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글은 바야바님 사이트에 올린 글인데, 많은 분들의 조언을 구하고자 여기에 복사해서 올립니다. 죄송합니다.)


관련기사(13.3.17)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266086602744304&SCD=JE61&DCD=A00506




위 기사를 보다가 


--------------------------------------------

카카오톡 게임의 경우 사용자를 게임에 초대하거나 상대에게 게임을 할 수 있는 일종의 선물(하트 등)을 보내는 일이 많아 서버 운영 비용이 크게 든다. 업계에 따르면 1000만 사용자를 확보한 한 게임의 경우 서버 운영비용만 월 100억원이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


를 읽고 충격 먹었습니다.


처음 게임은 싱글로 할려고 했는데, 게임성 넣기도 힘들고, 고퀄러티 게임성이 아니면 수익을 내기도 힘들것 같아,

지난달 말에, 부랴 부랴 이전까지는 책만 보고 시도하지 않았던 네트워크 프래그래밍을 해서 

클라와 서버간 패킷을 주고 받아서 게임이 동작되게 해보았습니다.


이젠, 멀티 게임을 개발 할 수 있게 되서, 조금 부푼 마음으로 코딩하고 있는데..ㅜㅜ


궁금해서 그러는데, 정말 하트정도 보내는 정도의 서버를 1000만명을 수용할 경우, 100억정도 들어가나요?

대충 리얼 서버 호스팅을 할 경우 리눅스와 MYSQL을 사용한다면,  한대에 월 10만원정도 비용이던데...

계산해보면 10만대가 필요하는 건가요? 설만 1000만원짜리 서버를 사용하는 걸까요?


바야바님께서 안펍에 올린 글을 보면 동접 3000명을 받는 다고 하셨는데,

동접이 1000만일 경우는 없지만, 계산해보면 3334대 나오는데.. 그럼 5.6억 정도이던데..


기사가 과정된건가요? 저만큼 비용이 든다면 일 1억씩 벌고 월 수십억씩 벌어도 적자이겠네요..

물론 저 비용이 인건비도 포함 된거 겠죠.. 하지만 알기로는 업계에서 개발자를 멀티로 돌린다는데.

저 비용중 순수히게 서버 장비 유지비가 얼마일까요?


멀티로 하면 게임성이 좀 떨어져고 사람들이 좀 해줄꺼라 생각했는데,

저정도 비용이면, 1인 개발자로써 포기할 수 밖에 없겠네요.


몇 주전에도 게임 서버가 기획적 요소에 따라 한 서버당 100명밖에 안 받는다는 글도 봤는데,

온라인 게임이 유비 비용이 만만치가 않내요.


기사가 사실이라면, 지금 윈드런너 종류나 차차차는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데...

더욱이 유저간 멀티가 지원되는 활은 더더욱 비용이 많겠네요.;;;

(오토봇이란 사실이 있지만..대전형식 지원하는 겜중에 해보면 오토봇 사용하는게 많은 이유가 비용 측면도 있겠네요.)


질문 요지>


1. 1000만 유저 -> 100억/월 비용이 발생하나요? 

    (동접이 1000만이 발생하는 것도 아닌데, 카톡 게임 최대 동접이 100만 정도라 쳐도 너무..)


2. 현재 올라와 있는 팡류나 아케이드성 게임의 카톡 게임 정도의 기획요소를 서버로 개발시 

    어느정도 사양과 몇 대의 서버가 필요할까요? 

   (생각상으로 랭킹 정보 주고, 점수 업뎃이나 하트 정도의 구현인데..)


3. 저는 아래 서버로 리눅스로 구성할 예정인데, 카톡과 같은 요소를 한 서버당 1000명 수용 가능할까요? 

   3-1. 통큰아이 (저번에 추천해주셔서 찾아 봤습니다.)

      

쿼드코어서버 Z303-QIX
Intel Xeon System (소유권 이전형 임대)
C P UINTEL Xeon X3210 2.13GHz
RAMDDR3 8G 10600U Samsung
HDDSATA3 1TB(1,000G) + SATA3 1TB(1,000G)
회선1Giga 회선 서버에 직접연결
트래픽30Mbps 기본 제공 btn_tua4.gif
MAX 전송량 (Byte) : 324G / Day, 9.72T / Month
월이용료월 79,000원
초기설치비무료
약정기간

24개월 후 소유권이전




   3-2. 스마일 서브

8-thread

  • CPU : Xeon E3-1230(3.2GHz)
    RAM : DDR3 8G ECC Unbuffered
    iSCSI : 100GB
    트래픽 : 700GB/월(1G추가시 60원)

bullet_img_14_04.gif
월 이용료: 74,000원



4. 통큰아이보다 스마일 서브가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어서, 스마일 서브쪽으로 생각중인데,

  나은 선택일까요?

    하드가 통큰아이가 월등한 하드 제공을 하지만, cpu성능상 순위를 보면 스마일 서브가 71위이고 

   통큰아리가 498위로 나오내요. 물론 트래픽만 보면 통큰아이가 훨씬 좋네요. 

    역시 트래픽 많이 주는 통큰아이가 좋은 선택일까요?






p.s. 막상 쓰고나니깐 서버 유지비도 만만치 않네요. 이전까지 계산 해보지 않았는데...좌절되네요..

      멀티 넣고 괜히 망하면, 엄청난 손해이겠네요. 처음은 서버 한대로 시작하는게 답이겠네요.

      클라우드 서버가 답이 될수 있다는게 현실적으로 느껴지네요.


위에 언급한 서버가 1000명을 받는다고 해도. 최대 동접 100만이라고 치면 한달 서버비용만으로,

        100만/1000명*7.4만=7400만원 ;;;;;;; (물론 대박 친다는 가정하에)

        너무 재미있게 만들었는데 수익적 요소가 없는 상태에서 온라인 서비스 하게 되면, 파산하겠네요.

        (오토봇이 진리인가요...;;;;;;)


근데 1000대나 호스팅해주는 업체가 있나요? 중견업체들에서...

        (통큰아이는 안나와서 모른겠지만, 스마일 서브는 17대밖에 재고가 없다고 하는데...)