 때문에, 노출량도 많고, 그러한데요.
제가 만든것은 그정도로 사용빈도가 많은 어플모델이 아니기때문에, 유료로 내놓았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쓰시는분은 구매하시더라구요.
모바일카페등에 한번씩 소갯글이나 가이드 갱신하면, 구매율이 좀 되더라구요. 아마도 어플 노출량 특성에 따라 고민이 가는부분일듯 합니다.
PS : 도돌님 배경화경 잘 쓰고 있습니다. 입력기와 ㅎㅎㅎ
2010.12.06 14:22:37
전 앵그리버드 좀 하면서 다르게 생각했는데요.
게임하다 말고 광고 누를 사람이 있을 까 했습니다.
광고 표출수는 많겠지만, 실제 클릭수는 잘못 누르는거 아닌 다음에야
게임 깨는 것이 더 중요(?) 하지 갑자기 나온 광고를 게임하다 말고 갈 사람은 거의 없을거 같았거든요.
실제로 저도 앵그리버드 많이는 않해 보았지만 게임하면서 클릭한번도 한적이 없답니다.
오히려 도돌님 배경화면이나 전국버스 같은 프로그램이 정보 확인후에 클릭 한번 해 주기가 더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